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시간대 1위 해내겠다”, 이런 유재석 처음이야옛글들/명랑TV 2016. 1. 1. 09:53728x90
유재석과 <런닝맨>, 상 받고도 절치부심한 까닭
“2016년 동시간대 1위 꼭 해내겠다.” <SBS 연예대상>에서 김병만과 공동으로 대상을 수상한 유재석은 이례적으로 이런 각오를 내보였다. 연말 연예대상에서 늘 여유로운 미소를 잃지 않던 것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대상을 받아서 기쁘기는 하지만 마냥 기뻐할 수는 없다는 내색이 역력했다.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모습이어서인지 거기서는 비장함까지 느껴졌다.
'SBS 연예대상(사진출처:SBS)'
유재석의 대상에 앞서 <런닝맨>은 ‘시청자가 뽑은 최고 프로그램상“을 수상했다. 임형택 PD는 기뻐했지만 역시 마냥 기뻐하기보다는 내년에 대한 각오를 털어놨다. 부족하다는 것을 안다고 말했고, 상이 더욱 무겁게 느껴진다며 앞으로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사실 이번 <SBS 연예대상>은 <런닝맨>의 무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존재감이 두드러졌다. 지석진이 우수상을 받았고, 송지효과 개리가 최우수상을 받았다. 중국 소후TV에서 생중계됐던 만큼 <런닝맨>에 대한 관심은 더 높을 수밖에 없었다. 지석진은 중국노래를 불러 팬서비스를 하기도 했다.
관심도 지대했고 최고의 상도 받았으나 정작 임형택 PD나 유재석이 절치부심하는 모습은 보인 건 왜였을까. 중국판 <런닝맨>이 엄청난 화제를 모으며 예능 한류의 새로운 길을 트고 있는 반면, 국내의 <런닝맨>은 과거의 영광에 비해 소소해진 까닭이다. 유재석이 “동시간대 1위”의 각오를 다질 만큼 시청률도 뚝 떨어졌고 화제성 역시 많지 않은 편이다.
<런닝맨>이 이렇게 된 건 초창기 시도했던 다양한 게임 도전이 어느 순간부터 게스트를 초대해 벌이는 단순한 게임의 반복으로 바뀌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물론 그 상황을 이해할 수 없는 건 아니었다. 예를 들어 <셜록>을 끌어와 시도했던 추리 게임이나, 초능력자 콘셉트로 의외의 재미들을 만들었던 초능력 게임들은 굉장한 화제를 만들었지만 일반 시청자들에게는 낯설다는 평가를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마니아적인 느낌을 벗어나려 했던 것이 <런닝맨>이 평이해진 이유가 되었다.
하지만 그렇게 몇 년이 지나가는 사이 <런닝맨>은 시청자들의 흥미를 끌지 못하는 프로그램이 됐다. <무한도전>의 한 지류라고 할 수 있는 ‘추격전 콘셉트’를 가져와 ‘무한 게임 도전’이 될 것 같았던 <런닝맨>은 야외에서 벌이는 그저 그런 소소한 게임 예능으로 전락하는 모습이었다.
사실 중국에서 <런닝맨>이 화제가 되지 않았다면 폐지될 가능성이 높은 프로그램이었다. 하지만 중국의 인기는 국내의 <런닝맨>을 되살려야 하는 새로운 이유가 되었다. 최근 들어 <런닝맨>은 조금씩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100 vs 100’ 특집처럼 인해전술을 써보기도 하고, <무한도전>에서 실패했던 ‘좀비특집’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 추억의 <X맨>을 소환해와 <런닝맨>과 콜라보레이션하는 시도를 보여주기도 했다.
올해의 <SBS 연예대상>의 유재석, 김병만 공동수상은 초유의 결과라는 점에서 당사자들도 또 시청자들도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둘 다 받을만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지만 둘 다 준 건 무리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사실이다. 시청자들 입장에서 보면 그래도 공동수상은 상을 받아도 찜찜해지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SBS 입장에서 보면 공동수상에 그만한 노림수가 있다는 건 분명하다. MBC와 KBS에서 모두 대상을 받지 못한 유재석이 SBS에서 대상을 받았고, 그가 내년의 각오로써 화답했다는 건 의미가 깊다. 또한 김병만은 그간 <정글의 법칙>으로 해온 독보적 행보는 물론이고 <주먹 쥐고 소림사>에 이어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새로운 도전에 대한 격려로서 대상의 의미는 충분했다 여겨진다. 결국 SBS 연예대상의 공동수상은 무리를 하면서도 이 두 사람을 전면에 포진시키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흥미로운 건 지금껏 어디서도 보이지 않았던 유재석의 절치부심이 과연 내년에는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이다. 그는 과연 각오를 다진 대로 동시간대 1위 기록을 달성할 수 있을까. 또 주춤해진 관심을 다시 새로운 시도들로 끌어 모을 수 있을까. 내년의 <런닝맨>과 유재석의 행보가 자못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상파 시상식, 왜 매년 잡음을 남길까 (3) 2016.01.02 무관의 제왕 백종원, '연예대상' 고사한 까닭 (0) 2016.01.01 김구라는 어떻게 불운을 운으로 바꿨나 (2) 2015.12.31 대상은 '슈퍼맨'이 가져갔지만 대중들은 '1박2일' 선택했다 (0) 2015.12.29 '무한도전' 아니라면 이런 역대급 추격전 가능할까 (2) 2015.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