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 지나친 콩트는 야생을 스튜디오로 만든다
KBS <1박2일>에 출연한 박태호 예능국장은 “<1박2일>은 진정성”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고도 했다. 그가 말하는 진정성과 초심은 무엇일까. 그것은 야생이고 여행이며 리얼리티일 것이다. 어디든 무작정 떠난 길에서 우연히 만난 사람들과의 교감이나 의외로 터진 사건이 점점 커지는 국면들이 말 그대로 자연스럽게 보여지는 것이 <1박2일>의 진정성이자 초심이다.
'1박2일(사진출처:KBS)'
하지만 이번 강릉, 동해로 떠난 <1박2일>은 그 진정성과 초심을 발견하기가 어려운 여행이 됐다. 지나친 콩트 설정이 눈에 띌 정도로 많이 등장했고, 그러면서 여행은 부자연스러워졌기 때문이다. 기차를 타고 ‘좌석 복불복’을 할 때까지만 해도 <1박2일>은 본연의 색깔을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박태호 예능국장이 그 빈 자리에 앉아 멤버들에게 ‘불편함의 끝’을 선사하면서부터 이야기는 점점 콩트로 흘러갔다.
물론 재미가 없었다는 건 아니다. 특히 박태호 예능국장은 베테랑다운 임기웅변으로 분위기를 쥐락펴락하며 큰 웃음을 만들었다. 과거 자신이 당했던 까나리카노를 멤버들에게 먹게 만드는 몰래카메라 설정을 보여주기도 했고, 출연자들을 불편하게 만들어 화장실 가는 것조차 한꺼번에 우 몰려가게 만드는 장관도 꽤 흥미로웠다.
하지만 재미가 있다고 그것이 <1박2일>의 진정성을 살려주는 건 아니다. 중요한 건 그 재미가 얼마나 진짜냐는 것이다. 예능국장과 출연자들이 기차에서 그것도 같은 자리에서 만날 확률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러니 그것은 의도된 만남일 수밖에 없다. 왜? 일종의 상사와 직원 같은 계급구조를 갖고 웃음을 줄 수 있는 콩트 코미디를 만들기 위함이다. 이런 기차 같은 공간에서의 ‘불편한 동반자’ 콘셉트의 콩트는 이미 과거 <유머일번지> 시절부터 콩트 코미디에 단골로 나왔던 소재다.
물론 그것으로 끝났다면 가끔 한두 번씩 나오는 의도된 상황극이라 치부하고 넘어갈 수 있다. <1박2일>의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 국장까지 프로그램에 나와 아낌없이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준다는 건 그것이 상황극이라고 해도 충분히 이해되는 일이다. 하지만 그 후로 계속 이어지는 콩트의 연속은 <1박2일>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만든다.
박태호 국장이 준 용돈으로 잠깐 역에서 내린 출연자들이 ‘국제분식’에서 바가지를 쓰는 장면은 아예 그 공간을 스튜디오처럼 여겨지게 만들었다. 급조된 포장마차에 <1박2일> 국제심판(?) 권기종이 주인이 되어 출연자들에게 바가지를 씌우고 돈을 내지 않으려 하자 갑자기 조폭(역할을 하는 사람)이 등장해 돈을 갈취하는 장면은 너무 인위적이라 그것이 <1박2일>인지 <개그콘서트>인지 분간하기가 힘들었다.
해변에 도착해서도 콩트는 계속 이어졌다. 이번에는 미녀와 추녀를 비교하는 전형적인 <개그콘서트>형 콩트다. 현장에서 즉석에 섭외된 일반인들과 게임을 하는데 갑자기 미녀와의 데이트를 상으로 내세우는 건 실로 엉뚱한 설정이다. 비키니를 입은 여성을 상으로 세운다는 것이 <1박2일> 같은 가족 예능 프로그램에 어울리지 않을뿐더러, 특히 여성 일반인 참여자에게는 더더욱 의미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비키니를 입은 여성들은 누가 봐도 섭외의 흔적이 역력하다. 카메라 앞에서 자연스런 포즈를 취할 정도면 이미 의도된 상황극 속에 들어와 있었다는 얘기이고, 마침 이들과 비교점을 세우는 오나미나 김혜선 역시 한 편의 콩트 설정으로 투입된 것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 갑자기 뜬금없이 주어진 2시간 휴식에 출연자들이 몸단장을 하는 모습이 보여지더니 해변가에 놀러온 미녀들에게 천거된 출연자들이 ‘한여름 낮의 꿈’을 연출하고, 반면 천거 받지 못한 출연자들이 오나미와 김혜선과 함께 지옥을 경험하는 장면들이 병치된다.
물론 여기 등장한 비키니 미녀들이 처음부터 섭외된 연예인 지망생이었는지 아니면 현장에서 우연히 만나 섭외된 일반인이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그것이 어느 쪽이든 이 웃음에 <1박2일> 특유의 자연스러움이 사라진 것만은 사실이다. 왜 <1박2일>은 여름휴가 시즌인 여행의 시기에 하필 이런 콩트 설정의 특집을 만들었을까. 차라리 여행을 못가 방에 콕 박혀 보내는 <무한도전>식의 콩트라면 이해가 가지만 굳이 동해까지 가서 스튜디오 예능을 할 필요가 있었을까.
웃음이라고 다 같은 웃음이 아니다. <1박2일>이 여타의 예능 프로그램보다 우위에 설 수 있었던 힘은 바로 이 다 같지 않은 웃음의 진정성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콩트를 통해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웃음이 아니라 진짜 현장에서 뜻밖에 터지는 웃음이 있었기 때문에 <1박2일>이 있을 수 있었다. 물론 <개그콘서트>는 <개그콘서트> 나름의 웃음의 의미가 있지만 <개그콘서트>를 보며 기대하는 웃음과 <1박2일>을 보며 기대하는 웃음은 다르기 마련이다. 지나친 콩트는 야생마저 스튜디오로 만들어버린다. <1박2일>이 <개그콘서트>가 돼서는 안 되는 이유다. <1박2일>은 박태호 국장이 말하는 그 진정성과 초심으로 돌아와야 한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호동은 왜 케이블, 종편을 하지 않을까 (25) | 2014.08.02 |
---|---|
'비정상회담', 이토록 정감 가는 외국인들이라니 (2) | 2014.07.30 |
'무도'다운 역발상, 꼭 해외 나가야 웃기나요? (0) | 2014.07.28 |
시청자 배려 없는 일요예능 편성전쟁 이대로 괜찮나 (1) | 2014.07.24 |
'비정상회담', 전현무에 대한 논란 왜 생길까 (0) | 201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