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심상찮은 '닥터스', 5회 만에 20% 육박한 비결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심상찮은 '닥터스', 5회 만에 20% 육박한 비결

D.H.Jung 2016. 7. 6. 08:40
728x90

<닥터스>도 해냈다, 잘되는 드라마들의 조건

 

최근 성공하는 드라마들의 시청률 그래프는 유사한 점이 있다. 매회 시청률을 경신하고 또 그 경신 폭이 크다는 것이며 속도도 빠르다는 점이다. 종영한 tvN <또 오해영>의 경우, 첫 회 다소 저조한 2.059%(닐슨 코리아)로 시작했지만 4회 만에 두 배인 4.253%를 넘겼고 본격적인 멜로가 시작되면서 6회에 6%, 10회에 8%를 넘겼다. 즉 첫 회의 시청률보다 중요한 건 다음 회의 성장세다. 입소문이 그만큼 중요해졌다는 뜻이다.

 

'닥터스(사진출처:SBS)'

KBS <태양의 후예>도 마찬가지다. 첫 회부터 14.3%를 기록한 이 드라마는 3회 만에 두 배인 23.4%를 기록했고 9회에 30%를 넘겼다. 아무래도 아직까지 지상파 플랫폼의 힘이 남아있기 때문에 이런 고공행진이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SBS <닥터스>의 흐름이 심상찮게 느껴지는 건 그래서다. 첫 회 12.9%로 시작한 이 드라마는 5회 만에 18.4%20%를 목전에 두고 있다. 이런 흐름이라면 <태양의 후예>의 뒤를 잇는 지상파 드라마가 탄생하지 않을까 조심스런 예측을 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잘 되는 드라마들에는 어떤 유사점 같은 것들이 있다. 어찌 된 일인지 과거에 한 동안 주춤해 있던 멜로가 최근 들어 새삼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 오해영>은 전형적인 로맨틱 코미디 장르였고, <태양의 후예>도 블록버스터(?)지만 결국 그 기조는 멜로라고 볼 수 있다. <닥터스> 또한 마찬가지다. 의학드라마의 외피를 갖고 있지만 이 드라마의 핵심은 홍지홍(김래원)과 유혜정(박신혜)이 보여주는 심쿵 멜로다.

 

멜로면서도 이들 드라마가 다른 점은 기존의 멜로 코드를 살짝 비틀어 새롭게 보여주는 시도를 곁들이고 있다는 점이다. <또 오해영>은 도경(에릭)의 예지 능력을 하나의 코드로 집어넣어 멜로의 긴장감을 강화시켰고 <태양의 후예>는 블록버스터답게 전쟁과 재난과 질병의 위협을 집어넣어 멜로를 더 절절하게 만들었다. <닥터스>는 유혜정이라는 걸 크러시를 느끼게 하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그녀가 홍지홍이라는 멘토이자 남성을 만나 성장하고 사랑해가는 과정을 의학드라마의 틀로 그려내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이들 성공하는 드라마들의 특징은 모두가 사적인 멜로의 이야기를 확장시켜 보편적인 휴먼드라마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이다. <또 오해영>은 금수저 흙수저로 비교되는 삶에 대한 보편적인 이야기를 담아냈고, <태양의 후예>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이 해야할 일을 해나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닥터스>는 환자를 살려내는 의사만이 아니라 무수한 관계 속에서 사람들을 살려내고 보살피며 성장시키는 현실의 의사같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들 드라마들의 또 하나의 특징은 따뜻하다는 것이다. 이들 드라마들에서는 사람에 대한 애정과 신뢰가 느껴진다. <닥터스>가 주는 그 따뜻한 느낌은 인물들에 대한 애정에서 비롯된다. 홍지홍 같은 멘토의 선한 눈빛이 주는 따스함, 또 힘겨운 삶을 홀로 버텨내며 냉정하게 살아왔지만 그래도 그녀를 감싸고 있는 홍지홍의 따스함 아래 조금씩 마음이 녹아가는 유혜정이 전하는 작은 희망. 그런 것들이 <닥터스>에 시청자들이 몰입하는 이유다.

 

빼놓을 수 없는 건 연기자들이 주는 매력이다. <또 오해영>의 에릭과 서현진, <태양의 후예>의 송중기와 송혜교 그리고 <닥터스>의 김래원과 박신혜는 그 연기자들 자체만으로도 시청자들을 매료시키는 면이 있다. 그것은 단지 이미지적인 것이 아니라 이들의 연기가 캐릭터와 잘 어우러지면서 나오는 시너지다.

 

종합해보면 최근 대중들이 드라마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이 뚜렷해진다. 첫째 새로워야한다는 것, 둘째 따뜻함을 느끼고 싶다는 것, 셋째, 그러면서도 그것이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내 이야기처럼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연기자들이 그 이야기를 매력적으로 연기해 시청자들을 몰입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 모로 지금의 대중들이 원하는 건 위로와 위안이 되고 있다. 차가운 현실을 살짝 벗어나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그런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