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해피투게더3', 유재석의 진심이 효력을 발휘하려면

728x90

토크쇼 외면 시대, <해피투게더>가 살 길은

 

3.7%. 시청률이 모든 걸 말해주는 건 아니지만 <해피투게더3>는 현실을 인정해야 할 것 같다. 물론 유재석이 말했듯 시즌4를 향해 가기 위한 일종의 과정일 수 있다. 그래서 지난 주 새롭게 바뀌었으나 어딘지 산만했던 프로그램은 한 주가 지나자 훨씬 정리된 느낌(?)이었다. 게스트의 100가지 물건을 강당 같은 스튜디오에 늘어놓는 프로그램의 도입부분은 과감히 사라졌고, 대신 후반부의 컨베이어 벨트에 올라온 물건들을 갖고 게스트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으로 프로그램의 전부를 구성했다.

 


'해피투게더3(사진출처:KBS)'

게스트로 출연한 조정석과 배성우는 나쁘지 않았다. 특히 배성우는 전혀 웃기려는 의도가 보이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빵빵 터트렸다. 형사 연기를 하고 있을 때 형사 목소리로 보이스 피싱을 당했다는 배성우의 이야기는 그의 엉뚱한 매력을 잘 드러내줬다. 조정석 역시 과거 <건축학개론>에서 했던 납득이의 대사들이 상당 부분 애드리브에 의한 것이라는 걸 들려줬다. 그들의 이야기는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하지만 이렇게 정리하기 위해 지난주의 앞부분을 과감히 잘라내자 뒷부분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은 전형적인 <해피투게더>식의 연예인 토크쇼가 되어버렸다. 물론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거기 물건들이 올라와 그걸 통해 이야기를 끄집어내긴 하지만 그들이 테이블에 앉아 이런 저런 에피소드를 들려주는 방식은 단지 사우나에서 이 공간으로 옮겨놓은 듯한 느낌을 줬다.

 

이렇게 되니 게스트의 출연 역시 과거 <해피투게더>가 보여주던 방식 그 이상을 보여주진 못했다. 유재석은 끊임없이 게스트들의 이야기를 복기하고 그렇게 캐릭터를 끄집어냈고, 박명수는 특유의 콕콕 찌르는 멘트들로 프로그램에 적당한 긴장감을 만들었다. 이렇게 되니 전현무와 김풍은 전혀 자리를 잡을 수가 없었다. 그건 과거 <해피투게더>의 틀 그대로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익숙한 유재석과 박명수 그리고 게스트들의 전형적인 토크쇼로 회귀한 것.

 

유재석은 시청자들의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일 것이고 그걸 또 프로그램에 반영하겠다고 했다. 심지어 자신을 포함한 MC들도 필요하면 하차하겠다는 뜻까지 언뜻 내비쳤다. 그 진심이 느껴진다. 하지만 제아무리 유재석이 진심을 다해 노력한다고 해도 연예인 토크쇼에 대한 시청자들의 마음은 쉽게 바뀌지 않을 듯하다. 시청자들은 언젠가부터 연예인들이 나와 자신들의 이야기를 하는 토크쇼를 외면하기 시작했다.

 

JTBC에서 하는 <썰전>이나 <비정상회담> 나아가 <냉장고를 부탁해> 같은 프로그램을 연예인 토크쇼의 변형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들 프로그램들의 관전 포인트는 <해피투게더>가 보여왔던 연예인 토크쇼 방식과는 완전히 다르다. <썰전>은 시사나 정치라는 특수한 소재를 가져왔기 때문에 연예인 이야기는 들어갈 틈이 없다. <비정상회담>은 연예인이 아닌 외국인들을 출연시켜 그들의 관점으로 우리 사회를 들여다보는 틀이고, <냉장고를 부탁해>는 토크쇼라기보다는 웬만한 스포츠 경기를 보는 듯한 요리 버라이어티쇼에 가깝다. 즉 스튜디오에서 하는 예능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건 아니라는 점이다.

 

<해피투게더>는 지금껏 시즌을 거듭하면서 위기 때마다 변신했고 그 진화를 성공시켜 왔다. 그렇다면 지금 현재 예능의 경향을 읽어야 하고 달라진 시청자들의 정서를 이해해야 한다. 토크쇼라는 형식 자체가 먹히지 않는 시대에 들어섰고 그것도 연예인 토크쇼는 제아무리 재미있어도 관심을 끌기 어렵다는 게 이미 드러났다.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가 자리를 잡은 것은 유재석이나 김구라가 있기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거기 매회 기막힌 사연과 이야기들을 갖고 출연하는 일반인 출연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그들의 이야기는 시청자들에게 마치 자신들의 이야기처럼 친근하다. 지석진이 중국에서 한류스타로 굉장한 인기를 끌고 있다는 이야기나 개리가 힙합 가수로 성공하기 위해 몇 권의 노트를 빼곡히 가사로 채웠다는 이야기는 흥미롭긴 하지만 시청자들의 이야기처럼 여겨지지는 않는다.

 

시청자들이 원하는 건 연예인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동상이몽>처럼 부모와 자식 간에 벌어지는 갈등을 보여주거나, <썰전>처럼 정치나 시사에 깔려 있는 우리 사회의 현안을 쉽게 알려주거나, <비정상회담>처럼 외국인의 관점으로 우리의 이야기를 들려주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냉장고를 부탁해>처럼 토크보다는 버라이어티쇼에 더 초점을 맞춰 눈을 떼지 못하게 하거나 해야 시청자들은 비로소 몰입한다.

 

<해피투게더>는 일반인을 출연시킬 것이 아니라면 차라리 토크쇼보다는 스튜디오에서 벌이는 버라이어티쇼를 취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다. 그나마 연예인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어떤 즐거움이기 때문이다. ‘공포의 쿵쿵따같은 게임쇼를 하는 편이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몰입이 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 쟁반노래방같은 버라이어티 요소들을 더욱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유재석의 진심이 효력을 발휘하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