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비정상회담', 이들의 문화 썸 타기가 흥미로운 까닭 본문

옛글들/명랑TV

'비정상회담', 이들의 문화 썸 타기가 흥미로운 까닭

D.H.Jung 2014. 8. 20. 10:06
728x90

<비정상회담>, 정상인 듯 정상 아닌 정상 같은 그들

 

전현무는 <비정상회담>에서 소유와 정기고가 부른 을 패러디해 정상인 듯 정상 아닌 정상 같은 너-”라고 부른다. 농담 같지만 이 노래는 이 프로그램의 정체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정상과 비정상의 차이. 그것은 아마도 실체의 문제라기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는 문화적 차이와 생각의 차이가 만들어내는 것일 게다.

 

'비정상회담(사진출처:JTBC)'

왜 결혼을 주제로 하면서 굳이 홍석천을 게스트로 앉혔는가 하는 점이나, 결혼 이야기를 하면서 동성 결혼에 대한 이야기까지 나간 점은 <비정상회담>의 이야기 폭이 거칠 것이 없다는 걸 말해준다. 오히려 정상과 비정상을 가르는 그 지점에 놓여진 이야기 소재는 <비정상회담>이라는 특별한 토크쇼에서는 더 빛을 발하는 것이다.

 

고부갈등을 얘기하면서 터키 대표 에네스 카야와 이탈리아 대표 알베르토가 설전을 벌이는 대목은 흥미롭다. 에네스 카야가 무조건 어머니 편을 먼저 들어줘야 한다고 하는 반면, 알베르토는 아내를 지켜주는 게 남편의 의무라며 먼저 아내를 챙겨주고 나중에 엄마랑 얘기하면 된다는 입장으로 각을 세운다.

 

사실 고부갈등은 <사랑과 전쟁>의 단골소재일 정도로 우리나라에서도 첨예한 문제다. 최근 들어 조금씩 문화가 바뀌고 있지만 그래도 어머니 편인지 아니면 아내 편인지 하는 문제를 두고 어느 게 정상적인가를 질문하는 건 여전히 유효하다. 그런데 이 안건이 <비정상회담>에 오르자 흥미로운 관점이 생겨난다. 즉 그것이 그 나라의 문화에 따라 완전히 다른 입장을 보인다는 것. 결국 이렇게 다를 수 있다는 것은 어느 것이 정답이라는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해체시켜버린다.

 

동성결혼에 대한 안건도 마찬가지다. 사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들어 대중문화 등을 통해 성소수자들에 대한 온정적인 시선이 생겨나고 있지만 실제 현실은 여전히 넘지 못하는 편견이 많다. 벨기에에서는 이미 결혼과 입양까지 허용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동성결혼에 대한 편견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벨기에 대표 줄리안의 이야기는 그래서 고개가 끄덕여진다. 유럽이라면 상당히 개방적일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

 

동성결혼이 캐나다에서는 합법이고, 프랑스에서는 동성애자들이 사회적 활동을 왕성히 하고 있으며, 또 벨기에는 국무총리가 동성애자이고 독일의 외무장관도 동성애자라는 사실은 우리에게는 낯선 외국의 문화차이로 다가온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터키에서는 상상도 못하는 일이라고 말하는 에네스 카야의 증언은 우리보다 어쩌면 더 보수적인 터키의 문화를 들여다보게 한다. 그의 증언에 따르면 타르칸이라는 유명한 배우는 해변에서 남자와 손 잡은 장면이 사진에 찍혀 무려 3년 간이나 활동을 못했다고 한다.

 

이렇게 문화적 차이를 보이는 그들도 만일 내 자식이라면이라는 가정 앞에서는 또 다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즉 힘들겠지만 자식의 선택을 지지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던 것. 물론 그 와중에도 정말로 슬프지만 지지해줄 수 없다는 에네스 카야의 확고한 이야기는 넘어설 수 없는 문화적 장벽이 존재한다는 걸 말해주었다.

 

바로 이렇게 한 테이블 위에서 서로의 문화적 차이가 토론되고 때로는 격렬하게 설전을 벌이다가 때로는 서로가 서로를 이해하는 입장을 반복하는 것. 이것이 <비정상회담>이 가진 가장 큰 매력이다. 서로가 자기 문화 안에서 정상이라고 우겼던 것들이 다른 문화에서는 비정상으로 바라보이는 것을 한 테이블 위에서 발견한다는 것. 그래서 그것은 결국 문화적 차이일 뿐, 실체적인 정상과 비정상을 가르는 건 아니라는 것. 이 다양성의 관점을 마치 문화적 썸을 타듯이 외국인 대표들이 때론 지지하고 때론 반대하며 밀고 당기는 토크쇼. <비정상회담>이 다른 토크쇼에서는 느낄 수 없는 흥미로움과 훈훈함을 주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