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룡이 나르샤>, 무명이 추구하는 건 결국 자본주의?
“그것이 우리의 신념입니다. 헌데 새 나라는 이에 대한 인간의 위대한 욕망을 부정합니다.” 지금껏 SBS <육룡이 나르샤>에서 봤던 그 어떤 대결이 이만큼 첨예할까. 정도전(김명민)과 무명의 수장인 연향(전미선)이 벌이는 설전은 이들이 가진 서로 다른 신념의 갈등을 보여줬다.
'육룡이 나르샤(사진출처:SBS)'
무명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이 조직이 추구하는 것이 무엇이가는 이 사극의 가장 큰 궁금증이 되었다. 이미 조선 건국의 역사적 사실이야 누구나 다 아는 일일 게다. 그러니 <육룡이 나르샤>만의 새로운 동력이란 바로 이 무명과 육룡이 부딪치는 그 지점에서 나오게 된다. 정도전과 연향의 설전은 이 두 세력이 추구하는 바를 명확하게 보여줬다.
연향은 ‘인간의 욕망’이 위대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정도전은 그 욕망이란 것이 “고려를 이 지경으로 만들었다”고 말한다. ‘인간의 욕망’을 바라보는 두 시각은 정전제에 대한 다른 관점을 만들어낸다. 연향은 사전혁파가 “더 많은 땅을 갖고 싶은 인간의 욕망을 근원적으로 봉쇄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면서 정전제란 “사람 숫자대로 땅을 나누어가지고 주어진 땅에서 한 뼘도 넓힐 수 없게 되는 것”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도전은 “누구도 자신의 땅을 한 뼘도 넓힐 수 없기에 그 누구도 한 뼘의 자기 땅도 빼앗기지 않게 되는 것”이라고 반박한다.
여기서 무명이 어떤 조직인가가 분명히 드러난다. ‘사유재산’을 인정함으로써 자본의 축적을 통한 성공과 성장을 추구하는 조직. 지금으로 보면 ‘자본주의 사회’에 대해 지지하는 조직이다. 결국 사회를 성장시키는 것은 바로 그 욕망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땅이란 당연히 왕의 것이요 나라의 것이란 것이 당연하던 몇 백년 전 황무지를 개간하며 그 땅은 개인의 소유로 하는 정책을 실시하도록 만들었다”고 밝혔다. 그 결과 “사람들은 자기 땅을 갖고 싶은 욕망에 미친 듯이 황무지로 달려 나가 땅을 팠고 따라서 농토는 비약적으로 증가했고 삼한 땅은 전에 비할 수 없이 풍요로워졌다”고 했다. 욕망이 길을 만들고 풍요를 이룬 것이라는 것.
하지만 이 인간의 욕망과 사유재산을 인정하는 자본주의에 대한 논리에 정도전은 반발한다. “그 풍요가 어찌 되었소. 누가 풍요로워졌습니까. 결국 전 국토의 7할 이상을 권문세족들과 사찰들이 차지했고 백성들은 송곳하나 꽂을 땅이 없어 저들의 터전에서 쫓겨나 객지에서 굶어 죽거나 개 돼지 같은 노비가 되어 천천히 죽어나가고 있었소. 헌데 위대합니까? 이를 쫓는 욕망이란 것이?” 정도전이 추구하는 건 결국 국가가 나서서 그 독을 만들어내는 인간의 욕망을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그것을 ‘성리학적 이상’으로 달성하려 한다.
이것은 지금도 여전히 결론이 나지 않은 자본주의 논쟁이다. 자본주의가 빈익빈부익부를 만들고 양극화를 부추긴다는 것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자본주의 비판의 근원적인 요소다. 하지만 이상을 추구해 국가가 모든 걸 통제하려 했던 사회주의 국가들이 결국은 무너져버린 현대사를 떠올려 보면 정도전의 논리 또한 너무나 이상적일 수 있다는 걸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즉 그의 군자적인 논리는 틀린 데가 없으나 모두가 그 같은 군자가 되기는 쉽지 않은 이상이라는 것이다.
무명이라는 가상의 조직이 실체를 드러내면서 <육룡이 나르샤>의 흥미로운 이야기 전재가 눈에 띈다. 조선 건국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육룡이 나르샤>는 결국 이 자본주의에 맞닿아 있는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봐야할 것인가에 대한 이야기를 건네고 있기 때문이다. 정도전이 추구하는 이상은 우리가 이미 역사를 통해 알고 있듯이 절반의 성공으로 끝이 난다. 즉 조선의 시스템은 구축하지만 본인이 생각했던 이상사회는 실현되지 않는 것.
그것이 좌절되어가는 이야기를 무명이라는 조직을 통해 그려내면서 흥미롭게도 <육룡이 나르샤>는 차츰 이방원(유아인)의 존재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인간의 욕망’을 화두로 봤을 때 이방원은 결국 이 정도전과 무명이 대립하는 두 관점의 교차점이라고 볼 수 있다. 정도전은 그를 품으려 하지만 이방원은 결국 ‘폭두’가 된다. 이미 홍인방(전노민)이 예견했던 그 가슴 속의 ‘벌레 한 마리’는 새로운 조선에 자신의 설 자리가 없다는 걸 알게 되면서 이방원을 폭주하게 하는 것. 그렇다면 이방원의 뒤편에서 어른거리는 건 역시 이 무명이라는 조직이 된다.
이 얼마나 기발한 해석인가. 여말선초의 조선 건국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고, 제목이 내세우듯 ‘육룡’이라는 영웅서사를 그리고 있지만 그 이야기는 지금 현재 우리가 고민하고 있는 자본주의 논쟁과 맞닿아 있다. 정도전과 이방원을 이런 식으로 재해석한다는 건 웬만한 철학적 관점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만일 이 김영현 박상연 작가가 <뿌리 깊은 나무>에 이어 <육룡이 나르샤>와 함께 연작 시리즈를 낸다면 이 무명이라는 조직의 역사 개입으로 계속 흥미로운 역사의 재해석이 가능하지 않을까. 작가들로서는 놀라운 야심이 아닐 수 없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그널', 어째서 과거를 되돌려도 씁쓸해지는 걸까 (0) | 2016.02.14 |
---|---|
우정 빛나는 '해피엔딩', 꼭 결혼이어야 할까 (0) | 2016.02.13 |
김수현 작가의 가족드라마, 막장을 이겨낼 것인가 (0) | 2016.02.09 |
화성, 대도, 성수대교... '시그널'에 담긴 우리사회 (0) | 2016.02.07 |
'치인트', 요즘 대학 정말 이렇게 막장일까? 이래도 될까? (0) | 2016.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