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낭만닥터'가 꼬집는 기득권이라는 비겁한 결속력

728x90

현실을 꼬집는 비현실, <낭만닥터>의 판타지

 

출세 만능의 시대. 출세를 위해서라면 양심도 생명도 이해타산에 밀려버리는 시대. 어쩔 수 없다는 변명으로 타인의 희생조차 정당화해버리는 사람들. 힘이 없다는 이유로 힘 있는 자들에게 찍히고 싶지 않아서 반쯤 눈감은 채 진실을 외면하는 사람들. 그러한 이들의 비겁한 결속력이 기득권이란 이름으로 세상에 군림하고 있었으니.”

 

'낭만닥터 김사부(사진출처:SBS)'

SBS 월화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에 강동주(유연석)의 목소리로 깔리는 이 내레이션은 요즘 같은 시국에 예사롭지 않게 다가온다. 병원을 다루는 의학드라마에서 진실이니 비겁한 결속력이니 기득권이니 또 군림이니 하는 단어들이 등장한다는 건 이 드라마가 가진 날선 현실 인식을 드러낸다. <낭만닥터 김사부>는 병원 이야기를 통해 세상을 이야기하려는 것이다.

 

과거 천재적 외과의사로 세간의 시선을 받던 부용주(한석규)는 현 거대병원 원장 도윤완(최진호)이 꾸민 계략에 의해 철저히 추락하게 됐다. 송현철(장혁진)이 수술 중 사망한 환자를 그가 수술한 것으로 둔갑시키고 병원의 의사들과 간호사들까지 입막음함으로써 결국 병원을 떠나게 만들었던 것. 이후 부용주는 김사부라는 이름으로 돌담병원에 들어와 신분을 속인 채 살아가게 되었다. 결국 그렇게 거짓과 비겁으로 결속된 그들이 기득권이 되어 세상에 군림하고 있다는 것.

 

<낭만닥터 김사부>는 거대병원이라는 부패한 시스템을 표징하는 공간을 통해 출세와 권력을 위해서라면 양심도 생명도 버리는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에 대한 냉엄한 비판을 드러내고 있다. 그런데 그 현실 비판의 방식이 독특하다. 그것은 비현실적 공간인 돌담병원이라는 이상적 병원을 통해서다. 도윤완으로 대변되는 거대병원이 우리네 부패한 시스템의 현실을 드러낸다면, 김사부로 대변되는 돌담병원은 그 정반대의 비현실적인 이상적 시스템을 그려낸다.

 

돌담병원은 우리가 흔히 겪었던 자본화된 병원들과는 사뭇 다르다. 물론 시설이나 의료기기, 의료진의 수 같은 규모는 조악하기 이를 데 없다. 하지만 이곳은 적어도 수술비 문제 같은 것은 전혀 우선시되는 분위기가 아니고 전공과를 두고 벌어지는 병원 내 알력이나 권력 투쟁 같은 것들은 찾아보기 힘든 곳이다. 오롯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것에만 맞춰진 진짜 병원’. 하지만 현실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비현실이 되어버린 이상이 바로 돌담병원인 셈이다.

 

그래서 <낭만닥터 김사부>가 보여주는 건 비현실을 통해 현실을 꼬집는 우화 같은 것이다. 거대병원에서 저 마다의 상처를 안고 돌담병원으로 온 강동주나 윤서정(서현진)은 그래서 김사부를 만나면서 새로운 대안적인 시스템을 경험하고 성장해간다. 그들이 그 과정을 통해 거대병원 같은 부패한 시스템에서 겪었던 상처를 치유해가는 과정은 그래서 시청자들에게는 마치 지금 현실이 주는 허탈함과 황망함 같은 것들을 어루만져주는 느낌으로 다가온다.

 

물론 이건 지극히 낭만적인생각이다. 하지만 그 낭만이 현실을 꼬집는 힘은 의외로 강력하다. 이성적으로 판단하면 계란으로 바위치기같은 짓은 누구도 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성을 뛰어넘어 바위를 향해 계란을 던지는 그 낭만은 그 비현실적 행위를 통해 현실의 남루함을 드러내게 해준다. <낭만닥터 김사부>의 낭만은 그래서 그저 심쿵하고 달달한 남녀 간의 사랑 같은 걸 말하는 게 아니다. 그 날선 비판의식으로 작금에 우리가 처한 시국에도 충분한 울림을 전해주는 그런 낭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