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장동민 하차, '무도'는 어떤 묘수를 낼 것인가

728x90

상처 많은 <무도> 식스맨, 이제라도 시각을 바꿔야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제 바람과 욕심이 <무한도전><무한도전>을 사랑하시는 모든 분들께 누를 끼치지 않도록 미약하나마 후보 사퇴를 통해 제 잘못에 대한 뉘우치는 마음을 전하려 합니다.” 마치 장관이나 국무총리의 청문회 끝에 나올 것만 같은 이야기가 장동민의 입에서 나왔다. 그는 결국 2013년에 팟 캐스트에서 했던 문제의 발언들이 빌미가 되어 <무한도전> 식스맨 후보에서 자진사퇴를 결정했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과거를 반성하고 이제 비상하려던 한 개그맨이 대중적인 심판대에 올라 꿈이 꺾인 것에 대해 안타까움이 없는 것은 아니나, 이 또한 어쩌면 장동민으로서도 치러야할 과정일 것이다. 인터넷은 잘못된 과거를 덮지 못한다. 그것들이 분명한 사죄의 절차적 과정을 통해서만이 그저 받아들여질 뿐이다. 우리는 이 사태를 김구라를 통해 확인한 바 있다. 대중적인 지지가 높아질수록 검증의 잣대는 더 날카로워진다.

 

장동민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지만 그보다 이 논란이 가져온 <무한도전>에 남긴 여파는 자못 크다고 할 수 있다. 이건 결코 <무한도전>이 식스맨 특집을 통해 원했던 결과가 아니다. <무한도전> 식스맨 특집을 기획한 것은 실제로 그 여섯 번째 멤버가 필요하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김태호 PD도 밝힌 바대로 이보다 더 큰 것은 우리 예능계에 이처럼 많은 가능성의 존재들이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어서였다. 물론 장동민은 가능성만큼 위험성도 컸다는 걸 말해주지만.

 

하지만 이런 의도에도 불굴하고 <무한도전>이 가진 현실적인 영향력과 팬덤은 이 일종의 선거전을 그저 웃으며 바라볼 수 없게 만들었다. 누가 식스맨이 될 것인가에 더 초점이 맞춰졌던 것. 그러니 그 물망에 오른 인물들에 대한 대중적인 호불호는 <무한도전>의 팬덤을 흐트러뜨리는 결과로 이어졌다. ‘축제니 뭐니 말하지만 선거란 냉철하게 말하면 낙선자를 지지한 이들의 상처를 남기기 마련이다.

 

본래 의도와 상관없이 생겨난 <무한도전> 식스맨 특집의 상처는 너무 결과 지향적으로 이 아이템을 바라본 데서 발생한 일이다. 누가 될 것인가. 누가 떨어질 것인가. 그런데 사실 이건 지금껏 결과가 아니라 과정을 중시하고 그것을 모토로 하는 <무한도전>의 색깔과는 너무 동떨어진 시각이다. 어찌됐든 의도와 달리 이렇게 바라보는 시각이 생긴 만큼 그 집중도는 높아졌을지 몰라도 그 뜨거워진 만큼의 상처들도 생겨날 수밖에 없었다.

 

장동민의 자진하차는 이번 식스맨 특집의 의도와 달리 만들어진 상처의 가장 큰 표본처럼 보이지만 사실 그 이면에는 이미 불편함과 상처들이 존재했을 거라 여겨진다. 이를테면 유병재 같은 후보가 탈락했을 때 그를 지지하던 팬들은 어떤 식으로든 실망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심지어 이번 장동민 사태가 갑자기 불거진 것에 대해 배후가 있다는 식으로 음모론이 나오는 건 예상외로 치열해진 식스맨 선거전의 양상을 잘 드러내준다.

 

물론 이 모든 건 <무한도전>이 의도한 게 아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렇게 흘러왔다면, 거기에 대해 결자해지를 하는 것도 <무한도전>이 해야 할 일이다. 지금으로서 가장 좋은 방법은 애초의 의도대로 식스맨이라는 자리를 한 사람의 자리로 부여하는 일을 피하는 것이다. 지금 현재 막상 식스맨이 된다고 해도 그 위치가 편할 수 있는 후보들은 거의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런 결과는 선거전의 여진으로 남아 식스맨 당사자에게도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다.

 

왜 굳이 식스맨은 한 사람이어야 할까. 지금껏 이 아이템을 위해 노력해온 많은 후보군들이 그 자리를 돌아가며 차지할 수는 없는 일일까. 이것은 그간 고생한 후보들에 대한 예우이기도 하고, 본래 식스맨 특집 기획의 본질적인 의도에 부합하는 일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무한도전>의 상수로만 이뤄진 견고한 가족 시스템이 자연스럽게 변수를 하나씩 집어넣어 새로운 이야기를 창출해내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늘 그래왔듯, <무한도전>이 이번 사안에서도 모두가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묘수를 내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