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시장>의 아버지와 <미생>의 청춘들
“내는 생각한다. 힘든 세월에 태어나가 이 힘든 세상 풍파를 우리 자식이 아니라 우리가 겪은 기 참 다행이라꼬.” <국제시장>의 덕수(황정민)가 던지는 이 내레이션은 아마도 이 영화가 하려는 대부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여겨진다. <국제시장>은 마치 <포레스트 검프>처럼 한국전쟁부터 파독 광부, 베트남 전쟁 같은 우리네 현대사를 덕수라는 인물을 통해 보여준다.
사진출처: 영화 <국제시장>
덕수는 어린 시절 피난 중 흥남부두에서 막내의 손을 놓쳤고, 그 막내를 찾으러 간 아버지의 손을 놓쳤다. 그 트라우마는 그가 국제시장의 한 귀퉁이를 떠나지 못하고 있는 이유다. 영화는 덕수라는 인물의 특별한 사건을 다루기보다는 오히려 우리네 아버지들이 겪었을 현대사들을 그 자체로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동생의 대학등록금을 위해 파독 광부가 되어 얼굴에 온통 탄가루를 뒤집어쓴 채 지하에서 일하는 덕수의 모습은 그 자체로 짠한 느낌을 준다. 또 그 힘겨운 시절에 만난 파독 간호사 영자(김윤진)와의 사랑은 그만큼 애틋해진다. 독일에서 돌아와서도 동생의 결혼자금을 위해 베트남 전쟁에 기술근로자로 가는 이야기도 덕수가 겪는 사건들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충분히 눈물을 자아낸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이 영화는 덕수의 이야기에 눈물을 흘리다가도 문득문득 불편한 마음을 갖게 만든다. 그것은 이 영화가 ‘다루지 않고 있는 현대사’에서부터 비롯한다. 덕수가 겪는 이야기는 대부분 힘겨운 노동과 관련된 것들이다. 독일까지 가서 탄을 캐다 사고까지 당하는 이야기나, 베트남에서 총탄에 맞아가면서까지 덕수가 하고 있는 건 다름 아닌 일이다. 그리고 그가 그렇게 일하고 있는 이유는 가장으로서 지켜야할 가족들 때문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사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영화가 다루지 않는 역사들도 당연히 떠오를 수밖에 없다. 한국전쟁 당시 거짓 라디오 방송을 하며 제일 먼저 도망친 정치 지도자의 이야기나, 독일에 보내진 광부와 간호사들이 하루하루를 눈물로 보낼 때 정작 안에서는 개발시대의 부정과 비리들이 횡행했다는 사실, 그리고 무엇보다 베트남에서 자행된 폭력들은 지울 수 없는 우리네 현대사의 오점들이다.
기술노동자로 베트남에 간 덕수가 거기 고립된 베트남 사람들을 데리고 탈출하는 장면은 그래서 이 영화의 과잉된 감정과 부족한 역사인식을 드러낸다. 그 속에서 그들에게 총을 쏘아대는 이들은 마치 괴물처럼 치부된 베트남 사람들뿐이다. 하지만 과연 이 장면을 베트남 사람들이 본다면 어떤 생각을 하게 될까. 지나친 편향이라고 얘기하지 않을까.
이 영화가 슬픈 것은 역사와 무관하게 떼어내 보여주는 각각의 사건들이 그 자체로 슬플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테면 이산가족상봉의 이야기는 그 어떤 설명도 필요 없이 보는 이들을 눈물 흘리게 만든다. 그것은 영화가 만들어낸다기보다는 그 상황 자체가 만들어내는 슬픔이다. 하지만 이런 감정 과잉이 가라앉고 나면 그 이면에 놓여진 숨겨진 역사가 얼굴을 들이민다. <국제시장>이 불편해지는 지점은 여기서부터다.
결국 영화는 그 긴 세월을 돌아 현재로 이어진다. 덕수는 아버지를 떠올리며 “이만하면 저 잘 살았지요?”라고 묻는다. 카메라는 방에서 오열하는 덕수와 거실에서 화목하게 웃는 가족들을 동시에 보여주는데, 그것은 이 영화가 하는 이야기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아버지들이 그 고생을 해서 이제 후세들이 이만큼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여기에도 ‘가려진 이야기’가 존재한다. 잘 살게 되었다고 하지만 그렇다면 이 땅에는 왜 그리도 많은 ‘미생들’이 존재하는가. 아버지들은 그토록 노동 속에 점철되어 살아왔다지만, 그 아들들은 왜 노동의 현장에 아예 들어가지도 못하고 배제되는 잉여의 삶을 살게 되었을까. 아버지들은 노력하면 어느 정도 살만해지는 삶을 살았다고 해도, 그 아들들은 왜 노력해도 안 되는 삶을 그저 버텨내며 살아야 할까.
윤제균 감독은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자식 세대와 아버지 세대가 서로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만들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역지사지’가 <국제시장>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는다. 영화가 ‘아버지’라는 단어 하나가 주는 울림에 지나치게 기대다 보니 균형을 잃어버린 것이다. 눈물을 흘리면서도 이토록 불편해질 수 있다는 것. 그것을 <국제시장>이라는 영화의 역사의식 부재와 편향은 보여주고 있다.
'옛글들 > 영화로 세상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삼관', 이 탈경계의 아버지는 왜 감동을 줄까 (0) | 2015.01.20 |
---|---|
'언브로큰', 일반화하지 않은 안젤리나 졸리의 선택 (0) | 2015.01.10 |
'님아, 그 강을...' 신드롬, 우리 사회의 무얼 건드린 걸까 (0) | 2014.12.13 |
'님아, 그 강을...', 무엇이 눈물 폭탄을 터뜨렸을까 (6) | 2014.12.08 |
'카트', 우주 스펙터클에 시선 뺏긴 우리네 현실 (0) | 201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