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옥중화', 어째서 첫 방의 기대감이 점점 사라질까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옥중화', 어째서 첫 방의 기대감이 점점 사라질까

D.H.Jung 2016. 5. 16. 09:31
728x90

<옥중화>, 괜찮은 소재의 발목을 잡는 불안요소들

 

MBC 주말드라마 <옥중화>는 첫 방에 꽤 높은 기대감을 갖게 만들었다. 2회 만에 20% 시청률을 넘긴 건, 이병훈 감독의 사극에 거는 기대가 그만큼 컸다는 걸 말해준다. 그리고 실제로 전옥서라는 조선시대의 감옥을 배경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토정 이지함(주진모)이나 전우치(이세창) 같은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그들을 통해 배우며 성장하는 옥녀(진세연)라는 캐릭터가 주는 기대감 역시 컸다.

 

'옥중화(사진출처:MBC)'

무엇보다 <옥중화>는 현재의 드라마 트렌드와도 잘 맞아 떨어지는 작품이었다. ‘감옥에서 피어난 꽃이라는 의미에는 현실 상황과 판타지가 잘 엮어져 있다. 즉 사극이 과거를 다루지만 현재에 어떤 의미를 던져주는 장르라는 점을 두고 보면, 현재의 어려운 삶을 살아가는 서민들의 현실이 <옥중화>에서는 을 의미할 것이고, 그럼에도 어떤 판타지를 꿈꾸는 대목이 의 의미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단지 기획의도가 아니라 옥녀라는 구체적인 캐릭터로 그려져 있다. 옥녀는 어머니가 의문의 죽음을 당하고 전옥서라는 어두운 현실에서 자라난 인물이지만 그 공간과는 어울리지 않게 밝은 캐릭터다. 그녀는 전옥서에 들어온 많은 죄인들을 통해 배우며 자라난다. 토정 이지함이 밥 먹듯이 드나드는 전옥서는 거꾸로 비틀어진 현실에 바른 소리를 하는 이들이 모이는 곳으로 비춰진다.

 

하지만 <옥중화>는 아역을 연기한 정다빈에서 성인역인 진세연으로 옮겨가면서 옥녀 캐릭터의 힘이 많이 빠져버렸다. 물론 이것은 정다빈이라는 아역이 너무나 연기를 잘 해줬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지만 극 중의 옥녀 캐릭터가 초반만큼 매력적으로 그려지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옥녀는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의문을 품고 그 진실에 접근하려 전옥서 다모가 아닌 포도청 다모 시험을 보지만 오히려 너무 실력이 출중해 떨어진다. 그리고 지금의 스파이에 해당하는 활동을 하는 체탐인제의를 받고 훈련에 돌입하며, 그 마지막 관문인 붙잡혔을 때 절대 정체를 발설하지 않는 그 시험까지 통과해 체탐인이 되는 과정이 그려졌다.

 

문제는 체탐인이 되는 과정이 다뤄지면서 이야기가 살짝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간 듯한 느낌을 준다는 점이다. 사실 <옥중화>가 주목을 끌었던 건 전옥서라는 매력적인 공간과 그 안에 들어와 있는 매력적인 인물들이 향후 옥녀와 어떤 이야기를 그려갈 것인가가 흥미로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체탐인의 이야기는 전옥서만큼 현실적인 느낌을 주지 않는다. 전옥서 바깥으로 나와 체탐인으로서의 미션을 해나가는 옥녀의 이야기는 그래서 애초에 <옥중화>가 만들어낸 기대감과는 상당히 멀어지는 느낌을 준다는 것이다.

 

<옥중화>는 물론 여전히 흥미로운 이야기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작품이지만, 그만큼 불안요소들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이병훈 감독 사극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는 미션-해결-성장의 이야기는 재미있긴 하지만 이제는 너무 쉽게 시청자들에게 읽히는 구성으로 다가오고 있고, 성인역으로 바톤터치되면서 연기자들의 연기력 논란(특히 악역들)이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연기력 논란은 연기자들의 문제이지만 동시에 이야기의 힘이 빠지고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물론 이제 겨우 초반 몇 회가 지났을 뿐이기 때문에 모든 걸 섣부르게 판단하긴 이르다. 하지만 4회 만에 패턴이 너무 읽히고 있다는 건 어쩔 수 없는 불안요소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이병훈 감독의 사극은 어느 정도는 그 결과를 다 알면서 즐기는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너무 익숙한 구도는 피해야 하지 않을까. 전옥서라는 매력적인 공간이 너무 단순하게 그려지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