주간 정덕현

'룸메이트', 왜 나나는 악플에 시달리게 됐나 본문

옛글들/명랑TV

'룸메이트', 왜 나나는 악플에 시달리게 됐나

D.H.Jung 2014. 6. 24. 11:18
728x90

<룸메이트>, 애매해진 리얼과 가상의 경계, 그 위험성

 

슬슬 예능을 하다 보니 성격도 나오고 방송이니 더 오버해서 하는 부분도 있다. 조금 적응이 안 되시는지 안 좋게 보시는 분들이 많더라.” SBS 주말예능 <룸메이트>에서 애프터스쿨의 나나는 조심스럽게 홍수현에게 자신에게 달리는 악플에 대한 심경을 고백했다. 그런 반응들을 보니 말 한 마디를 할 때도 이젠 조심스럽다는 것.

 

'룸메이트(사진출처:SBS)'

나나의 이런 고백 속에는 <룸메이트>가 가진 프로그램의 성격이 묻어난다. 이 관찰 카메라 형식의 프로그램은 출연자들의 사생활 깊숙이 들어와 있기 때문에 그들의 성격과 성향 또한 어떤 식으로든 전달되기 마련이다. 물론 제작진은 부정적인 반응이 나올 수 있는 어떤 상황들에 대해 출연자를 보호하기 위해 의도적인 편집을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영상에 민감한 대중들은 섬세한 행동과 말의 뉘앙스를 간파해내곤 한다.

 

나나가 얘기한대로 이 관찰 카메라 안에 있으면 성격도 나오고’, ‘방송이니 더 오버해서 하는 부분도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두 진술은 서로 엇갈린다. 성격이 나온다는 건 리얼한 리액션을 말하는 것이고, ‘오버해서 하는 부분이라는 건 방송을 의식해 하는 행동이 있다는 걸 말한다. 애매모호한 건 어떤 게 리얼이고 어떤 방송을 의식해 하는 행동인지 대중들은 잘 알 수가 없다는 점이다.

 

초반 방송분량에서 나나가 이동욱을 챙기고 대신 조세호를 괄시하는 듯한 행동은 당연히 예능적인 판단에서 나온 오버해서 하는 부분이었을 게다. 하지만 어떤 시청자들에게는 그것이 성격이 나온 것으로 오인될 수 있다. 바비큐 파티를 하면서 나나가 조세호에게 쌈에 고기를 싸서 입에 넣어주는 장면은 자신의 진심을 보여주는 것이었을 게다. 하지만 어떤 시청자들에게는 그것이 오버해서 하는 부분처럼 여겨질 수 있다.

 

나나는 따로 인터뷰를 통해 이 프로그램 안에서 출연자들의 가식은 찾아볼 수 없을 것이라고 재차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어떤 것이 가식이고 어떤 것이 진짜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도 많다. 그리고 이것은 <룸메이트> 같은 리얼과 가상 사이에서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예능 프로그램의 재미이기도 하다. 이를 테면 <우리 결혼했어요>가 가상결혼 설정이지만 저게 진짜인지 아닌지 애매모호해지는 지점에서 재미가 나오는 것처럼.

 

하지만 <룸메이트><우리 결혼했어요>와는 다르다. <우리 결혼했어요>야 결혼 설정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장면들이 나오기가 어렵다. 기껏해야 오해 정도가 나올 뿐이고, 그것도 즉각 이벤트 같은 걸로 풀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룸메이트>는 결혼 설정이 아니라 가족 설정이다. 거기서 나오는 건 일상생활 속에서의 성격이다. 결혼이야 약간 허공에 발이 떠 있는 듯한 비현실적 부분을 포함하기 마련이지만, 생활은 다르다. 그것은 그대로 평소 성격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룸메이트>는 그 속에 몰래카메라적인 제작진의 의도를 집어넣곤 한다. 박봄과 박민우가 사귀는 것처럼 꾸며 출연자들을 속이는 미션은 <룸메이트>100% 리얼을 추구하고 있지 않다는 걸 말해준다. 리얼은 가만 내버려둘 때 자연스럽게 나오는 반응들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룸메이트>는 기다리지 않는다. 이것은 어쩌면 주말 예능이 만들어내는 강박일 수 있다. 어떤 식으로든 재미를 만들어내야 하는 제작진의 압박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서강준이 <인기가요> 스페셜 MC를 맡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박민우가 불편한 마음을 드러낸 것은 아마도 진짜 속내일 것이다. 꽁하게 마음 속에 앙금을 갖고 있는 것보다는 아예 드러내놓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픈 진심이 거기서는 느껴진다. 하지만 다음 주 예고에서 서강준과 박민우가 함께 공동 스페셜 MC를 맡게 된다는 이야기가 살짝 나오는 장면에서는 제작진의 설정이 과하다는 인상을 받게 된다. 둘 다 나가게 됐다는 걸 같이 알려주면 될 일을 굳이 갈등과 속내를 끄집어내기 위해 한 사람씩 얘기해주는 듯한 인상을 지우기 때문이다.

 

애매해진 리얼과 가상의 경계에서 이렇게 보여지는 출연자들의 속내는 오해될 위험성이 다분하다. 이 프로그램에는 유독 출연자들이 눈물을 흘리는 장면들이 많은데 그것은 진심일 가능성이 높다. 왜 그렇지 않겠나. 유사가족이지만 서로 얘기를 들어줄 사람이 생겼다는 건 그간 쌓여진 아픔이나 외로움이 터져 나올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 눈물이 진짜인지 아닌지 시청자들은 애매하다.

 

만일 일반인들이 출연하는 프로그램이었다면 이 반응들이 좀 더 리얼이라고 여겼을 것이다. 하지만 연예인이기 때문에 오인되는 부분도 많다. 결국 연예인이 사생활까지 드러내 보일 때는 좋은 모습을 보이고픈 욕구가 더 많다고 생각되기 마련이다. 나나가 악플에 시달린다고 말한 대목이 방송에 나갔지만 심지어 대중들에게는 이 방송분조차 리얼인지 설정인지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리얼과 가상 사이 그 애매한 지점에 <룸메이트>가 가진 재미가 있지만 또한 위태로움도 있다. 그것은 균형이 잘 맞을 때는 어떤 진심의 감동을 줄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때는 가식의 혐오로 다가올 수 있다. 최소한 제작진의 인위적인 설정은 되도록 빼는 것이 좋다. 그것은 자칫 출연자들의 속내를 끌어내기 위한 악취미처럼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재미만큼 의미를 찾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연예인들이 사적으로 한데 모여 사는 새로운 형태의 주거문화를 드러내는 프로그램에서 자극적인 재미만을 추구한다면 오히려 논란만 잔뜩 양산해낼 수 있다. 요즘의 예능 프로그램은 재미만으로는 대중들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 프로그램이 전하는 의미 있는 스토리텔링과 공감 가는 정서를 우선 만들어내야 한다. 그것이 가상과 리얼 사이에서 호불호를 왔다 갔다 하는 <룸메이트>를 호감으로 이끌 수 있는 유일한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