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상류사회', 왜 뻔한 설정일수록 기대될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상류사회', 왜 뻔한 설정일수록 기대될까

D.H.Jung 2015. 6. 10. 09:24
728x90

상투성을 깨는 묘미, 이게 바로 하명희 작가의 힘

 

어찌 보면 너무 뻔한 제목이다. <상류사회>. 드라마들이 지금껏 가장 많이 다뤄왔던 그 소재. 그래서 상투성으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소재다. 서민들의 선망과 호기심, 궁금증을 자극하려면 서민적인 이야기보다는 상류층의 이야기를 다루라는 건 드라마계에 오랫동안 내려왔던 불문율 같은 것이기도 하다.

 

'상류사회(사진출처:SBS)'

<상류사회>는 그 캐릭터들의 구도 또한 익숙하다. 전형적인 재벌가 남자인 창수(박형식) 같은 인물도 있고 남다른 실력으로 그 상류사회에 편입하고픈 욕망을 가진 준기(성준), 그저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티고 살아가면서 신데렐라를 꿈꾸기도 하는 지이(임지연)나 재벌가 안에서도 차별을 받는 윤하(유이) 같은 인물도 있다. 어디선가 많이 봤던 캐릭터들이다.

 

보통 이 정도 되면 기대할 게 별로 없다고 여겨질 수 있다. 뻔한 소재에 뻔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는 것이니. 하지만 여기에는 이 모든 걸 뒤집어엎는 변수가 있다. 그것은 이 뻔해 보이는 드라마의 작가가 다름 아닌 바로 <따뜻한 말 한 마디>로 주목받은 하명희 작가라는 점이다. 불륜이라는 뻔한 소재를 완전히 다르게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었던 <따뜻한 말 한 마디>를 떠올려보라. 상투성을 가져와 그것을 뒤집는 건 하명희 작가가 가진 독특한 매력이다.

 

이를 염두에 두고 <상류사회>의 첫 회를 다시 돌이켜보면 그 안에 무언가 다른 지점들을 발견하게 된다. 즉 윤하 같은 인물은 우리가 흔히 봐왔던 재벌가 사람들과는 약간 궤를 달리한다. 뭐 하나 부러울 것 없어 보이는 인물이지만 그녀는 그 상류사회의 삶에 깊은 상처를 갖고 있다. 그녀의 엄마인 혜수(고두심)는 제왕적인 남편 밑에서 굴욕적인 삶을 살아가는 인물. 그녀는 딸 윤하에게 자신에게 쌓인 화풀이를 해대는 듯한 느낌을 준다.

 

윤하가 신분을 숨긴 채 지이 같은 치열한 삶을 사는 청춘과 친구사이로 지내는 건 그가 상류사회에서는 도무지 마음을 열 수 있는 대상이 없다는 걸 말해준다. 윤하의 캐릭터는 흔하디 흔한 상류사회의 삶을 통해 과연 어떤 것이 진정한 행복인가를 질문한다.

 

창수와 준기는 사적으로는 친구지만 공적으로는 상사와 부하직원의 관계다. 이 미묘한 관계는 아마도 사적인 사랑이 얽히게 되면서 복잡해질 가능성이 높다. 상류사회에 편입하고픈 욕망과 사적인 사랑에 대한 욕망의 부딪침은 준기라는 인물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놓는다.

 

흥미로운 건 이 드라마의 주요 인물들이 모두 청춘이라는 점이다. 이것은 <상류사회>의 이야기를 가져오면서도 그 삶이 고착화된 인물들의 뻔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런 외적 환경과 무관하게 순수와 욕망 사이에서 좌충우돌하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풀어낼 거라는 기대감을 갖게 만든다.

 

요컨대 적어도 하명희 작가에게는 그래서 뻔한 구도와 소재는 아이러니하게도 그 기대감을 더 높여주는 것이 된다. 그것은 우리가 그 뻔한 구도와 소재의 상투성에 갇혀 있는 것을 이 작가가 깨주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과연 <상류사회>는 이런 기대를 충족시켜줄 수 있을까. 1회보다 2회가 더 궁금해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