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귀향', 아직도 못 돌아온 소녀들을 어이할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귀향', 아직도 못 돌아온 소녀들을 어이할까

D.H.Jung 2016. 2. 25. 08:29
728x90

<귀향> 어째서 모두가 봐야하는 영화일까

 

단 한 장면만으로도 가슴이 먹먹하다. 구덩이에 아무렇지도 않게 버려진 소녀들. 흙투성이의 맨발과 아직 채 마르지도 않은 것만 같은 눈물 자욱. 다른 곳에서 봤다면 그 색색의 한복이 그토록 고울 수 있었을 그녀들이 거기 그렇게 방치되어 있다. 그녀들의 몸은 차갑게 식어버렸지만 직전에 남긴 그녀들의 마지막 목소리들이 귀에 쟁쟁 울리는 듯하다. 그 구덩이는 <귀향>이라는 영화가 애써 재현해내 보여주지 않았더라면 아예 없었던 것이 될 뻔했을 게다. 그것이 또 끔찍하고 먹먹하다.

 


사진출처:영화<귀향>

어찌 보면 그리 대단히 돈이 많이 들 것 같지도 않은 이 영화가 빛을 보기까지 무려 14년이 흘렀다는 사실은 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그 앳된 나이에 그 먼 곳까지 끌려가 지옥을 살다 겨우겨우 살아 돌아온 분들은 아마 더 오랜 세월을 기다렸을 것이다. 영화 속에서 그렇게 살아 돌아온 영희(손숙)가 몸은 돌아왔어도 마음은 진정으로 귀향하지 못했다고 하는 그 말 속에 그녀의 고통스런 한 평생이 느껴진다. 그 곳에서 여전히 고향으로 가지 못하고 있는 소녀들을 어이할까. 그것은 영희가 가진 부채감이고 또한 그녀가 우리에게도 전하는 부채감이기도 하다.

 

사실 상업적인 선택이 일반화되어버린 요즘 같은 시대에 꼭 봐야 하는 영화라는 문구는 낯설게 다가온다. 하지만 <귀향>은 꼭 봐야 하는 영화다. 그것은 우리가 봄으로써 기억에 담아질 수 있고, 그 하나하나의 기억들을 통해 사실이 왜곡되거나 묻혀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영화는 대중오락의 성격을 띤지 오래지만 사실 그 이전에는 기록물로서의 가치가 분명했다. <귀향>은 결코 지워져서는 안될 기록이다. 우리의 기억과 가슴에 새겨둬야 할 기록.

 

물론 그렇다고 <귀향>이 다큐적인 기록에 머무는 영화라는 이야기는 아니다. <귀향>은 극영화로서의 완성도를 갖추고 있는 영화다. 씻김굿의 형태를 띠고 있는 이 영화는 무녀를 등장시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그 돌아오지 못한 소녀들을 위한 위령제를 올리고 있다. 실상은 훨씬 더 끔찍한 지옥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영화는 그렇게 끌려갔던 소녀들을 극도로 배려하려는 자세를 보인다. 영화는 그래서 상징적인 장면들이 많다. 하지만 그 상징은 위안부의 실상을 이미 알고 있는 우리에게는 그 눈빛과 더럽혀진 발 얼굴에 가득한 멍 자국만으로도 커다란 아픔으로 다가온다.

 

이처럼 과거의 소녀와 현재의 소녀가 무녀를 통해 만나는 과정은 어쩌면 없는 일인 양 단절되어 버린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려는 안간힘처럼 보인다. 처음 위안부문제가 제기되고(당대에는 정신대라고 불렀지만) 그걸 피해자들이 신고하는 일조차 미친 짓으로 치부되던 시기가 있지 않았던가. 하지만 이런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려는 피해자 할머니들의 노력은 그것이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니라 누구나 다 알아야할 실상이라는 걸 알게 해주었다.

 

이 영화를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오히려 부끄러운 일이다. 이 영화는 더 많은 사람들이 봐야 한다. 그리고 그 아픔 역사를 기억에 새기고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그 분들이 돌아올 수 있다. 그 구덩이에서 아직까지도 돌아오지 못한 소녀들이. 그리고 몸은 돌아왔어도 여전히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할머니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