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도박에 운명을 거는 '대박', 극적인가 자극적인가

728x90

<대박>, 도박으로 풀어낸 왕좌의 게임의 재미와 한계

 

역시 도박이라는 소재는 세다. 이병헌과 송혜교가 주연으로 나왔던 <올인>은 차민수라는 실제 프로갬블러의 이야기를 소재로 다뤘다. 당시 4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했다. 허영만 원작의 <타짜>19금으로 개봉되어 560만 관객을 동원했다. 드라마로도 제작된 <타짜>17.2%(닐슨 코리아)의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SBS 월화사극 <대박>이 동시간대에 출격한 타 지상파 드라마들보다 한 발 앞선 12.2%로 앞서가고 있는 건 그래서 당연해 보인다. 물론 2위로 시청률 11.4%를 기록한 KBS <동네변호사 조들호>와 근소한 차이지만.

 


'대박(사진출처:SBS)'

<올인>이 도박에 로맨스를 넣었다면 <타짜>는 한 판 승부에 손목을 거는 자극이 있었다. <대박>은 도박으로 풀어낸 왕좌의 게임이다. 첫 회에 인현왕후를 잊지 못하는 숙종(최민수)이 숙빈 최씨가 될 복순(윤진서)를 두고 그 남편인 백만금(이문식)과 도박을 벌이는 장면은 이 독특한 팩션 사극의 많은 걸 얘기해준다. 이 사극은 역사 보다는 상상력쪽에 더 기울어져 있고 모든 역사적 상황들 이면에는 도박에 가까운 선택들이 있었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숙종의 눈에 복순이 들게 된 것도, 그래서 백만금으로부터 도박으로 그 아내인 복순을 빼앗게 된 것도 이인좌(전광렬)라는 반란을 꿈꾸는 승부사의 도박이다. 아내를 잃은 백만금은 뒤늦게 그 도박에 속임수가 있었다는 걸 알아채고 숙종을 찾아와 아내를 되찾기 위한 승부를 다시 요청한다. 그 날 밤 일기를 두고 벌인 도박에서 백만금은 비가 올 것에 승부를 걸어 이기지만, 결국은 그 도박 자체가 자신의 패배라는 사실을 뒤늦게 깨닫는다. 졸지에 판돈이 되어버린 복순이 숙종을 선택하게 된 것.

 

바로 이런 점들은 <대박>이라는 사극이 흥미로워지는 대목이다. 즉 직접적인 도박을 소재로 다루고 있지만 그 이외의 많은 삶들이 결국은 도박과 비슷한 양상들을 띄면서 그려진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삶의 도박은 실제 도박을 통해 이긴다고 해서 결코 이길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걸 보여준다. 백만금이 숙종에게 이기고도 아내를 되찾지 못하는 것처럼.

 

<대박>은 또한 저 <타짜>가 도박 한 판에 손목을 거는 자극적인 상황들을 연출했던 것처럼 한판 승부에 아내를 걸고, 심지어 갓 태어난 아기의 목숨을 거는 자극을 보여준다. 궁에 들어간 지 6개월 만에 복순이 낳은 아기는 또 다른 운명을 건 도박에 인물들을 뛰어들게 만든다. 왕의 아기가 아니라는 이야기들이 흘러나오자, 복순은 아기를 살리기 위한 도박을 하게 된다. 전염병으로 죽은 아기와 바꿔치기 해 궁 밖으로 아이를 내보내는 것.

 

하지만 숙종은 이미 이 사실을 간파하고 후환이 될 수도 있는 아기를 죽이라고 지시하고, 이인좌는 왕과 대적할 인물이 될 그 아기를 데려오라고 지시한다. 백만금은 그 아기를 거둬 기르지만 그가 왕이 될 상이라는 얘기에 자신의 아기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폭포 절벽에서 아기를 집어던진다. 1편이 아내를 둔 도박이었다면 2편은 훗날 대길(장근석)로 자라날 아기를 두고 벌어지는 도박이다.

 

모든 이야기들과 그 속의 인물들의 선택을 하나의 도박의 관점으로 바라보는 시각은 이 사극이 가진 힘을 만들어낸다. 이미 숙종과 영조 대의 이야기들은 너무나 많이 사극에서 다뤄졌다. 그 유명한 장희빈을 소재로 한 사극만 몇 편인가. 하지만 <대박>은 이 시대를 가져와 도박이라는 관점으로 새롭게 풀어낸다. 이것은 물론 역사적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본다면 과한 설정일 수 있다. 영조의 어머니가 되는 숙빈 최씨를 도박으로 얻는 숙종의 이야기가 아닌가.

 

하지만 역사적 사실과 상관없는 하나의 허구로서 본다면 <대박>은 왕좌를 두고 벌이는 한판 도박으로서 분명 흥미진진한 이야기의 극성을 갖추고 있다. 문제는 도박이라는 소재가 갖고 있는 지나치게 자극적인 설정들을 시청자들이 어느 정도까지 허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드라마화된 <타짜>가 생각만큼의 반응을 얻어가지 못했던 가장 큰 원인은 본래 도박이라는 소재와 손목을 거는 스토리 자체가 19금으로서 영화에 더 최적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아내를 도박에 걸고, 아기의 목숨을 내거는 <대박>은 어떨까. 이것은 극적인가 아니면 자극적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