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알쓸2' 유시민이 목포에서 굳이 진도까지 건너간 깊은 뜻

728x90

‘알쓸신잡2’, 슬픈 역사는 어떻게 기억되는가

tvN <알쓸신잡2>에서 목포에 간 유시민은 평소와는 다른 모습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기념관을 찾았던 장동선 박사가 그의 특별했던 일생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자 유시민은 남다른 감회에 젖었다. 4번의 대선 도전에 담겼던 결코 쉽지 않았던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삶과, 이상적인 지향을 가지되 현실적인 실천을 하려 했던 그에게 팬과 안티가 공존했던 그 안타까움을 이야기했다. 유시민은 김대중 전 대통령을 “너무 빨리 온 분”이라 우리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목포만 오면 슬프고” 또 “정서적으로 흔들린다”고 말한 이유였다.

목포 구시가지를 찾았던 유희열과 유현준 교수는 거기 지금도 존재하는 동양척식주식회사의 건물 등에 남겨진 아픈 역사를 이야기했다. 노약자나 임산부는 관람 자체를 조심하라는 문구까지 적혀 있는 당시 참혹했던 역사를 기록한 사진을 둘러보며 유희열은 탄식을 터트렸다. 유시민은 “역사라는 건 다분히 내가 산 공동체가 걸어왔던 흔적에 대해서 내가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와 관계가 되어 있다”며 “그래서 되도록 긍정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역사를 정리하고 시대 구분을 하는 경향들이 있다”고 했다. 

그래서 조선 수탈을 민영화한 동양척식주식회사 같은 건물을 볼 때 우리는 “양가적인 감정”을 느낀다고 했다. 즉 그것을 없애버리고 싶은 마음과 그걸 보존해야 한다는 마음이 공존한다는 것. 여기에 대해 유현준 교수는 그 건물이 무엇이든 “인간이 만들어낸 흔적이고 결과물이기 때문에 어떤 곳에서든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했다. 유희열은 그 날 그 곳을 찾았던 의미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 건물 앞에 평화의 소녀상이 있었는데 거기서 아버지가 소녀상 옆에 아이를 앉혀놓고 사진을 찍고 있더라는 것. 지금의 부자와 평화의 소녀상 그리고 그 뒤편에 있는 구 영사관 자리가 한 장면에 들어 있는 걸 바라보는 기분이 이상했다고 했고 유시민은 “그게 역사”라고 했다.

이 날의 이야기는 특히 아픈 역사가 어떻게 기록되고 기억되며 그것이 또 훗날 어떤 성장의 밑거름이 되는가에 대한 것처럼 느껴졌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그 힘겨운 삶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좀 더 민주화된 우리 사회가 가능했을 것이고, 동양척식회사가 보여주듯 그 아픈 역사를 결코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거기서 평화에 대한 의미를 찾아내고 있을 것이었다. 

황교익이 박물관에서 접한 ‘밥그릇’에 대해 이야기하며, 박정희 전 대통령이 쌀 소비를 줄이기 위해 밥 그릇 크기를 제한했던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것도 거기 남아있는 역사로서의 밥그릇이 존재하기 때문이었다. 장동선 박사가 말한 갑각류의 성장 이야기가 남다른 의미로 다가온 것도 이 날의 아픈 역사에 대한 이야기와 맥을 같이 했다. 갑각류는 겉이 딱딱하기 때문에 허물을 벗으며 성장하는데 그 때가 가장 약해져 있을 때라는 이야기. 즉 누군가 “성장하는 때는 오직 가장 약해져 있는 바로 그 순간”이라는 것이다. 아픈 역사는 그렇게 성장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는 것.

이 날 진도까지 갔던 유시민은 그 곳에서의 즐거운 한 때를 보여줬다. 진돗개 공연장을 찾아 경주부터 댄스까지 진귀한 볼거리를 만끽했던 그 경험을 털어놨고 소치 허련 선생이 그림을 그렸다는 운림산방의 멋진 풍광을 설명했고 울돌목에 여전히 울려 퍼지는 소용돌이 소리에서 열 세척의 배로 적선 삼백 척을 상대했던 명량해전을 떠올릴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진짜 유시민이 진도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던 건 팽목항에 여전히 남아있는 세월호의 아픔 때문에 사람들이 진도대교를 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이었다. 진도사람들은 “더 아픈 사람들이 있음을 알기에 (자신들의 어려움을) 말하지 못한다”는 것. 유시민은 “진도는 정말 좋은 곳”이며 “진도대교와 팽목항의 아픔으로만 기억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슬프고 아픈 역사는 그렇게 영원히 우리의 기억 속에 남겨질 것이지만, 또한 우리는 살아나가야 한다는 것. 유시민이 목포에서 굳이 진도까지 간 그 행보에는 그런 뜻이 담겨있었다.

(사진출처: 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