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낭만닥터'가 꼬집는 기득권이라는 비겁한 결속력옛글들/드라마 곱씹기 2016. 11. 23. 11:45728x90
현실을 꼬집는 비현실, <낭만닥터>의 판타지
“출세 만능의 시대. 출세를 위해서라면 양심도 생명도 이해타산에 밀려버리는 시대. 어쩔 수 없다는 변명으로 타인의 희생조차 정당화해버리는 사람들. 힘이 없다는 이유로 힘 있는 자들에게 찍히고 싶지 않아서 반쯤 눈감은 채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 그러한 이들의 비겁한 결속력이 기득권이란 이름으로 세상에 군림하고 있었으니.”
'낭만닥터 김사부(사진출처:SBS)'
SBS 월화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에 강동주(유연석)의 목소리로 깔리는 이 내레이션은 요즘 같은 시국에 예사롭지 않게 다가온다. 병원을 다루는 의학드라마에서 ‘진실’이니 ‘비겁한 결속력’이니 ‘기득권’이니 또 ‘군림’이니 하는 단어들이 등장한다는 건 이 드라마가 가진 날선 현실 인식을 드러낸다. <낭만닥터 김사부>는 병원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과거 천재적 외과의사로 세간의 시선을 받던 부용주(한석규)는 현 거대병원 원장 도윤완(최진호)이 꾸민 계략에 의해 철저히 추락하게 됐다. 송현철(장혁진)이 수술 중 사망한 환자를 그가 수술한 것으로 둔갑시키고 병원의 의사들과 간호사들까지 입막음함으로써 결국 병원을 떠나게 만들었던 것. 이후 부용주는 김사부라는 이름으로 돌담병원에 들어와 신분을 속인 채 살아가게 되었다. 결국 그렇게 거짓과 비겁으로 결속된 그들이 기득권이 되어 세상에 군림하고 있다는 것.
<낭만닥터 김사부>는 거대병원이라는 부패한 시스템을 표징하는 공간을 통해 출세와 권력을 위해서라면 양심도 생명도 버리는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에 대한 냉엄한 비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그 현실 비판의 방식이 독특하다. 그것은 비현실적 공간인 돌담병원이라는 ‘이상적 병원’을 통해서다. 도윤완으로 대변되는 거대병원이 우리네 부패한 시스템의 현실을 드러낸다면, 김사부로 대변되는 돌담병원은 그 정반대의 비현실적인 이상적 시스템을 그려낸다.
돌담병원은 우리가 흔히 겪었던 자본화된 병원들과는 사뭇 다르다. 물론 시설이나 의료기기, 의료진의 수 같은 규모는 조악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이곳은 적어도 수술비 문제 같은 것은 전혀 우선시되는 분위기가 아니고 전공과를 두고 벌어지는 병원 내 알력이나 권력 투쟁 같은 것들은 찾아보기 힘든 곳이다. 오롯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에만 맞춰진 ‘진짜 병원’. 하지만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비현실이 되어버린 이상이 바로 돌담병원인 셈이다.
그래서 <낭만닥터 김사부>가 보여주는 건 비현실을 통해 현실을 꼬집는 우화 같은 것이다. 거대병원에서 저 마다의 상처를 안고 돌담병원으로 온 강동주나 윤서정(서현진)은 그래서 김사부를 만나면서 새로운 대안적인 시스템을 경험하고 성장해간다. 그들이 그 과정을 통해 거대병원 같은 부패한 시스템에서 겪었던 상처를 치유해가는 과정은 그래서 시청자들에게는 마치 지금 현실이 주는 허탈함과 황망함 같은 것들을 어루만져주는 느낌으로 다가온다.
물론 이건 지극히 ‘낭만적인’ 생각이다. 하지만 그 낭만이 현실을 꼬집는 힘은 의외로 강력하다. 이성적으로 판단하면 ‘계란으로 바위치기’ 같은 짓은 누구도 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성을 뛰어넘어 바위를 향해 계란을 던지는 그 ‘낭만’은 그 비현실적 행위를 통해 현실의 남루함을 드러내게 해준다. <낭만닥터 김사부>의 낭만은 그래서 그저 심쿵하고 달달한 남녀 간의 사랑 같은 걸 말하는 게 아니다. 그 날선 비판의식으로 작금에 우리가 처한 시국에도 충분한 울림을 전해주는 그런 낭만.
'옛글들 > 드라마 곱씹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른 바다', 바다, 기억, 약속이 떠올리는 것들 (0) 2016.11.25 '낭만닥터', 우리에겐 한석규 같은 리더가 있는가 (0) 2016.11.24 '이아바' 이선균과 송지효, 당신의 의견은 (0) 2016.11.20 상실의 시대, '푸른바다' 인어의 순수가 주는 감흥이란 (0) 2016.11.19 '더 케이투', 지창욱의 몸과 송윤아의 얼굴 (0) 2016.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