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순수의 시대', 어쩌다 신하균의 몸으로만 남았을까

728x90

멜로가 된 <순수의 시대>, 왜 시대를 담지 못했나

 

신하균은 왜 이 영화에 출연했을까. 새로 개봉한 영화 <순수의 시대>는 사극이다. 조선 초기 이방원의 왕자의 난을 소재로 다뤘다. 역사적 사실이야 사극을 조금 봤다 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나 이해되는 것일 게다. KBS <용의 눈물>이나 <정도전> 같은 사극이 다뤘던 그 시대.

 

사진출처:영화 <순수의 시대>

하지만 <순수의 시대>는 그 역사적 사건에 집중하지 않는다. 대신 이방원(장혁)의 왕자의 난에서 오히려 역적으로 몰린 김민재(신하균)가 기녀 가희(강한나)에게 보내는 절절한 순애보를 다루고 있다. 19금 영화이니 당연히 노출수위가 높고 정사신도 많이 나오지만 안타깝게도 그것이 그렇게 특별히 인상적으로 다가오지는 못하고 있다. 그것이 과연 그런 정사신이 이 영화에 꼭 필요한 부분이었는가에 대한 답변을 영화가 충분히 해주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전장에서 수없이 죽음을 넘어서고 누군가를 죽게 한 이 강인한 김민재가 한 여인을 위해 죽음을 불사하는 사랑을 보이는 장면은 뭉클한 면이 있지만 영화는 그 이상의 울림을 담아내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이 가희라는 여인의 삶이 좀 더 민초들의 삶으로 확장시켰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만일 그랬다면 그 핍박받는 삶에 대해 지금의 대중들이 현실적인 공감대를 가졌을 수도 있다. 그것은 또한 그런 그녀를 끝까지 보호해주는 김민재라는 캐릭터 역시 특별하게 만들어낼 수도 있었을 것이다.

 

<순수의 시대>는 그 이야기 구조 상으로 보면 지금 현재를 살아가는 서민들의 정서를 담아낼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했다는 점이다. 정치인들은 서로 권력을 잡기 위해 죽고 죽이는 일을 반복하고 그 사이에 낀 서민들은 이들 권력자들의 손에 핍박받다 아무렇게 죽음을 맞이하고 심지어는 역사적 기록에서조차 삭제된다. 이 얼마나 지금의 현실과 조응하는 면이 많은가.

 

하지만 결과적으로 <순수의 시대>는 이런 폭넓은 의미망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김민재와 가희의 지극히 사적인 사랑에만 집중함으로써 이야기를 그저 멜로에 머물게 만든다. 물론 모든 사극이 역사를 빌어와 어떤 의미를 찾아낼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사적 멜로를 그리기 위해 이 거대한 역사적 사건을 끌어왔다면, 그 사적 멜로가 공적인 사건들 속에서 어떤 의미를 차지하는가는 영화가 얘기해줘야 했던 게 아닐까.

 

이 영화에 출연하는 배우들의 연기는 모두가 나무랄 데가 없다. 신하균은 그 단단하고 신경질적인 근육의 몸만으로도 영화에 비장미와 긴장감을 만들어내고, 장혁은 이방원을 허허실실과 잔인함을 겸비한 인물로 해석해낸다. 그저 섹시 스타로만 이미지화되어 있던 강한나는 의외로 영화의 중심을 잘 잡아주고 있고, <미생>에서 장백기라는 스펙남을 연기했던 강하늘은 놀라운 악역 변신을 보여준다.

 

이들 각각의 호연은 대단히 인상적이지만, 그것이 영화에 하나로 묶여지지 않아 힘이 생기지 않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순수의 시대>라고 제목을 지었지만 영화는 그 시대적 의미를 잘 담아내지 못했다. 그나마 영화를 끝까지 볼 수 있는 힘은 신하균의 그 몸에서 나온다. 그 몸과 표정 하나가 전해주는 절절함과 긴장감이 없었더라면 영화는 지리멸렬해지고 말았을 것이다. 그 상처투성이의 몸을 쓰다듬는 가희의 손길에 좀 더 민초의 의식을 담아냈다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