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도'에게 좀비란 어떤 의미일까옛글들/명랑TV 2016. 10. 17. 09:21728x90
<무도>는 왜 500회 특집을 좀비로 마무리 지었을까
어쩌다 보니 좀비를 등장시키게 된 걸까 아니면 500회 특집에 맞게 의도한걸까. MBC <무한도전>이 500회 특집으로 마련한 ‘무도리go’ 게임의 마지막 라운드는 지금은 텅 비어있는 여의도 MBC사옥에서 벌어졌다. 이른바 ‘꼬리잡기’ 형식을 따온 ‘무도리잡기’ 게임. 그런데 엘리베이터에서 각 층에 한 명씩 내려놓고 시작한 게임은 갑자기 좀비들이 출현하면서 ‘좀비 특집’이 되었다.
'무한도전(사진출처:MBC)'
<부산행>의 좀비 연기를 했던 연기자들이 직접 참여함으로써 그 어느 때보다 실감나는 좀비들의 출현은 출연자들을 혼비백산하게 만들었고, 깜짝 놀라고 쓰러지고 무서워하는 모습만으로도 큰 웃음을 주었다. 특히 산만한 덩치를 갖고 있는 정준하는 시종일관 말을 더듬을 정도로 긴장하며 좀비들이 나타날까봐 전전긍긍하는 모습으로 역시 리액션 왕 다운 면모를 보여줬다.
결국 이 게임은 하하가 이겼지만 전체 ‘무도리go’ 게임의 우승은 유재석에게 돌아갔고, 그에게 부상으로 1000회 출연 프리패스가 돌아갔다. 500회를 넘어 1000회까지 계속 쭉 가자는 김태호 PD의 뜻이 담긴 센스 있는 포상(?)이었다. 그런데 궁금해지는 건 왜 하필 이 게임의 마지막을 좀비 특집으로 했을까 하는 점이다. 그건 진정 우연이었을까.
이번 500회를 맞아 <무한도전>이 한 ‘무도리go’ 게임은 사실상 그간의 많은 특집들을 회고하고 추억하기 위한 장치였다. 그래서 그 게임을 하며 자연스럽게 장기프로젝트로 했던 조정경기나 에어로빅, 댄스스포츠 등을 다시 상기할 수 있었고, 63빌딩에서 했던 ‘무한알바’나 역대급의 몰래카메라를 선보였던 ‘퍼펙트센스’ 게다가 <무모한 도전> 시기에 시도했던 ‘오리배로 유람선 따라잡기’ 같은 도전들을 추억할 수 있었다.
이런 콘셉트를 가진 <무한도전> 500회가 가장 아프면서도 레전드로 남은 ‘좀비 특집’을 빼놓았을 리가 없다. 무려 400명의 좀비 연기자들을 동원했고 카메라만 48대를 설치했으며 예산 자체가 평시에 2배 정도를 썼으나 박명수가 혼자 살겠다고 사다리를 밀쳐내는 바람에 단 28분 만에 실패로 돌아간 미션. 이 아이템은 <무한도전>의 대표적인 실패사례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이 프로그램만의 고유의 성격, 이를테면 실패해도 그 과정은 성공이라는 그 특징을 상징하는 사례가 되었다.
아마도 500회 특집의 마무리에 좀비를 등장시킨 건 그래서 다분히 의도가 깔려 있다고 읽히기에 충분하다. 그 좀비 특집의 실패사례가 보여주는 가치는 다름 아닌 <무한도전> 무려 500회를 달려올 수 있었던 초심이자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늘 도전에 실패하고 나서는 “에이스가 아니었습니다”라고 외치며 다시 도전하던 그들이 아닌가.
김태호 PD는 좀비 특집의 실패에 대해 묻는 필자에게 이렇게 말한 바 있다. “도전의 결과는 성공 혹은 실패예요. 성공하면 성공했으니 좋은 거고 실패하면 다시 한 번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은 거니 더 좋은 거죠.” 즉 안 되도 될 때까지 계속 도전하고 노력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는 것. 500회 특집 마무리를 좀비로 세운 건 아마도 그런 의미가 아니었을까. 죽어도 다시 살아나는 좀비들처럼 1000회까지 쭈욱-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기엔 상식과 초심으로, '1박'의 위기관리 대처법 (0) 2016.10.18 이시영, 솔비로 부활한 '진사', 결국 출연자가 관건 (0) 2016.10.18 '삼시세끼' 에릭, 어디서 이런 보물이 들어왔나 (0) 2016.10.16 '질투' 솔튼페이퍼, 가을 시즌송으로도 부족함이 없는 (1) 2016.10.13 '1박2일', 정준영 없어도 남은 저력 충분하다 (0) 2016.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