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복수 아닌 진실, '기억'의 엔딩이 특별했던 까닭

728x90

<기억>, 드라마는 끝났어도 가시지 않는 깊은 여운

 

tvN 금토드라마 <기억>이 종영했다. 하지만 이 드라마가 남겨 놓은 깊은 여운은 좀체 가실 것 같지가 않다. <기억>은 마지막까지 흔한 복수극의 엔딩을 탈피했다. 박태석(이성민)이 아들동우의 뺑소니범인 이승호(여회현)에 대한 복수가 아닌 진실규명을 원했기 때문이었다. 죄책감에 시달리던 이승호가 자수하고 자신이 뺑소니범이며 친구까지 살해했다고 증언했을 때, 박태석이 뺑소니는 인정해도 살인은 인정하지 않은 건 그게 진실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기억(사진출처:tvN)'

뺑소니에 대한 공소시효는 이미 끝난 상황. 결국 이승호는 풀려나지만 박태석은 그에게 진실의 무게를 느끼며 평생 그 죄책감을 짊어지고 살아가라고 말한다. 또한 이승호를 찾아온 동우의 엄마인 나은선(박진희)은 어렵게 그를 용서한다. “난 동우가 너한테 상처가 아니라 희망이길 바라. 넌 우리한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줬지만 우리 동우는 너한테 희망이길 바라고 있어. 동우를 생각한다면 세상에 나가서 네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그게 동우가 너한테 주는 기회고 용서야.”

 

<기억>이 전한 것은 절망의 복수가 아닌 희망의 진실이었다. 진실의 무게가 복수보다 더 엄중하고, 그것이야말로 미래의 희망을 가능하게 한다는 걸 <기억>은 전해주었다. 그래서 이야기의 또 한 축이 되었던 희망슈퍼 살인사건역시 그 진범인 신영진(이기우)이 체포되는 복수보다는 억울하게 범인으로 오인되어 무려 15년 간이나 복역해온 천민규의 무죄를 밝혀내는데 더 초점이 맞춰졌다. 박태석은 피고인에게서 희망을 빼앗은 사람은 본 변호인을 비롯해 검찰, 경찰, 그리고 힘 있는 권력자다. 우리 모두가 피고인에게서 희망을 빼앗은 공범이라고 말했다.

 

<기억>이 이토록 단죄 그 자체보다 진실규명을 더 절실하게 추구한 까닭은 무엇일까. 사실 자신의 아들을 그렇게 만든 이들 앞에서 그런 선택을 할 수 있는 부모는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어려운 선택을 하게 된 건 이 드라마가 기억의 문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복수든 법의 심판이든 그 자체보다 더 중요한 건 그 사안이 어떻게 기억되고 있는가의 문제라는 것. 진실 규명은 그래서 그 어느 것보다 중대한 일이 된다.

 

<기억>에서 박태석은 생방송 중 자신이 알츠하이머라는 사실을 만천하에 공개하며 아이러니한 말을 전한다. 알츠하이머 판정을 받은 후에 뒤돌아보니 그간 자신이 살아온 시간들은 더 깊은 알츠하이머의 삶이었다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멀쩡하게 살아가고 있다고 여기지만 사실 기억의 측면에서 보면 스스로 알츠하이머에 걸린 듯 많은 기억해야 할 것들을 지우며 살아가고 있다는 것.

 

우리네 현실에서 기억의 문제는 어쩌면 사회가 희망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인지도 모른다. 사회를 들썩이게 만들었던 국가적인 사건이 벌어지고도 시간이 지나면 유야무야 사라지는 기억들. 그것은 어쩌면 그렇게 진실을 덮으려는 가해자들은 물론이고 진실을 회피하려는 우리 모두가 공조해 생겨나고 있는 일인지도 모른다.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사이다 복수를 보며 잠깐의 카타르시스를 얻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아무 것도 해결되지 않는 건 진짜 기억해야 사안들의 진실이 묻히고 있기 때문이다.

 

진실을 마주하고 기억한다는 건 고통스러운 일이지만 그것이야말로 미래의 희망을 찾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는 걸 <기억>은 그 특별한 엔딩을 통해 그려냈다. 진실은 바다 밑에 가라앉히려 해도 결국은 떠오르고 회피하려 해도 먼 길을 돌아 다시 우리 눈앞에 마주하게 된다는 걸 <기억>은 전해주었다. 드라마는 그렇게 끝이 났다. 하지만 좀체 이 <기억>이라는 드라마가 우리네 현실에 남겨 놓은 여운은 쉽게 가시지 않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