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과 <삼시세끼>, 결국은 노동에 대한 이야기
<미생>과 <삼시세끼>는 같은 날인 10월 17일 시작해 각각 12월21일, 12월20일 시즌을 끝냈다. 마치 tvN의 짝패처럼 두 프로그램이 동반상승했다가 유종의 미를 거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서로 달라 보이는 두 프로그램에서는 의외로 비슷한 느낌이 묻어난다. 그것은 이 두 프로그램이 모두 노동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는 치열한 일의 세계 그 안쪽을 들여다봤다면, 다른 하나는 그 치열한 일의 세계로부터의 탈주를 보여주었다.
'미생(사진출처:tvN)'
<미생>은 결말에 이르러 결국 떠나는 자와 떠나게 될 자를 보여주었다. 그들은 팀장까지 잘 버텨왔으나 사업의 실패로 인해 희생양이 되어 회사를 떠나게 된 오차장(이성민)과, 누구보다 열심히 일해 왔지만 정규직이 되지 못한 채 회사를 떠나게 될 장그래(임시완)다. 이 두 직장인이 보여주는 그림은 지독할 정도로 비극적이다. 아예 일의 세계에 정식으로 들어오지도 못하는 젊은이가 우리 세태의 한 면을 보여준다면, 그렇게 들어와 제 아무리 열심히 일한다고 해도 결국은 회사의 희생양이 되어 쫓기듯 나가게 되는 차장, 부장들이 우리네 현실의 또 다른 면이다.
그들은 생계를 위해 그 쉼 없는 일중독을 스스로 강요하며 살아간다. <미생>의 원 인터내셔널이라는 회사는 그래서 때때로 거대한 괴물의 뱃속 같다는 느낌마저 준다. 그 괴물을 살찌우기 위해서 그 안에 있는 존재들은 끝없이 괴물처럼 일해야 한다. 그 힘이 다하거나, 아니면 괴물과 이질감이 느껴지는 존재가 되는 순간, 그들은 그 뱃속으로부터 퇴출된다. 그것은 어찌 보면 자유지만, 끝없이 일 속에서 중독적으로 살아온 이들에게는 견딜 수 없는 배제의 뉘앙스로 다가온다.
<피로사회>의 한병철은 우리네 사회가 규율사회에서 성과사회로 바뀌었다고 말하며, 바로 그 성과사회에서는 누군가의 통제에 의해서가 아니라 성과에 대한 강박으로 인해 스스로 자신을 소진시키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굴러간다고 한다. 원작 <미생>에서 왜 오차장이란 캐릭터가 ‘빨간 눈’으로 그려졌는지 이해되는 부분이다. 그는 끊임없이 일 속으로 자신을 밀어 넣는다. 물론 그것은 가장으로서의 깊은 책임감 때문이지만, 밥 먹듯이 야근하고 주말마저 반납하며 일에 빠져드는 건 지극히 강박적이다. 이제 우리 사회는 일 하지 않으면 스스로 미칠 것만 같은 오차장들을 소진시키며 굴러가고 있다.
바로 이 개인을 자발적으로 소진시켜 굴러가는 성과사회의 극단에 서게 되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삼시세끼> 같은 정반대의 삶에 대한 로망이다. 강원도 정선의 벽지라는 도시에서의 거리는 어쩌면 일에서 벗어나려는 안간힘의 거리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정도는 떨어져 고립되어야 겨우 일에서 벗어난 금단현상을 이겨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무 것도 하지 말고 ‘삼시세끼’만 챙겨먹으라는 유일한 미션의 공간은 그래서 이 일중독의 사회에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낯설면서도 어색하고 그러면서도 어딘지 부러움을 사는 장소가 된다.
밍키나 잭슨 같은 동물들과의 교감을 보여주고, 조금씩 자라나는 채소들의 성장을 바라보고, 지천으로 떠 있는 별과 드디어 들리기 시작한 시골의 소리들을 들려주는 건 그래서 마치 일중독을 치유하는 하나하나의 처방전 같은 느낌으로 다가온다. 물론 그렇게 처방전이 주어져도 그 안에 들어온 잠재적 일중독자들은 노동의 습관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들이 스스로를 ‘노예’라고 부르는 대목에서는 그래서 벗어나도 스스로 노동을 찾아가는 자신들을 희화화 한다. 그 안에는 씁쓸한 자조도 섞여있다.
이서진이 독특한 것은 그가 끊임없이 투덜대면서도 일을 한다는 점이다. 그는 마치 일 중독 사회가 만들어내는 ‘소진’을 극도로 싫어하면서도 결국은 그 일로부터 벗어나지 못하는 현대인들을 솔직하게 보여준다. 수수지옥으로 불리는 공간은 그래서 자못 상징적이다. 일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들은 일을 안 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일 속으로 들어간다. 다만 그 일이 아무런 목적이나 목표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을 그것을 마치 일이 아닌 놀이처럼 받아들인다. 성과주의 바깥에서의 일이란 그처럼 놀이화된다. 노예놀이 혹은 소꿉장난처럼.
<미생>과 <삼시세끼>가 모두 대단한 성공을 거둔 이면에는 이처럼 노동의 그늘이 드리워져 있다. 우리가 늘 그 안에서 살아가며 벗어나지 못하는 일의 세계에 대해 <미생>은 그 괴물 같은 시스템의 전모를 보여주면서도 그 안에서 소진되어가는 이들에 대한 아낌없는 애정을 보여준다. 그 버티는 삶을 긍정해주는 시선에서는 보는 이들을 똑같이 위로해주는 힘이 생겨난다. <미생> 신드롬은 바로 그 공감대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반면 <삼시세끼>는 그 노동 바깥으로 빠져나와 자연 속으로 고립됨으로써 일중독을 치유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들의 행위는 그래서 도시의 노동자들에게는 로망이 된다. 그들은 일 바깥에서 비로소 발견한 새로운 세상에 대한 경이로움을 드러낸다. 결국 이 두 프로그램의 성취는 우리가 살고 있는 성과사회의 두 측면을 담아낸 데서 비롯한 것이다. 11주 동안 우리는 그 노동의 두 얼굴을 마주했던 셈이다.
'옛글들 > 네모난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떠나는 김성준 앵커, 그가 남긴 깊은 여운 (0) | 2015.01.02 |
---|---|
'국제시장'과는 다른 '가족끼리 왜 이래'의 아버지 (4) | 2014.12.30 |
이승철 입국거부, 하나는 알아도 둘은 모르는 일본정부 (0) | 2014.11.12 |
교양 없는 MBC, 이승환의 분노 ‘어떻게 그래요?’ (6) | 2014.11.03 |
MBC 시사교양의 해체, 과연 용납될 일인가 (14) | 201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