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태양의 후예', 송중기 신드롬이 달달할 수만은 없는 이유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태양의 후예', 송중기 신드롬이 달달할 수만은 없는 이유

D.H.Jung 2016. 4. 1. 08:25
728x90

<태양의 후예>라는 상황극, 우리의 선택은?

 

KBS 수목드라마 <태양의 후예>의 배경은 우르크라는 곳이다. 우르크는 지구 어디에도 없는 곳, 가상공간이다. 드라마의 배경이 가상공간이라는 건 그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들 역시 하나의 상황극이라는 걸 말해준다. 막연히 국제분쟁지구라고 얘기되는 곳이고 그래서 우리나라 군인이 파견된 곳이다. 동시에 한 병원의 팀이 의료봉사로 파견된 곳이기도 하다.

 


'태양의 후예(사진출처:KBS)'

이러한 상황극은 누구나 어렸을 때 한 번쯤 상상을 통해서라도 했을 법한 것들이다. 만일 이런 곳이 있다면 거기서 당신은 어떤 이야기를 꿈꾸는가. 아마도 여성이라면 멜로를 꿈꿀 것이다. 하지만 남성이라면 총알이 날아다니고 때로는 지뢰가 터지고 벼랑 끝에 간신히 매달린 차에서 여자를 구하고 지진 현장에서 사람들을 구하며 창궐한 전염병과 싸우고 나쁜 놈들을 물리치는 블록버스터를 꿈꿀 지도 모른다. 우르크는 이 남성과 여성의 판타지를 모두 그려낼 수 있는 최적의 가상공간이다. 멜로를 꿈꾸지만 블록버스터가 되는 최적지.

 

그런데 이 가상공간에서 벌어지는 상황극에 대해 우리는 많은 현실적인 일들을 떠올린다. 해외파병 문제가 가진 결코 가볍게 볼 수 없는 심각한 문제들을 얘기하고, 심지어 베트남의 한 기자가 이 드라마의 베트남 방영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 공감한다. 지진과 전염병 같은 재난 상황들이 우르크라는 지역에서 연달아 발생하는 장면들이 나왔을 때, 많은 사람들은 우리가 겪은 세월호 참사부터 메르스 공포까지를 떠올렸을 지도 모른다.

 

물론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이다. 심지어 이 드라마는 현실에서 훌쩍 벗어난 우르크라는 공간에서의 가상 스토리를 다루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극은 그 상황이 가상이라고 해도 거기서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한 것인가에 대한 현실적 질문을 던지는 면이 있다. 결국 모든 상황극들은 그런 점에서는 현실적이다.

 

<태양의 후예>를 이런 상황극과 거기서의 선택하는 인물들의 이야기로 바라보면 왜 우리가 유시진(송중기)이라는 이상화된 인물에 빠져 있는가를 쉽게 알 수 있다. 우리가 막연히 알고 있는 군인의 이미지는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 그것은 단지 전쟁의 이미지와 상명하복의 계급문화 같은 군인에게서 막연히 피어나는 뉘앙스 때문만은 아니다. 군부독재를 겪어내고 민주화 과정을 통과한 세대라면 군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어쩔 수 없는 일일 게다.

 

유시진은 이러한 막연한 군인의 이미지와 정반대에 서 있다. 그는 상명하복의 계급문화 속에 있긴 하지만 강모연(송혜교)이라는 여자 앞에서는 무시무시한 상황 속에서조차 유머를 날릴 줄 아는 여유를 가진 인물이다. 국가의 명령을 받는 군인이지만 생명을 구하는 것이 우선이고, 특히 사랑하는 여자를 구하기 위해서는 명령도 어기는 인물이다. 강력한 슈퍼히어로지만 약자들에게는 그토록 부드럽고 유머러스하며 자애롭기까지 한 인물.

 

유시진 신드롬이 벌어지고 있는 건 거꾸로 말하면 우리에게 이런 리더가 없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재난이 벌어져도 책임지려는 리더는 없고 심지어 다시는 그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진상을 끝까지 파헤치는 리더십은 더더욱 없다. 전쟁의 위기 상황들이 끊임없이 벌어지고, 무고한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지만 이를 타개하려는 노력들은 잘 보이지 않는다. 선거철만 되면 모두가 국민을 위해 분골쇄신하겠다고 말하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국민은 없고 당리당략만이 가득해진다.

 

어떤 면으로 보면 우리나라라는 공간이 참으로 비현실적이라고 느껴질 때가 많다. 알고 보면 저 드라마 속에서 벌어지는 가상의 상황들은 우리에게도 벌어졌던 일들이 아닌가. 그런데 그 때마다 우리는 어떤 선택들을 했나. 물론 유시진 같은 이상화된 리더가 있을 리 없고 그런 이상적인 선택들을 하는 경우는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최소한 몇 번에 하나라도 비슷한 선택들이 있었어야 하지 않았을까. 우리가 이토록 빠져 있는 유시진 신드롬의 이면은 그래서 결코 달달할 수만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