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개콘'에 '무도'까지, 누가 풍자에 재갈을 물리나 본문

옛글들/명랑TV

'개콘'에 '무도'까지, 누가 풍자에 재갈을 물리나

D.H.Jung 2015. 7. 5. 09:54
728x90

메르스 풍자, <개콘><무도>가 무슨 잘못을 했던가

 

<개그콘서트>에 이어 <무한도전>도 방통심의위원회로부터 징계를 받았다. 이유는 이번 메르스 사태를 풍자한 것에서 비롯됐다. 보건복지부의 메르스 감염 예방 기본수칙으로 소개됐던 낙타와의 접촉을 피하라는 황당한 내용을 풍자한 것이었다. 방통심의위원회는 <무한도전>낙타, 염소, 박쥐 같은 동물 접촉을 피하라는 메르스 예방법을 얘기하면서 중동지역을 넣지 않은 것에 객관성 위반이란 의결을 내렸다고 한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이번 <무한도전>의 방송 때문에 염소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다고 논란이 일어났던 건 사실이다. 이 때문에 <무한도전> 제작진은 염소 농가에 사죄의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애초에 이런 예방법을 적시한 건 보건복지부였다. 이 예방법이 소개됐을 때 각종 패러디물들이 인터넷을 가득 메운 건 그래서다. <무한도전>이 풍자하려 했던 건 바로 그 점이다. “낙타를 어디서 봐라고 버럭하는 박명수는 대중들의 황당했던 입장을 대변하고 있었던 것.

 

하지만 방통심의위원회는 이 풍자의 본질을 들여다보기보다는 ‘<무한도전>이 중동지역을 특정하지 않아 국내 염소농가 등에 불필요한 오해와 피해를 유발했다는 민원에 충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생각해봐야 하는 건 방통심의위원회의 역할이다. 과연 이 위원회는 보다 좋은 방송을 위한 조직인가 아니면 방송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한 조직인가. 민원은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그 민원이 모두 받아들여지는 건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거기에는 어떤 판단이 들어갈 텐데, 과연 <무한도전> 했던 풍자의 내용이 나쁜 방송이었을까.

 

<무한도전>은 보건복지부의 예방법을 그대로 내보내면서 그걸 풍자한 것뿐이다. 풍자가 무엇인가. 그 예방법의 황당함을 드러내는 일이다. 예방법이 잘못됐다는 걸 이 풍자는 결국 말해주고 있다는 얘기다. 만일 이 보건복지부의 예방법을 그대로 내보낸 것이 문제가 된다면 그건 보건복지부 역시 제재를 받아야 한다. 국민들을 황당하게 만들고, 각종 패러디와 우스갯소리까지 쏟아져 나오게 한 건 애초에 보건복지부이기 때문이다.

 

<개그콘서트>민상토론은 역시 메르스 사태를 풍자하면서 방통심의위원회로부터 행정지도를 받았다. “불쾌감을 유발했다며 품위유지 조항을 적용해 행정지도 의견제시제재를 확정한 것. 이 민원은 보수 성향의 시민단체인 인터넷미디어협회에서 나왔다고 한다. 이 단체는 민상토론에서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의 무능을 풍자한 것을 문제 삼았다.

 

하지만 불쾌감을 유발했다는 얘기나, 품위를 손상했다는 얘기는 너무나 자의적인 판단이 아닐 수 없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의 마스크 쓴 사진을 공개하면서 방역을 위해 항상 마스크를 쓰고 다니는 모범 국민”, “솔선수범하는 모습이라고 풍자한 것이 불쾌하고 품위를 손상했다고 말할 수 있는 대목일까. 그 풍자는 문 장관 본인이 메르스의 공기 감염 가능성을 부인하고는 정작 공식일정에서 마스크를 쓰고 나온 것이 구설수가 됐던 걸 꼬집은 내용이었다. 그건 사적인 지적이 아니다. 공인으로서의 문 장관에 대한 비판은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방통심의위원회의 <개콘>에 이은 <무도> 징계 결정은 그것은 좋은 방송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방송에 재갈을 물리는 일이 아닐 수 없다. 풍자란 건강한 것이다. 적어도 최소한의 숨통을 틔워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항간에는 가뭄에 역병을 얘기한다. 이런 답답한 현실에 작은 웃음 하나 허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 입을 막아버리는 행위는 결코 건강한 일이 아닐 것이다. 때로는 이런 소통 부재는 더 큰 문제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