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데드풀', 이 어른들의 슈퍼히어로가 주는 통쾌함이란

728x90

<데드풀>, 기존 슈퍼히어로 밟고 올라선 슈퍼히어로

 

만일 어른들을 위한 슈퍼히어로를 만든다면? 누구나 한번쯤 상상은 해봤을 것이다. 그런데 막상 만든다면 어떨까? 손발이 오글거리지 않을까. ‘지구를 구한다같은 대명제가 그렇고, ‘정의가 어떻고 자유가 어떻고 하는 거창한 주장이 그렇다. 무엇보다 타이즈 위에 팬티를 입는 그 복장이 대략난감이다.

 


사진출처:영화<데드풀>

<데드풀>은 그래서 어른들을 위한 슈퍼히어로를 등장시키면서 그 오글거리는 기존의 슈퍼히어로물들을 도마 위에 올려놓고 잘근잘근 씹어댄다. <X>의 자비에는 대머리 아저씨가 되고 데드풀을 연기한 레이놀즈가 주연을 맡았던 DC코믹스의 <그린 랜턴>은 초록색 슈트의 흑역사가 되어버린다.

 

심지어 <데드풀>은 이런 슈퍼히어로물에 엄청난 돈을 쏟아 부어 제작하는 제작자들에게조차 시작부터 비아냥을 쏘아댄다. 오프닝 크레딧에 이 영화를 일부 얼간이들을 위한 영화(Some Douchebag’s Film)‘라고 명명하고 팀 밀러 감독 자신을 돈을 다소 과하게 받은 얼간이 연출가(Directed by Some Overpaid Tool‘라고 자처한다.

 

이렇게 스스로를 포함하는 슈퍼히어로를 비아냥대는 슈퍼히어로물이라는 기막힌 설정은 <데드풀>이 꽤 단순하고도 전형적인 슈퍼히어로 장르를 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흥미로워지는 대목이다. 어른들이 슈퍼히어로물을 볼 때 느끼는 이중적인 감정, 세상에 저런 게 어딨어?’하고 유치한 시선을 보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꽤 쿨 하다고 느끼는 그 감정을 이 영화는 아예 드러내놓고 이야기를 전개한다.

 

그래서 이 영화는 때론 지나치게 폭력적일 정도로 섬뜩한 장면에서조차 유머를 만들어내고, 선정적인 장면에서도 비실비실 피어나오는 웃음을 참지 못하게 만든다. 그러면서 이 이상한 슈퍼히어로의 목적은 오로지 자신을 그렇게 슈퍼히어로(혹은 슈퍼노예?)로 만든 악당들을 철저하게 응징하는 것뿐이다. 지구를 지킨다거나 정의 같은 거창함도 없다. 그저 자신이 사랑했던 여인 앞에 흉측한 몰골로 나타날 수 없이 어쩔 줄 몰라 하는 지극히 평범하다 못해 찌질하게까지 보이는 한 남자가 거기 있을 뿐이다.

 

슈퍼히어로들의 특징인 죽지 않는다는 명제도 <데드풀>에서는 냉소적으로 다뤄진다. 즉 죽고 싶어도 죽지 못하는인물로 그려지는 것. 이것 역시 슈퍼히어로들에 대한 거꾸로 바라보는 관점이다. 영생하는 신적인 존재는 과연 좋기만 한 것일까. 죽고 싶을 정도로 망가진 흉측한 몰골로 영생한다는 건 천형이 아닐까.

 

당연히 이 <데드풀>의 세계는 선과 악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누군가 자신에게 고통을 주었고 그렇기 때문에 그 고통을 몇 배로 되갚아주는 것뿐이다. 이 아무 것도 정해져 있지 않은 세계와, 어찌 보면 정해져 있는 것들을 하나하나 끄집어내 특유의 입담으로 잘근잘근 씹어버리는 통쾌함. 이것이 <데드풀>을 보며 느껴지는 해방감이 아닐까. 아이의 손을 잡고 슈퍼 히어로물을 보러 가서는 결코 느끼지 못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