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에일리에게서 '도시의 법칙'이 배워야할 것 본문

옛글들/명랑TV

에일리에게서 '도시의 법칙'이 배워야할 것

D.H.Jung 2014. 7. 4. 08:43
728x90

<도시의 법칙>의 딜레마, 에일리라는 가능성

 

문의 기타 연주에 맞춰 에일리가 살짝 Tamia‘Officially missing you’를 불렀을 때 <도시의 법칙>의 새로운 가능성도 살짝 드러났다. 브르노 마스의 ‘When I was your man’<겨울왕국>‘Let it go’를 부를 때는 도시에서 음악과 같은 문화가 왜 필요한가가 느껴졌다. 그것은 도시생활의 피로를 잊게 해주는 음악의 힘이었다.

 

'도시의 법칙(사진출처:SBS)'

뮤즈의 ‘Supermassive Blackhole’ 반주에 즉석으로 도시의 법칙 테마송을 에일리가 선창하고 즉석에서 벌어진 잼 콘서트. 정경호가 들고 온 냄비는 트라이앵글이 되고, 백진희는 아몬드 박스로 박자를 맞추며, 김성수는 차임벨을 대신하는 자전거 휠을 연주하고 에일리는 생수통을 젬베 삼아, 이천희는 냄비 뚜껑을 심벌즈 삼아 즉석에서 벌인 잼 콘서트는 그것이 도시가 주는 매력이라는 걸 보여주었다.

 

김성수가 에일리의 노래를 들으며 뉴욕 와서 귀가 호강한다고 한 말은 그냥 나온 말이 아닐 것이다. ‘도시생존이라는 미션을 안고 뉴욕까지 왔지만 사실상 길거리에 버려진 가구들을 주워오고, 공병을 모아 잔돈을 만들고, 어떻게든 돈을 벌기 위해 일자리를 찾아나서는 이들의 삶은 도시생활의 현실 그 자체다. 도시 생존의 바탕은 뭐니 뭐니해도 결국은 이다. 돈이 없다면 먹을 것도 필요한 물품도 구입할 수 없는 곳이 도시니까.

 

이것은 물론 <도시의 법칙>이 탐구하는 도시 생존의 진면목이다. 하지만 프로그램으로서 냉정하게 바라보면 시청자들이 도시를 통해 보고 싶은 장면은 아닐 것이다. 특히 뉴욕까지 날아갔다면 뭔가 특별한 뉴욕 체험에 대한 판타지가 있기 마련이다. 여기에 <도시의 법칙>의 딜레마가 있다. <도시의 법칙>은 도시생존의 현실을 보여주려 뉴욕에서 사실상 거지와 다름없는 생활을 하고 있지만 그것이 시청자들이 보고픈 장면은 아니라는 점이다.

 

이것은 <도시의 법칙><정글의 법칙>과 다른 점이다. 정글이라면 힘겨워도 한번쯤 꿈꾸고픈 로망이 있는 공간이다. 야생의 자연 그대로라는 것은 도시의 편리함이 사라진 것의 불편함은 있을지 몰라도 또한 없어서 좋은 것들도 있기 마련이다. 불빛이 없어 별빛이 더 빛나는 것처럼. 하지만 도시는 다르다. 도시는 없는 것으로 좋아질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사실상 도시생존의 핵심은 돈을 벌어야 한다는 점이다. 돈벌이는 로망이 될 수 없다.

 

<도시의 법칙>은 그래서 도시생존을 강조하다 보면 예능보다는 다큐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높다. 요즘처럼 예능과 다큐의 경계가 얇아진 시대에 이런 프로그램의 성격이 잘못됐다 말하긴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래도 예능을 보는 마음과 다큐를 보는 마음은 다를 수밖에 없다. 예능이 기대하게 만드는 어떤 즐거움과 판타지는 다큐적인 현실의 처절함에 자칫 묻힐 위험성이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헬퍼로 에일리가 투입된 것은 <도시의 법칙>이 다큐에 빠지지 않게 된 중요한 요인으로 보인다. 자못 진지하고 때로는 처절한 <도시의 법칙>을 훨씬 즐겁고 때로는 로망을 느끼게끔 만드는 건 바로 에일리가 보여준 문화의 힘이다.

 

굳이 문화가 주는 아련한 즐거움의 로망을 던지기 위해 뉴욕의 화려함 속으로 들어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다만 뉴욕의 느낌이 묻어나는 음악과, 아침의 모닝커피 한 잔, 공원에서의 망중한이나, 영화 한 편의 즐거움 그리고 멀리서나마 바라보는 패션 피플의 의상을 통해서도 뉴욕이란 도시가 주는 매력을 충분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니. <도시의 법칙>은 에일리가 잠깐 음악을 통해 보여준 것이 무엇인가를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