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트렌디를 넘어서는 ‘커프’의 사랑법

728x90

청춘의 순수함과 솔직함이 차별점

“오늘 완전히 드라마 찍었어요.” ‘커피 프린스 1호점’의 고은찬(윤은혜)이 최한결(공유)에게 웃으며 건네는 말이다. 그런데 상황을 보면 그게 웃을만한 일은 아니다. 둘이 사귄다는 사실을 알고 찾아온 할머니가 돈 때문이냐며 헤어질 것을 강요하는 장면을 두고 한 말이기 때문이다.

고은찬의 말처럼 이런 장면은 드라마에서 흔히 등장하는 장치다. 그런데 ‘커피 프린스 1호점’의 주인공들은 보통의 드라마가 하듯 반응하지 않는다. “촌스럽게 왜 그래?” 할머니의 반응에 한결이 이렇게 말하듯, 그런 반응은 적어도 ‘커피 프린스 1호점’에서는 ‘촌스러운’ 것이다.

“우리 결혼할까? 물론 결혼 안 하고 그냥 살 수도 있지만 아이가 3일은 우리 집, 3일은 당신 집 이렇게 사는 건 이상하잖아.” 최한성(이선균)이 아기가 생긴 한유주(채정안)에게 하는 말이다. 결혼하지 않고 아기가 생긴 그들이지만 상황을 너무나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적어도 그들에게 결혼이란 껍데기 정도로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커피 프린스 1호점’이 보여주는 연애와 사랑의 방식은 우리가 드라마를 통해 익히 보아왔던 그것과는 다르다. 그것은 이미 고은찬이 남장여자로 등장하고 그녀가 “남자라고 해도 너를 사랑하겠다”고 최한결이 얘기하는 부분에서 극적으로 드러난 바 있다. 이들의 사랑법에는 관계 자체를 구속하는 사회적이고 관습적인 어떠한 틀도 존재하지 않는다. 굳이 그 사랑법을 정의하자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음가는 대로’.

이것은 이 드라마와 여타의 드라마를 구분 짓는 가장 큰 차별점이다. 청춘 멜로 드라마든 트렌디 드라마든 거기 등장하는 남녀들의 사랑과 연애에는 덕지덕지 붙어있는 것들이 많다. 그것은 때론 나이가 되기도 하고, 때론 돈이 되기도 하며 좀 구질구질한 것이지만 심지어 출신성분이 거론되기도 한다. 이것은 어찌 보면 현실이기 때문에 아무리 세련된 드라마라 해도 피해가기 어려운 구석이 있다.

‘커피 프린스 1호점’ 역시 캐릭터가 가진 설정만으로 보면 여타의 드라마들이 갖고 있던 상투성을 거의 다 갖추고 있는 게 사실이다. 대기업 사장 아들과 가난하지만 씩씩한 여성의 로맨스, 아들이 가진 숨겨진 과거, 삼각 사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인물구도 모두 익숙한 것들이다. 그런데도 왜 이 드라마는 다른 드라마들과 다르게 느껴지는 걸까. 그것은 이 트렌디한 설정을 다루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대기업 사장 아들과 가난하지만 씩씩한 여성이란 설정이 틀에 박힌 신데렐라 이야기로 가지 않는 것은 이들의 사랑 속에 돈에 대한 냄새가 애초부터 배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최한결이 외제차를 끌고 다녀도 그건 그냥 그런 것일 뿐, 외제차가 가진 부를 상징하진 않는다. 그것은 최한결과 최한성의 집이나 그들이 누리는 생활 방식에서도 마찬가지다. 거기에는 과시라는 측면이 없고 그냥 좋은 것이라는 솔직함만 존재한다.

최한결의 숨겨진 과거도 이 드라마에서는 특유의 상큼함으로 처리된다. 친아버지를 만났지만 그는 자신이 그걸 알고 있다는 사실을 끝내 친아버지에게 밝히지 않는다. 굳이 그걸 밝히는 것이 무슨 필요가 있을까. 좋은 감정으로 헤어지고 또 만남을 기약하면 그뿐이다. 게다가 그 사실을 알았다고 해서 길러준 부모와의 관계에 어떤 변화가 생긴 것도 아니다. 이 드라마는 이렇게 기존 드라마가 관행처럼 사용한 관계의 틀을 벗어남으로써 전혀 다른 쿨함을 확보한다.

네 캐릭터들이 엮어내는 사각관계 역시 멜로 드라마들이 상투적으로 써왔던 질투와 질시로 이어지는 대결구도를 벗어난다. 그들에게 사랑은 진실된 감정이고 그 감정의 흐름에 정직한 행동은 용서받지 못할 행동이 되지 않는다. 최한성의 순간적인 감정의 흔들림은 결과적으로 자신 속에 오래 전부터 있어왔던 한유주에 대한 사랑을 극적으로 깨닫게 하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 모든 차별점을 만들어내는 중심에는 ‘마음이 말하는 것에 솔직한 젊은 감성’ 이 있다. 거기에는 트렌디 드라마가 갖는 돈도 지위도 직업도 쿨하게 넘어서게 만드는 그 무엇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예쁜 그들의 사랑법이 환타지로 느껴지는 것은 그만큼 현실이 더 계산적이기 때문일까. 좋아하면 좋아한다 말하고, 아프면 아프다고 말하며, 기쁘면 기쁘다고 말하는 이들의 ‘마음가는 대로의 사랑법’은 그래서 문득 문득 잊었던 청춘의 순수한 사랑의 열정을 떠올리게 만든다. 그 무엇도 감히 사랑과 연애를 구속하지 못했던 그 순수했던 때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