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심상찮은 '팬텀싱어', 결국 오디션의 답은 음악

728x90

오디션은 식상해? <팬텀싱어>가 뛰어넘은 한계

 

듣고만 있어도 빠져든다. 뮤지컬과 클래식이라는 장르는 낯설기보다는 놀라움의 연속이었다. 거기에는 가요와는 다른 무언가가 있었다. 듣는 이의 귀가 아니라 영혼을 건드리는 어떤 것. 요즘처럼 가슴이 턱턱 막히는 시국에 뮤지컬 <레미제라블>의 한 자락을 듣거나 <노틀 담의 꼽추>대성당의 시대같은 노래를 듣는다는 건 남다른 경험이 될 수밖에 없다. 마치 답답한 마음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듯한 영혼의 손길이 느껴지는 그런 경험.

 

'팬텀싱어(사진출처:JTBC)'

JTBC <팬텀싱어>에 대한 반응이 심상찮다. 첫 회 시청률이 1.7%(닐슨 코리아)에 머물렀다는 건 시청자들에게 오디션 프로그램이란 형식 자체가 식상한 포맷이 되어버렸다는 반증이다. 하지만 그것이 일종의 선입견이라는 걸 깨주겠다는 듯 소름끼치는 실력을 갖춘 출연자들이 하나 둘 무대에 올라오면서 <팬텀싱어>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2회에 가볍게 2%를 넘긴 시청률은 3회에는 2.6%까지 상승세를 이어갔다.

 

보통의 오디션 프로그램을 보면 첫 회 첫 출연자에 대한 주의 집중이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첫 출연자는 마지막까지 간다는 속설이 있을 정도. 하지만 <팬텀싱어>의 첫 출연자 무대는 사뭇 달랐다. 첫 출연자인 대학생 최경록이 <오페라의 유령>‘Music of the night’을 부르고 나자 윤종신과 윤상 같은 기존 가요 오디션 심사를 했던 심사위원들은 적이 놀라는 얼굴이었다. 하지만 뮤지컬 음악감독 김민정 심사위원은 달랐다. 그런 가창력의 소유자들이 많다는 것. 그래서 최경록의 첫 무대는 시청자들에게 이 <팬텀싱어>의 최고점을 보여줬다기보다는 일종의 기준점을 제시한 무대가 되었다.

 

두 번째로 나온 고은성은 마치 그 기준점을 넘어선 무대가 무엇인가를 보여주겠다는 듯 안정되면서도 속으로 꾹꾹 감정을 눌러 담으며 부르는 <노틀담의 꼽추> ‘대성당의 시대로 심사위원들을 소름 돋게 만들었다. 너무 독특한 카운터테너의 놀라운 기량을 보여줘 중창단을 뽑는 이 오디션에서는 떨어질 수밖에 없었지만 중학생 이준환 군의 무대는 마치 모차르트 시대로 우리를 돌려놓는 듯한 감동을 선사하기도 했다.

 

뮤지컬의 강점이 노래를 하는 것만이 아니라 연기를 통해 스토리를 전해준다는 점에서 듣는 이들을 더욱 몰입시켰다면, 성악은 갈고 닦여진 그 목소리를 자유자재로 구사해낸다는 점에서 놀라움을 안겨줬다. 윤민수의 보컬트레이너였던 성악가 유슬기가 부르는 ‘Granada’나 맨해튼 음대출신의 이동신이 부르는 ‘Nessen Dorma’ 같은 무대는 단번에 성악의 매력에 빠뜨리기에 충분했다.

 

여기에 이어진 건 김문정 감독의 지휘가 가진 마법 같은 힘이었다. 뮤지컬을 준비하고 있는 박유겸은 뮤지컬 <Love never dies>‘Till I here you sing’을 혼자 부를 때와 김문정 감독의 지휘를 받으며 들을 때 확연히 달라지는 무대를 확인시켜줬다. 결국 <팬텀싱어>가 추구하는 건 개개인의 역량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 역량들이 하나로 뭉쳐져 하모니를 이룰 때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는 걸 확인시켜준 무대였다.

 

<팬텀싱어>는 첫 출연자부터 현재의 11대결 미션 무대까지 점층적으로 뮤지컬과 클래식 그리고 가요가 엮어지며 만들어낼 수 있는 음악의 다양한 매력들을 하나씩 쌓아가며 보여줘 왔다. 뮤지컬의 묘미를 순차적으로 보여줬고 여기에 성악이 가진 매력이 곁들여졌으며 나아가 곽동연과 이동신이 함께한 카루소같은 록과 성악이 완벽한 조화를 만들어내는 하모니의 힘을 보여줬다.

 

확실히 요즘의 오디션 프로그램들은 이제 그 패턴이 읽힐 정도로 식상해진 게 사실이다. 그나마 새로운 출연자들이 등장한다는 것이 기대를 주기도 하지만 그 이상을 보여주기가 힘들어졌다는 것. 그러니 복면을 쓰거나 차양막에 가려진 곳에서 얼굴을 숨긴 채 노래를 하는 히든콘셉트가 오디션에 추가된 건 이런 읽히는 패턴을 지워내고 게임적 요소들을 가미함으로써 식상함을 넘어서려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안간힘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그건 결국 오디션의 본질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결국 오디션은 음악이 주는 감동 그 자체에 맞춰질 때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팬텀싱어>는 시청자들에게 상대적으로 익숙하지 않았던 클래식과 뮤지컬을 소재로 가져옴으로써 음악이 주는 감동이라는 그 오디션의 본질에 다가가고 있다. 결국 쏟아지는 오디션 프로그램의 숙제는 아직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음악의 새로운 묘미나 매력들을 꺼내놓는 것에 있다는 걸 <팬텀싱어>는 그 영혼을 울리는 무대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