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 예능 MC들, 이제 살 길은 비지상파다
MBC <별바라기>에 출연중인 샤이니의 키는 “우리 딱 한 번만 5% 넘어보자잉”하고 말한 적이 있다. 지금 현재 <별바라기>의 시청률은 3% 대. 헨리와 써니가 출연한 효과인지 지난 2%대에서 그나마 1% 올라온 성적이다. 하지만 여전히 3%대로 동시간대 꼴찌인데다 목표치가 5%라는 얘기는 안타까움마저 느껴진다. 강호동이라는 스타 MC의 이름이 무색하기 때문이다.
'별바라기(사진출처:MBC)'
KBS <우리동네 예체능>도 시청률 4%대에 전전하다 최근 5% 시청률에 도달했지만 강호동이라는 이름 석 자를 떠올려보면 초라하게만 여겨진다. 물론 시청률만이 모든 걸 말해주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진짜 이제 강호동의 시청률 목표는 5%가 된 듯하다. 복귀 이후 이렇다할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강호동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상황은 강호동만이 아니다. 최근 스타 MC들은 모두 과거의 영광이 꺾인 지 오래다. <무한도전>이라는 레전드를 여전히 하고 있는 유재석은 예외다. 그 역시 주중 예능 프로그램에서 4%에서 6% 시청률을 내고 있지만 그의 인기나 존재감은 단지 프로그램 안에서만의 평가에 머물지 않는다. 철저한 자기관리의 표본으로서 유재석은 여전히 독보적이다.
하지만 한때 예능의 달인이었던 이경규도 최근 들어 별다른 존재감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고, 신동엽이나 김구라 같은 토크의 달인들도 지상파 시청률 성적은 그다지 높지 못하다. 이것은 어쩌면 전체적인 지상파 예능의 몰락이기도 하고 또한 스타 MC 예능 트렌드의 추락이기도 하다. 이제는 일반인들이 참여하거나 반 일반인들(연예인 가족 같은)이 참여해야 그나마 어느 정도의 시청률을 가져간다.
지상파 예능이 이렇게 된 데는 기존 방식인 스타 MC 중심의 예능 트렌드를 좀체 벗어내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지상파 예능의 추락과 스타 MC들의 추락은 서로 공조하며 벌어진 면이 있다는 것이다. 최근 몇몇 파일럿 프로그램들이 정규화 했다 추락한 원인은 바로 이것이다. 이효리의 <매직아이>가 그렇고, 강호동의 <별바라기>나 <우리동네 예체능>이 그렇다. 스타 MC를 세우면 달라진 트렌드 속에서도 옛 습관(스타를 중심으로 풀어가는)이 나오기 마련이다.
이 와중에 주목해야 할 인물은 신동엽과 김구라다. 여타의 스타 예능 MC들과 사뭇 다르게 이들은 일찌감치 지상파든 케이블이든 종편이든 상관없이 종횡무진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들을 시도해왔다. 그러다 보니 지상파가 옛 트렌드에 묶여 있을 때 케이블과 종편이 시도한 참신한 형식들의 예능에 이들은 쉽게 적응했다. 지상파에서 고전을 면치 못한다고 하더라도 케이블이나 종편에서는 자기 존재감을 확실히 세운 이들은 그래서 아무런 위기설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tvN의 <SNL 코리아>나 JTBC의 <마녀사냥>으로 신동엽은 19금 예능의 새로운 트렌드를 열었고, JTBC <썰전> 같은 프로그램으로 김구라는 시사와 비평이 접목된 새로운 예능 트렌드를 만들었다. 사실 어찌 보면 강호동의 존재감이 점점 사라지게 된 것은 그를 받쳐줄만한 참신한 지상파 예능이 부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제 스타 MC가 출연한다고 해서 시청자들이 보던 시대는 지났다. 참신한 콘텐츠가 우선이고 그 다음이 MC가 되었다.
그런 면에서 보면 강호동은 지상파에서 5% 시청률을 내려고 안간힘을 쓸 게 아니라, 비지상파로 가서 똑같은 5% 시청률을 노리는 편이 훨씬 효과적이다. 지상파 5%와 비지상파 5%의 어감은 이렇게 다르다. 게다가 비지상파들이 최근 들고 나온 일련의 참신한 예능 형식들은 오히려 지상파들이 배워야 할 덕목들이다. 강호동 역시 이 변화에 적응해야 한다.
많은 이들이 강호동의 추락을 과거 잠정은퇴 선언을 했던 그 세금 문제의 여파가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과연 그럴까.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현재 그가 얼마나 파괴력 있고 영향력 있는 프로그램을 하고 있는가이다. 결국 연예인의 이미지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지기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강호동은 이제 결단을 내려야 할 시기에 도달해 있다.
지상파의 굴레를 벗어나 새로운 판에서 다시 입지를 마련할 것인가 아니면 지상파를 끝까지 고수할 것인가. 이 문제는 물론 스타 MC들과 공조해온 지상파 예능들의 문제이기도 하다. 지상파는 언제까지 기득권을 주장하며 옛 트렌드에만 머물 것인가. 이제 시청률에서조차 지상파와 비지상파의 경계가 사라지고 있는 상황이다. 변화의 바람은 일찍부터 불고 있었다. 다만 그걸 인정하고 싶지 않았을 뿐.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룸메이트', 그래도 송가연 하나는 얻었다 (0) | 2014.08.05 |
---|---|
'꽃보다 청춘', 무작정 떠난 그들이 발견한 것 (0) | 2014.08.03 |
'비정상회담', 이토록 정감 가는 외국인들이라니 (2) | 2014.07.30 |
'1박2일', '개그콘서트'가 돼서는 곤란하다 (2) | 2014.07.29 |
'무도'다운 역발상, 꼭 해외 나가야 웃기나요? (0) | 201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