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노키오>, 이종석의 말, 윤균상의 칼
자신의 실제 이름을 숨긴 채 기자가 되어 억울한 아버지의 죽음과 거짓보도를 한 기자들을 밝히려는 최달포(이종석). 그리고 거짓말을 한 자들을 자신의 손으로 직접 처단하는 그의 형 기재명(윤균상). 이 두 사람의 교차편집으로 이뤄진 <피노키오> 5회의 마지막 몇 분은 팽팽함과 절절함이 극에 달한 시간들이었다.
'피노키오(사진출처:SBS)'
거짓말로 자신의 가족을 파탄 낸 세상에 대한 복수를 위해 한 사람은 펜(말)을 들었고, 다른 한 사람은 칼을 들었다. 그토록 증오하던 기자라는 존재는 최달포에게는 결국 진실을 밝히기 위해 반드시 되어야 하는 그런 존재가 되었다. 한편 아버지의 허망한 죽음을 알게 된 그의 형 기재명에게 남은 건 복수뿐이다.
하지만 이 두 사람이 헤어진 형제라는 사실은 이들의 또 다른 비극을 예고한다. 최달포가 사회부 기자라는 점은 그가 앞으로 기자가 되기 위해 진실을 파헤치는 그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든 범죄자가 된 자신의 형을 만나게 될 거라는 걸 예상케 한다. 그렇다면 그렇게 세상에 칼을 꺼내든 형 앞에서 과연 최달포는 진실의 말만을 전할 수 있을까.
<피노키오>가 세상에 문제의식을 던지는 방식은 이처럼 새롭다. 이 드라마는 한 가족의 비극을 처절하게 바닥까지 보여줌으로써 왜 누군가의 거짓말이, 또 그것을 받아 제 멋대로 과장한 언론의 거짓말이 얼마나 큰 폭력인가를 드러낸다. 억울하게 아버지와 어머니를 저 세상으로 보내고 형마저 복수의 삶을 살아가게 된데다 자신은 신분조차 숨기며 살아야 하는 최달포라는 주인공은 아마도 최근 드라마 속 주인공 중 가장 비극적인 인물이 아닐까 싶다.
<피노키오>는 현실의 비극을 바라보는 독특한 관점을 보여준다. 신문 사회면 사건을 보면 가해자와 피해자로 단순히 구분되어 보이지만 <피노키오>는 그 겉으로 보이는 면이 아닌 그들이 왜 그런 상황에 처하게 됐는가를 보여준다. 따라서 가해자와 피해자 이면에 숨겨진 진짜 부조리한 현실이 무엇인가를 파헤친다.
이것은 박혜련-조수원 콤비가 <너의 목소리가 들려>에서부터 지속적으로 추구해온 세계이기도 하다. <너의 목소리가 들려> 역시 사건 이면의 이야기를 듣는 주인공을 통해 비극의 진짜 실체에 다가가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았던가. <피노키오>는 그래서 그 연장선에 있는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피노키오>의 기저에 깔린 감정이 ‘분노’라는 것은 흥미로운 지점이다. 왜 이들은 이렇게 분노하는가. 그들이 분노하는 그 이유를 찾아가다보면 자연스럽게 우리는 잘못 흘러가는 시스템의 현실과 마주한다. 그 현실은 MSC의 송차옥(진경) 같은 인물로 드러나기도 하고, 이 가족을 한 순간에 파탄으로 몰고 간 거짓말을 한 화재현장의 작업반장의 얼굴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이 분노라는 감정은 어쩌면 지금 현재 대중들이 세상에 막연히 품고 있는 어떤 정서일지도 모른다. 왜 그저 열심히 살려고 했던 것뿐인데 이런 지독한 지옥에서 허우적거리는 삶을 살게 되었던가. 도대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마치 <그것이 알고 싶다>를 보는 것처럼 <피노키오>는 우리 앞에 그 감춰진 부조리의 얼굴들을 드러내 보여준다.
그리고 던져지는 질문. 과연 이 시대의 말과 칼은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가.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 말과 칼은 ‘정의’라고 이름 붙여질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정의는 진실을 통해 실현되고 있을까. 이 드라마가 그토록 절절하게 우리의 마음에 닿고 있다는 것은, 세상에 난무하는 말과 칼이 거꾸로 아무 죄도 없는 서민들을 향해 있다는 걸 말해준다. 그 말과 칼은 다시 제 방향을 찾을 수 있을까. <피노키오>의 복수극이 그 어느 드라마보다 흥미진진해지는 대목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제작자들이 '미생'에서 배워야할 것들 (0) | 2014.12.11 |
---|---|
주마간산은 가라, 시스템 해부하는 직업드라마들 (0) | 2014.12.03 |
'피노키오', 미생 이종석과 박신혜는 완생이 될까 (0) | 2014.11.22 |
'오만과 편견', 최민수가 있어 천만 다행이야 (0) | 2014.11.19 |
스펙 없는 장그래, 회사생활 잘하는 비결 (1) | 201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