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리티의 늪에 빠진 TV
늦은 시각까지 회의가 진행되고 있는 사무실. 한 워킹맘이 아픈 아이의 화상전화를 받는다. 아이는 물수건을 이마에 대고 누운 채, “엄마 언제 와”하고 애처롭게 묻는다. 아이의 모습에 눈물을 글썽이는 엄마가 “금방 갈 게”하고 말한다. 제 일처럼 걱정해주는 동료들에게 “많이 아픈가봐요”하며 회의실을 나선 워킹맘. 갑자기 표정이 180도 달라진다. 아이가 영상통화를 통해 말한다. “엄마 나 잘했지?” 아이와 엄마가 만세를 부르고 이어 “쇼를 하면 엄마의 퇴근이 빨라진다”라는 설명이 이어진다. 케이티에프 ‘대한민국 보고서 - 육아문제 편’의 장면이다.
최근 새로운 영상시대를 예고하는 듯한 이 캠페인성 광고는 현재의 TV 프로그램들이 일제히 주창하기 시작한 ‘리얼리티’의 실상을 보여준다. 화상전화처럼 영상이 생활이 된 세상에서 살게되면서, TV는 아이의 실제 같은 연기처럼 리얼리티를 주장해야 먹히게 됐다. 하지만 그 리얼한 화면으로 목적을 달성한 연후에 남는 개운치 않은 기분은 왜일까. 그것은 이 광고가 스스로 주장하듯, ‘쇼’이기 때문이다. 아니 그저 진짜가 아닌 쇼였다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쇼를 하라!”고 권유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지금 목적을 위해서는 거짓 리얼리티도 허용되는 세상에 살게 된 것일까.
요즘 TV의 화두는 ‘리얼리티’다. UCC처럼 대중화된 영상시대 속에서 연출된 화면에 대한 식상함과 TV보다 더 리얼한 사건사고들이 가득한 사회가 요구한 결과다. 그것은 쇼 프로그램에서부터, 개그 프로그램, 예능 프로그램, 심지어는 광고에까지 광범위하게 침투해있다. 리얼리티쇼의 전조를 보였던 ‘몰래카메라’는 늘 터져 나오는 진실공방에도 불구하고 건재하다.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표방하고 나선 ‘무한도전’의 성공으로 TV 쇼 프로그램들은 저마다 리얼리티를 외치고 있다. 현장의 리얼리티를 강조하며 등장한 무대개그프로그램들은 이제 정해진 대본조차 최소화시키며 애드립을 강조한 실시간 개그(애드리브라더스 같은)를 선보이고 있다. 케이블을 가득 메우고 있는 건 가짜로 리얼리티를 강조하는 가짜 다큐 프로그램들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들이 주장하는 리얼리티는 진실일까. ‘무한도전’이 얘기하는 리얼리티는 거기 등장하는 개그맨들의 실제 맨 얼굴과는 거리가 있다. 그것은 이미 ‘무한도전’이라는 프로그램 속에서 캐릭터화된 개그맨들이 그 설정 안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애드립을 구사하는 것일 뿐이다. 애드립을 강조한 ‘애드리브라더스’ 역시 완전한 실시간 개그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어느 정도의 포맷 안에서의 리얼리티를 보여준다. 케이블의 가짜 다큐들은 다큐가 가진 리얼리티의 현장성을 자극적인 장면들을 끌어내기 위한 연출의 방식으로 쓴다는 점에서 위험수위에 도달해있다.
TV 프로그램들이 일제히 리얼리티를 표방한 쇼를 하기 시작하면서 상대적으로 실제 리얼리티를 담보하고 있는 다큐멘터리나 뉴스보도는 외면 받는 상황을 맞고 있다. 이것은 현장의 이야기가 무한정 쏟아져 나오는 UCC와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인터넷뉴스의 영향이 크지만, 또한 리얼리티를 쇼의 차원으로 끌어들이면서 TV 스스로 신뢰성을 훼손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진짜 리얼한 영상들이 매일같이 튀어나오는 인터넷(최근에는 여기에도 거짓영상들이 나오고 있지만)과 경쟁하면서 TV가 리얼리티쇼(진짜 리얼리티가 아닌)는 재미는 가져왔지만 방송 최대의 무기일 수 있는 신뢰성을 떨어뜨렸다.
리얼리티의 늪에 빠진 TV, 쇼하는 TV에서 이제 불거져 나오는 것은 진위 공방이다. 과거라면 그저 지나쳤을 연예인의 재미를 위한 거짓말 한 마디는 진실의 도마 위에 오르고 논란을 일으킨다. 이미 포맷이 다 드러난 ‘몰래카메라’에 등장하는 연예인들은 실제로 속은 것인지 아니면 속은 척 한 것인지에 대한 공방이 이어진다. 리얼 버라이어티쇼에서 벌어진 무인도 설정은 그것이 진짜 무인도였는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을 일으킨다. 가짜 다큐 속 성 추행범의 가짜 검거 사실은 세상을 발칵 뒤집어놓는다.
쇼하는 TV가 조심해야 할 것은 저 케이티에프 ‘대한민국 보고서 - 육아문제 편’의 장면이 워킹맘의 상황을 희화화하고 왜곡했다는 논란을 일으킨 것처럼 자칫 거짓말 조장하는 TV로 전락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제 TV를 켜면서 시청자들은 그 영상이 갑자기 잠을 자다 벌떡 일어나 휴대폰에 입김을 불어넣어 뽀샤처리(포토삽 효과 처리)를 하고 최대한 얼굴을 멀리 둔 채 전화를 받는 에스케이텔레콤의 ‘영상통화 완전정복 - 화면조정 편’처럼 조작된 것인지 아닌지를 생각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지금도 계속 울려 퍼지는 “쇼를 하라!”라는 명령어가 끔찍하게 느껴지는 건, 목적을 위해서는 “거짓말을 하라!”는 얘기로 들리기 때문이다.
(사진자료 : KTF Show ‘대한민국 보고서 - 육아문제 편’)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청자를 위해 광고가 더 필요하다는 생각 (0) | 2007.11.03 |
---|---|
어덜키드와 키덜트, 소비되는 아이들 (0) | 2007.11.01 |
멜로는 죽지 않았다 (0) | 2007.09.18 |
페이크 다큐, 그 진실과 거짓 사이 (0) | 2007.09.17 |
개그, 리얼리티만이 살길이다 (0) | 2007.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