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세상에서' 시대 초월한 노희경 작가 휴머니즘이 남긴 울림

728x90

짧지만 큰 울림, ‘세상에서’ 같은 리메이크 더 없을까

“아침에 출근하려고 넥타이 맬 때, 맛없는 된장국 먹을 때, 맛있는 된장국 먹을 때, 술 먹을 때, 술 깰 때, 잠자리 볼 때, 잘 때, 잠 깰 때, 잔소리 듣고 싶을 때, 어머님 망령 부릴 때, 연수 시집갈 때, 정수 그 놈 대학갈 때, 정수 대학 졸업할 때, 설날 부침할 때, 추석 송편 빚을 때, 아플 때, 외로울 때...” 

이제 떠날 것을 직감한 인희(원미경)가 남편 정철(유동근)에게 자신이 언제 보고 싶을 것 같냐고 묻자, 남편은 그렇게 하나하나 떠오르는 장면들을 이야기한다. 사실은 전부 다 아내가 그리울 것이라는 걸 말하는 것이지만, 그 그리움의 순간들은 무슨 대단한 일들 때문이 아니다. 그저 일상에서 함께 해왔던 일들이 새삼 새록새록 떠오르고, 앞으로는 많은 날들을 혼자 접해야 한다는 사실이 못내 아리게 다가온다. 

다음 날 잠자리에서 편안하게 눈을 감은 인희를 발견한 정철은 가만히 그 얼굴을 들여다보며 눈물을 흘린다. 카메라는 그들이 함께 침대에 누워있는 모습에서 조금씩 빠져나와 벽에 붙어 있는 바다에서 가족이 함께 찍은 폴라로이드 사진들, 집 거실에서 바라보이는 창 밖 풍경, 나란히 놓여 있는 신발, 널어놓은 빨래들, 함께 앉아 있던 의자, 남편이 읽어주던 책, 바다에서 사진 찍던 그 날의 기억을 훑어나간다. 마치 떠나는 인희가 그 하나하나를 들여다보며 행복했던 그 시간들을 그리워하듯.

tvN 드라마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이 담으려 한 것이 바로 이것일 게다. 죽음에 이르러 누군가의 한 삶이라는 것이 이처럼 소박한 것이고, 그래서 더더욱 아름다운 것이라는 것. 어찌 보면 흔하디흔한 시한부의 삶을 소재로 담고 있지만 이 드라마는 죽음을 통해 삶을 들여다보는 그 시선으로 인해 짧은 4부작임에도 큰 울림을 전해 주었다. 

사실 1996년에 만들어진 작품이고 그러니 20년의 세월이 훌쩍 지난 지금 그 이야기가 정서적으로 지금의 시청자들과 공감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 의구심으로 다가왔던 리메이크작이다. 그리고 실제로 아픈 몸에도 치매를 앓는 노모를 걱정하는 자기희생적인 주부의 면면들은 윗세대들에게는 큰 울림을 줄 수 있었지만, 젊은 세대들에게는 공감이 되지 않을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 리메이크 작품이 보편적인 공감과 감동을 가져갈 수 있었던 건 노희경 작가 특유의 휴머니즘이 드라마 곳곳에 묻어나 있었기 때문이다. 이 점은 20년의 세월이 지나도 여전히 변하지 않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점점 사라지고 있는 지금이 더더욱 간절해지는 그런 가치.

무엇보다 이 작품이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리메이크작으로 남은 건 4부작이라는 압축미 때문이었다. 본래 1996년도에도 MBC 창사 35주년 특집 드라마로 4부작으로 만들어졌던 작품이지만, 그 압축적인 스토리는 리메이크작에도 한층 힘을 실어주었다. 만일 이 아름답지만 슬플 수밖에 없는 이야기가 장편으로 그려졌다고 생각해보라. 이만한 감동을 줄 수 있었을까.

그래서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이 또 하나 거둔 성과는 단막극이 가진 그 짧은 형식만의 가치다. 갈수록 단막극이 설 자리를 잃어가는 요즘, 이 작품은 어째서 단막극이어야 더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여지없이 보여줬다. 짧은 인희의 삶이었기 때문에 더더욱 그 소소한 일상 하나하나가 더 아름답게 다가올 수 있었듯이.

향후에도 이 작품처럼 거장들의 명작을 짧은 리메이크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어떨까. 미니시리즈나 장편이라도 단막극 형식으로 압축적인 리메이크를 통해 재탄생한다면 아마도 그건 그 자체로 충분히 의미 있는 시도가 되지 않을까. 명작을 리마인드하고 단막극의 가치도 살릴 수 있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 같은 명작 단막극 리메이크가 더 나올 수 있기를.(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