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미로운 '피리부는 사나이', 빠진 한 조각도 채울까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3. 9. 08:53728x90
<피리부는 사나이>, 시청자와의 협상 성공하려면
의문의 ‘피리부는 사나이’와 협상전문가의 대결. tvN <피리부는 사나이>의 첫 회는 독일의 전래동화인 ‘피리부는 사나이’에 대한 이야기에서 시작했다. 약속을 지키지 않은 대가로 피리부는 사나이가 피리를 불어 아이들을 데리고 사라지는 그 이야기. 그 이야기가 내레이션으로 흘러나오는 가운데 펼쳐지는 광경은 무슨 일인지 건물을 점거하고 투쟁하는 사람들과 진압하는 전경들의 모습이다.
'피리부는 사나이(사진출처:tvN)'
이 한 장면은 이 드라마의 많은 이야기들을 전해준다. ‘피리부는 사나이’가 어떤 존재인가를. 그는 우리 사회 현실 속에 존재하는 부조리가 잉태한 괴물이다. 그는 피리를 불어 아이들을 조종(?)했던 것처럼 그 부조리한 현실 앞에 분노하는 사람들을 조종해 테러를 자행하게 만든다. 아마도 그 스스로도 그 잘못된 현실로 인해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입은 인물일 것이다.
그와 대결하는 협상전문가 주성찬(신하균)은 ‘피리부는 사나이’가 그의 연인을 인질로 삼게 만든 후 자신의 실체를 밝히라는 요구에 스스로를 ‘영웅’이 아니라 ‘사기꾼’이자 ‘협잡꾼’이라고 말한다. 필리핀에 억류된 인질들을 협상을 통해 구해내는 과정에서 한 사람을 희생하게 만들었던 사실을 토로한다. 사람을 사람으로 보기보다는 숫자로 봐왔던 자신을 털어놓으며 참회하는 모습을 보인다.
결국 인질극을 벌인 테러범에 의해 주성찬의 연인과 또 한명의 협상전문가가 될 여명하(조윤희)의 삼촌(그를 거둬 키워준)이 희생당한다. <피리부는 사나이>의 첫 회가 보여준 건 결국 자신의 연인이 협상 과정에서 죽음을 맞게 되면서 각성하게 될 주성찬과 삼촌의 죽음을 통해 협상전문가로 다시 태어날 여명하의 등장이다.
tvN 장르 드라마가 그래왔듯이 <피리부는 사나이>는 영화적인 스케일의 영상과 빠른 스토리 전개를 보여준다. 협상전문가라는 지금껏 드라마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인물군의 소재도 나쁘지 않다. 하지만 어딘지 깊은 몰입감을 느끼기에는 부족한 듯한 느낌을 갖게 된다. <시그널>이 만들었던 그 몰입감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무언가가 빠져 있는 듯한 인상이 짙다. 도대체 그 빠진 한 조각은 무엇일까.
첫 회여서 주인공인 주성찬과 여명하의 캐릭터에 집중하다 보니 테러에 의해 희생당한 인물들의 면면이 자세히 드러나지 않았다. 필리핀에 억류되어 협상과정에서 죽게 된 희생자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또 그 희생자의 동생은 어떤 사람인지가 첫 회의 내용 중에는 빠져있다. 그저 전형화된 억류된 인물들과 테러범 정도로 그려진 것. 마치 주성찬이 협상 과정에서 인물을 숫자로 바라보는 것처럼, 첫 회의 희생자들은 생생히 살아있는 사람이라기보다는 주인공들을 설명하기 위해 내세워진 숫자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아마도 첫 회이고 도입부이기 때문에 희생자들까지 그 세세한 스토리를 그려내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시그널>이 그랬던 것처럼 <피리부는 사나이>가 더 깊은 몰입감을 만들어내려면 주인공들인 주성찬과 여명하의 협상전문가로의 면면만큼 무고한 희생자들에 대한 깊은 공감대가 필요하다. 그게 아니라면 단순한 협상전문가의 영웅담에 그칠 수 있다.
사실 <피리부는 사나이>에서 주인공보다 더 주제의식을 드러낼 수 있는 인물은 악역인 ‘피리부는 사나이’거나 그로 인해 희생되는 저마다의 사연을 가진 또 다른 희생자들일 수 있다. 그 한 조각이 좀 더 극명하게 채워져야 하지 않을까. 드라마에 대한 몰입도는 거기서부터 다시금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떠나는 PD들, 지상파 인력 시스템 이대로 괜찮나 (1) 2016.03.11 KBS는 어떻게 '태양의 후예' 같은 보물을 잡았을까 (0) 2016.03.10 '시그널', 없어서 당하는 서민들을 위한 진혼곡 (0) 2016.03.06 막장 아니어도 되네, '태양의 후예' 성공이 말해주는 것 (1) 2016.03.05 '돌아와요 아저씨', 오연서의 진가도 돌아올까 (0) 2016.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