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국제시장'과는 다른 '가족끼리 왜 이래'의 아버지

728x90

<국제시장><가족끼리 왜 이래>처럼 아버지를 다뤘어도

 

<국제시장>에 대한 관객들의 평가는 극과 극으로 나뉜다. 한 개인으로서의 아버지가 살아낸 한 시대를 휴머니즘에 입각해 그려냈다는 평가가 있는 반면, 산업화의 역군으로서의 아버지의 희생만 강조한 채 그 이면에 놓인 어두운 시대의 질곡들은 말끔히 세탁되어 있어 지나친 편향으로 보기 힘들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진출처: 영화 <국제시장>과 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

감독은 현대사를 다루면서 선택과 집중을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 선택과 집중에는 배제의 의미도 들어있다. 모든 것을 흑백논리로 나눌 수는 없는 일이다. 즉 백만을 선택해서 보여주면 흑이 배제된다. 감독은 지나친 이념화를 우려해 흑을 배제한 채 백만을 선택해 보여줬다고 말하는 셈인데, 이것 자체가 흑백 논리를 전제한 발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논란은 바로 이 지점에서 생겨난다.

 

어쨌든 이념적인 것을 뚝 떼놓고 바라보면 <국제시장>이 다루고 있는 건 다름 아닌 우리네 아버지들이다. 가족을 위해 자신의 삶을 기꺼이 포기하고 희생하는 아버지. 그런데 덕수(황정민)라는 인물이 격동의 세월을 가장으로서 버텨낸 삶이 이해는 되지만 깊은 공감으로까지 이어지지 않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그것은 이 아버지가 현재를 이야기하기보다는 과거에 머무르며 그 과거만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족들을 위해 모든 걸 희생했다고 하면서도 이 덕수라는 아버지는 자신과는 다를 수밖에 없는 자식들의 삶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 그의 시계는 50년 한국전쟁 당시 아버지와 동생을 잃었던 흥남부두에 멈춰 있다. 덕수라는 아버지의 입장에만 시선이 머물러 있기 때문에 가족들은 철없는 인물들정도로 피상적으로 그려진다. 그 중에는 아마도 4.195.16을 겪은 자식도 있을 것이고 누군가는 80년대 광주 민주화 운동을 겪은 이도 있을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90년대 IMF를 통해 깨져버린 개발시대의 환영이 경제적 양극화로 이어지는 걸 겪었을 수도...

 

그들은 일방적인 아버지의 시선에 의해 대상화되어 있다. 좀 더 양쪽의 입장을 공평하게 그려냈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아버지의 입장만큼 자식들의 입장도 똑같이 그려냈다면 <국제시장>은 감독이 그토록 얘기하는 진정한 세대 간 소통의 물꼬가 됐을 수 있다. 하지만 아버지의 입장만을 열거한 후, ‘우리 덕에 잘 사는 줄 알라는 식의 이야기는 소통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일방적인 느낌마저 준다.

 

물론 영화와 드라마는 장르적인 차이가 크지만 최근 무려 40% 시청률을 돌파하며 화제가 되고 있는 KBS 주말극 <가족끼리 왜 이래> 역시 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는 점에서 유사한 느낌을 준다. 아무래도 이렇게 아버지에 대한 재조명이 영화나 드라마에서 이뤄지고 있는 건 그만큼 우리네 현실 속에서 아버지들의 입지와 위치가 좁아지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하지만 같은 아버지를 다뤄도 <가족끼리 왜 이래>의 차순봉(유동근)은 전혀 다른 느낌을 준다.

 

한 평생 두부를 만들어 자식들을 키운 아버지 차순봉이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고 자식들과 보내는 마지막 시간들을 다루고 있다. 그런데 이 아버지는 저 <국제시장>의 덕수가 보여주는 그런 일방통행식의 이야기를 전하지는 않는다. 심지어 자식들에게 불효 소송을 하는 시퀀스가 있지만 거기에는 어디까지나 자식들이 잘 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마음이 담겨져 있다. 어딘지 가족에서 엇나가는 자식들이 가족의 품으로 돌아와 제 자리를 잡기를 바라는 것.

 

차순봉의 버킷리스트에는 빼곡하게 해야 할 일들이 적혀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 자식들의 앞날을 위한 것들이다. 딸 차강심에게 좋은 짝을 만나게 해주기 위해 선을 보게 하거나, 형제 남매들이 좀 더 돈독하게 지낼 수 있게 가족 댄스파티를 하는 것 같은 것들이 그것이다. 차순봉의 버킷리스트에는 자신이 아닌 자식의 그리고 과거가 아닌 현재와 미래가 담겨져 있다.

 

이 드라마가 다루는 자식들 역시 마찬가지다. 차순봉의 시한부 인생을 알게 된 차감심과 차강재는 비로소 그 죽음 앞에 아버지라는 존재에 대해 새삼 눈물을 흘린다. 아버지를 위해 뭐든 하기 위해 자식들이 모여 회의를 하는 장면은 그래서 아마도 이 시대의 부모세대들에게는 하나의 판타지처럼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판타지에도 저 <국제시장>이 그려내듯 일방적인 느낌은 전혀 없다. 아버지 세대와 자식 세대 간의 자칫 단절될 수 있는 삶이 아버지의 죽음이라는(어쩌면 누구나 맞닥뜨릴) 절대적 사안 앞에서 극적인 소통을 이루는 장면들을 이 드라마는 보여준다.

 

물론 <가족끼리 왜 이래>가 대단한 새로운 이야기를 하는 드라마라고 말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가족드라마가 가진 부모 세대와 자식 세대 간의 양 방향적 소통을 이뤄가는 것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소통을 얘기하면서 일방으로 던지는 방식을 보여주는 <국제시장>과는 사뭇 다른 느낌과 태도가 아닐 수 없다.

 

결국 가족의 힘이란 앞으로 나가는데 있다. 물론 그 나가기 위해 이전의 삶들이 중요했을 것이다. 그래서 그것을 조명하는 것이 나쁠 건 없다. 하지만 거기에만 머무른다면 그 가족은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정체되거나 심지어 퇴행될 수밖에 없다. 결국 과거와 현재의 세대가 함께 나가는 길을 모색하는 것. 그것이 가족을 다루는 올바른 방식이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