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네모난 세상

'휴먼다큐 사랑' 신성혁, 이토록 기구한 삶 또 있을까

728x90

파양·학대·추방...‘휴먼다큐 사랑’이 신성혁 통해 전하려한 것

“한 번도 보지 못했지만 사랑해요.... 저는 언제나 엄마의 아들이에요.” 엄마에게 편지를 쓰는 그의 눈에서는 하염없이 눈물이 흘렀다. 2번의 입양과 파양 그리고 나치 수용소를 연상케 했다는 끔찍한 학대, 그리고 16살의 나이에 노숙자들이 있는 거리에 버려진 유일한 동양인. 쓰레기통에서 주워 먹은 치즈버거가 따뜻했었다고 말하는 아담 크랩서(우리 이름으로 신성혁)는 벌써 42세다. 하지만 그 성장한 아담에게서 흘러내리는 눈물은 그저 아이의 그것이었다. MBC <휴먼다큐 사랑>이 전한 첫 번째 사랑이야기의 주인공은 바로 이 아담과 그의 엄마였다.

'휴먼다큐 사랑(사진출처:MBC)'

“아가 미안해. 엄마가 미안해. 너무너무 미안하고. 한 번도 잊어본 적이 없어.” 미국에 불법체류자 신세가 되어 강제추방당할 위기에 처한 아들과 화상통화로 첫 대면을 하는 엄마는 말도 통하지 않는 아들에게 미안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너무나 가난해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삶. 다리가 불편해 운신도 자유롭지 않은 그녀는 결코 고생하라고 보낸 게 아니라고 말했다. 자식을 살리기 위해 선택한 것이 입양이었다는 것이다.

너무 오래 전 헤어진 엄마와 아들. 하지만 그 긴 세월의 간극은 그들 사이에는 없어 보였다. 생존이 어려울 정도로 너무나 곤궁했던 삶에 서로 헤어지게 된 것이었지만, 엄마와 아들은 모두 각자의 삶에서 여전히 생존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었다. 그러니 이역만리에 떨어져 화상으로 만나는 얼굴이지만 그 얼굴에 새겨진 삶의 힘겨움을 읽어내는 일은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었을 게다. 헤어져 잘 살기를 바랐지만 차라리 같이 살며 고생하는 편이 나았을 거라는 후회. 그들의 얼굴에는 그런 것들이 담겨 있었다. 

입양 간 아담에게 미국은 이름그대로의 아름다운 나라가 아니었다. 첫 입양됐던 양부모의 집에서는 폭력이 끊이지 않았다고 했다. 체벌을 당하고 어두운 방에 갇혀 있으면 같이 입양왔던 누나가 슬쩍 문을 열어놓고 가곤 했다고 했다. 두려움에 떨 동생을 위한 배려였다. 하지만 그런 사실이 발각되어 누나도 많이 맞았다고 했다. 결국 파양되면서 아담은 누나와 생이별을 하게 됐다. 하지만 두 번째 입양된 집은 더 심각했다. 12명의 아이들이 수용소에서 사는 것처럼 살았는데, 성적학대와 폭력은 일상이었고 노예처럼 자신들을 부렸다고 했다. 

양부모는 아이들의 인생을 망가뜨렸다. 양부모는 결국 발각되어 감옥에 갔지만 금세 풀려나 잘 살고 있다고 했다. 반면 그 집에서 살던 아이 중 한 명은 자살했고 두 명은 정신병원에 입원했다. 그래도 재판 때 아담은 양부모의 편을 들어주었다. 유일한 가족을 지키고 싶었다고 했다. 하지만 재판이 끝나자 그들은 아담을 길거리에 버리고 가버렸다. 16살에 아담은 그 동네의 유일한 동양인 노숙자가 되었다. 

양부모가 시민권 신청을 하지 않아서 아담은 시민권조차 없었다. 식당, 건축일, 조경, 자동차 수리, 뭐든 할 수 있는 일들을 했고 그는 꽤 일을 잘했다. 자신이 한국에서 가져왔던 물건을 찾기 위해 입양됐던 집을 무단으로 들어갔다가 무단침입죄로 감옥 생활을 했고, 전과자라는 꼬리표는 늘 그를 따라다녔다. 결국 불법체류자 신세가 되어 이민국 구치소에 수감된 아담은 점점 피폐되어갔다. 

결국 이역만리의 타국에서 엄마는 아들을 위한 구명운동을 했다. “미국에 계신 대통령님. 제 아들 좀 구해주세요. 미국에 계신 시민 여러분. 우리 아담 크랩서 좀 도와주세요.” 서툰 목소리지만 그 목소리를 통해 엄마의 간절한 마음이 느껴졌다. 여전히 가난하고 몸도 성치 않아 해줄 수 있는 게 없어 안타까운 엄마. 그렇게라도 엄마는 어떻게든 아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었다. 

구치소에서 피폐해져가는 아들을 위해 엄마는 그 몸을 이끌고 기다시피 부석사 계단을 올라 기도를 했다. 그리고 결국 열린 추방재판. 결과는 추방 결정이었다. 많은 증거들이 채택되지 않았다. 이미 결정된 사안을 갖고 판결을 내리는 것 같았다고 했다. 아담의 변호를 맡은 변호사도 울었다. “우리 법이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느냐”며. 

마흔이 넘어 아들이 쫓겨온다는 소식. 그 결정을 들은 엄마는 소리도 내지 못하고 숨죽여 울었다. 엄마는 아들에게 영상편지를 보냈다. “돈 많은 사람처럼 할 수는 없지만 마음만으로는 100% 너를 사랑한다.” 엄마가 아들에게 해줄 수 있는 일은 처음 화상통화를 통해 했던 그 말이면 충분했다. “엄마가 안아줄게.”

2016년 11월17일 아담은 그 37년 간의 타국 생활을 끝내고 고국 땅을 밟았다. 그는 “이게 운명인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 긴 세월, 그가 걸어왔던 건 결국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었다. 이제 그에게는 고국도 낯선 땅이었다. 하지만 그 낯설음은 37년 전 미국이라는 낯선 곳에 그가 도착했을 때 느꼈던 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그를 기다리고 있는 엄마가 있기 때문이다. 

<휴먼다큐 사랑>은 어째서 이처럼 기구한 삶을 산 아담 크랩서의 이야기를 전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이 엄청난 시련과 고통의 삶을 살아온 그들이기에 가족이라는 것, 그래서 힘겨워도 함께한다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가를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가난함 때문에 헤어지게 되었지만 37년 후 여전히 가난한 그들은 그래도 함께 하려 하고 있다. 적어도 서로의 힘겨움을 넉넉히 안아줄 수 있는 가슴이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