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인간의 조건', 왜 예전만한 관심이 사라졌을까

728x90

<인간의 조건>, 시청자와의 권태기를 벗어나려면

 

KBS <인간의 조건>은 초반 <개그콘서트> 개그맨들이 함께 모여 일주일간의 관찰카메라를 선보인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사실 관찰카메라 형식이 가진 핵심은 결국 누군가의 일상을 바라본다는 재미에서 나올 수밖에 없다. <개그콘서트> 무대 위에서 빵빵 터트리는 개그맨들. 그들의 진면목이 무엇인가는 대중들의 관심사가 되기에 충분했다.

 

'인간의 조건(사진출처:KBS)'

하지만 관찰카메라 형식에서 이 재미적인 부분보다 더 중요한 건 왜 이 사적인 영역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들여다봐야 하는가에 대한 대중적인 공감대다. <인간의 조건>은 그래서 그 기획의도로서 더 나은 삶을 택했다. 쓰레기 배출을 하지 않으며 살아가거나, 전기 없이 살아가고,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는 삶을 보여줌으로써 그 불편함 속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가치를 대중들에게 공감하게 했다.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미션에서 너도 나도 들고 다니던 텀블러는 그래서 대중들이 함께 참여할만한 캠페인 성격을 띠기도 했다. 자동차 없이 살기 미션은 탄소 배출이 갖는 환경문제를 인식시켜줌과 동시에 걸으면서 비로소 보이게 되는 삶의 진풍경을 새삼 느끼게 해주었다. <인간의 조건>의 힘은 방송이 환기시키는 어떤 문제의식에 대해 대중들이 공감하고 함께 참여하는 마음을 기꺼이 가질 때 생겨났다는 점이다.

 

하지만 캠페인도 반복되다 보면 그저 익숙하게 지나가는 문구처럼 여겨지기 마련이다. ‘물을 아끼자’, ‘전기를 절약하자같은 말들이 지극히 지당하다고 해도 이제는 그 감흥이 별로 없고 마치 통상적인 캠페인 문구처럼 의식하게 되는 건 그 반복적인 노출이 의미를 퇴색시켰기 때문이다.

 

<인간의 조건>은 그래서 새로운 그림을 만들어보려고 부단히 노력한 흔적이 있다. 개그우먼을 출연시켜 지금껏 남자 개그맨들의 일상을 통해 보여준 캠페인에서 벗어나 여성들이 더더욱 공감할 수 있는 아이템(이를 테면 화학제품 없이 살기같은)을 선보였던 것은 이 반복되는 패턴의 함정을 벗어나고자 했던 <인간의 조건>의 몸부림이기도 했다.

 

<인간의 조건>은 여전히 재미있고 의미도 있는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다. 새롭게 시작한 나트륨 줄이며 살기는 여전히 사회적인 관심을 둘만한 아이템이고 새롭게 투입된 다이나믹 듀오의 최자나 개코, <개그콘서트>의 김기리는 새로운 조합으로 일상의 웃음을 만들어낸다. 일단 채널을 고정시키기만 하면 충분히 재미있고 그 의미와 가치도 공감하게 된다.

 

하지만 <인간의 조건>에 대한 관심이 예전만하지 못한 건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것은 <인간의 조건>의 문제라기보다는 이를 반복적으로 바라본 시청자들이 여기에 익숙해졌기 때문에 생겨나는 일이다. 물론 <인간의 조건>이 본래 갖고 있던 이 캠페인적인 성향의 의미와 관찰카메라가 갖는 일상 엿보기의 재미를 포기해서는 안될 것이다. 하지만 그 재미와 의미에 좀 더 집중시키기 위해서라도 <인간의 조건>은 이 틀을 가끔은 벗어날 필요가 있다.

 

한정된 공간에서의 생활이 비슷한 이야기의 패턴을 불러온다면 때로는 공간을 벗어나볼 필요가 있고, 개그맨들이 비슷한 캐릭터의 반복을 보여준다면 다이나믹 듀오처럼 새로운 구성원들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이것은 마치 권태기와 같다. 무언가 잘못됐기 때문에 생겨나는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권태기를 지혜롭게 넘기지 못하면 관계 자체가 소원해진다는 것을 생각해봐야 한다. <인간의 조건>은 지금 새로운 자극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