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비밀의 문'과 '제보자', 왜 모두 진실의 무게를 다룰까

728x90

왜 이토록 진실을 밝히려 애쓰는 걸까

 

진실의 무게는 얼마나 무거운 걸까. SBS <비밀의 문>이 영조와 사도세자의 역사를 가져와 다루는 것이 하필이면 진실의 무게에 대한 이야기라는 점은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한다. 역사라는 것이 본래 그렇지만, 사극은 그 가져온 과거가 그저 옛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에 어떤 의미를 가질 때에만 그 힘을 발휘한다. 즉 지금의 어떤 갈증이 역사적 사건을 끌어와 되새겨지는 것이다.

 

'비밀의 문(사진출처:SBS)'

<비밀의 문>맹의라는 영조(한석규)와 노론의 결탁을 증거 하는 비밀을 다룬다. 사도세자(이제훈)와 소론은 그 비밀의 문을 열려고 하고 영조와 노론은 그 문을 애써 닫으려한다. 그 비밀을 유지하기 위해 사람들이 죽어나간다. 사도세자는 그 애꿎은 백성의 죽음과 누명을 그저 지나치지 않으려 한다. 한 백성의 목숨도 귀히 여길 줄 알아야 하는 것이 한 나라를 다스리는 자의 마땅한 일이라는 것.

 

이 말은 최근의 세월호 정국을 떠올리게 한다. 한쪽에서는 그렇게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제대로 된 수사를 통해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이를 덮으려고 안간힘을 쓴다. <비밀의 문>이 이러한 정국을 의도하고 만들어진 작품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그 진실을 파헤치려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특별한 울림을 만드는 건 지금의 정국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영화 <제보자> 역시 진실의 무게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황우석 사건을 그대로 영화화한 이 작품은 모든 국민이 믿고 싶었던 이야기가 사실은 거짓이라는 걸 밝혀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집단적인 광기의 양상마저 보이는 맹신의 늪에서 진실 하나만을 쥐고 버텨내는 이들의 모습은 너무나 가녀리게 느껴진다. 자신이 지금껏 쌓아온 모든 경력을 걸거나, 아니면 가진 걸 모두 버려서야 겨우 그 진실 하나를 지켜낼 수 있다는 이야기는 뭉클하면서도 씁쓸함을 남긴다.

 

공교롭게도 비슷한 시기에 진실의 무게를 다루는 작품들이 나왔고, 또 그 작품들이 모두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해서 재구성혹은 재해석되었다는 건 흥미로운 일이다. 지금의 대중정서는 어쩌면 진실에 목말라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숨겨진 비밀의 문을 열고자 하는 열망 혹은 진실을 밝히는 제보자를 지켜내고픈 마음에 시선이 가는 것은 그런 이유 때문일 게다.

 

게다가 작품을 통한 재구성재해석에는 현실이 이뤄내지 못하는 것을 허구 속에서나마 실현해내려는 욕망 또한 들어가 있다. <비밀의 문>은 도발적이기는 하지만 지금껏 역사와 사극이 다루던 방식을 벗어나 사도세자의 입장에서 새롭게 진실의 문제로 재해석을 시도했다. 역사에 나온 뒤주에 가둬져 죽음을 맞이하는 사도세자의 이야기는 그래서 이 진실의 문제로 접근하면, 마치 진실을 알게 된 사도세자를 뒤주 속에 봉인하는 듯한 뉘앙스로 다가온다. 사도세자의 이야기를 끌어와 재해석했다는 점은 그만큼 이 사극이 가진 진실에 대한 갈망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제보자>는 훨씬 더 사실적이다. 거의 이름만 달라졌을 뿐, 황우석 사건을 마치 기록하듯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워낙 이 사건이 언론 등을 통해 가려지고 믿고 싶은 대중들의 열망에 의해 뒤틀려진 사실들이 많은 터라, 오히려 있는 그대로를 드러내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기 때문이다. 그 별다른 해석 없이 보여주는 이야기는 그래서 그 자체로 더 큰 진실의 대한 갈망을 드러낸다.

 

세상이 얼마나 많은 의문들과 의혹들을 있어 이처럼 진실을 갈구하게 된 것일까. 신문을 펴면 하루에도 수많은 일들이 벌어진다. 하지만 그 사건 사고들이 제대로 대중들에게 의혹 없는 진실을 보여주고 있을까. 아마도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그러니 그런 갈증들은 <비밀의 문>이나 <제보자> 같은 허구 속에서 꿈틀댄다. 진실을 밝히려 애쓰는 자들의 그 간절한 마음. 그것이 지금 대중들이 세상에 벌어지고 있는 일들에 대해 갖는 마음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