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이순재, 그 얼굴에서 아버지를 찾다

728x90

이순재, 우리 시대의 아버지를 연기하다

도대체 이순재 연기의 끝은 어디일까. 현재 ‘이산’의 영조 역할 하나만 봐도 그렇다. 우리가 역사책을 통해 막연히 알고 있던 영조는 카리스마 넘치는 성군의 이미지. 하지만 이순재라는 연기자를 통해 드러나는 영조의 모습은 한 가지로 설명할 수 없는 복합미를 갖고 역사 속 박제된 인물에서 살아나고 있다. 때론 자애가 넘치는 모습을 보이다가도 일순간 추상같은 불호령을 내리고, 때론 인간적인 부족함을 드러내기도 하는 인물이다. 게다가 매병(치매)을 앓는 모습 속에서도 진지함을 잃지 않는 영조의 면면은 실로 천변만화의 얼굴을 순간적으로 바꾸면서도 전혀 어색함이 느껴지지 않는 이순재라는 연기자를 통해서만 가능한 일일 것이다. 그리고 이순재의 연기가 늘 그러했듯이 거기서 발견되는 것은 여지없는 우리 시대 아버지의 모습이다.

연기자 이순재는 우리에게 아버지의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그것은 아마도 1991년 김수현표 드라마라는 호칭이 붙었던 ‘사랑이 뭐길래’의 대발이 아버지라는 캐릭터 때문일 것이다. 대발이 아버지는 아무리 짜도 나오지 않을 것 같은 치약을 가까스로 짜내고는 ‘아직도 일주일은 더 쓰겠네’하고 말할 정도로 절약정신(?)이 생활화된 조금은 궁상스러우면서도, 가장 보수적이고 엄격한 아버지였다. 그 전까지 드라마 상에서 드러나는 아버지상이 ‘전원일기’의 김회장(최불암)처럼 인자하고 털털한 모습이었다면, 이순재가 연기한 아버지상은 이중적인 모습을 드러내면서 엄격함이나 고집 이면에 포착되는 궁상으로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조금씩 달라져 가는 세상 속에서 젊은 세대들에게 고집스런 아버지, 가부장적인 아버지로 비추어졌던 당대의 아버지들의 모습은 그러니까 ‘아껴야 산다’거나 ‘부지런해야 잘 산다’는 식의 사고방식이 생활이 된 경제 개발 시대를 살아온 당대 아버지들의 이 양면성 때문이기도 하다. 이순재는 바로 그런 아버지의 모습을 때론 이빨 하나 들어가지 않는 엄격함으로, 때론 한없이 부드러워지는 아버지의 모습을 오가며 연기했고 그것으로 시청자들에게 열렬한 공감을 얻어냈던 것이다.

하지만 시대는 계속 변해 아버지들의 고개는 점점 더 숙여졌다. IMF라는 파고를 넘으면서 권위는 추락했고, 구조조정과 조기퇴직이란 칼날 아래 그 어깨는 더 작아졌다. 반면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가족 내 여성들의 목소리는 더 커졌다. ‘거침없이 하이킥’의 이순재는 이렇게 달라지고 있는 아버지상을 다시 보여주었다. 가족 내에서 여전히 호통을 치  
   만 그 권위의 힘은 사라진지 오래다. 며느리인 박해미가 늘 ‘OK’를 연발하는 당당함을 보이는 반면, 이순재는 ‘야동순재’ 같은 굴욕의 모습을 보여주는 아버지가 되었다.

‘야동순재’라는 조어는 당대 달라지고 있는 사회와 아버지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야동’이라는 인터넷 사회를 대변하는 용어와 아버지상을 대변하는 ‘순재’가 만나자 권위적인 아버지상은 사라져버렸다. 또한 젊은이들의 도대체 이해할 수 없는 문화를 기웃거리는 아버지의 모습은 수많은 젊은 세대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면서 이 시대의 아버지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순재의 아버지 연기는 여기서 그친 것이 아니다.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한없이 무너지던 모습을 통해 친근한 아버지상을 만들었던 이순재는 ‘이산’의 영조 역할로 오면서 권위를 되찾았다. 추상같은 말 한 마디로 대소신료들을 어쩔 줄 모르게 만드는 그 권위는 카리스마 자체였다. 그 앞에서 이산(이서진)은 물론이고 부인인 정순왕후(김여진)나 며느리인 혜경궁 홍씨(견미리)는 한없이 작아질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순재는 영조를 그저 권위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로만 만들지 않았다.

자애로운 눈길로 이산의 가녀린 어깨를 두드려주기도 하며, 자신의 인간적인 과오를 한없이 뉘우치기도 한다. 이러한 ‘이산’의 아버지상은 좀더 현대 사회가 희구하는 아버지의 모습을 그려낸다. 즉 ‘거침없이 하이킥’의 이순재가 무너져 내리는 아버지를 현실적으로 포착했다면, ‘이산’의 아버지, 영조는 그 시대를 과거로 돌려 다시 세워지는 아버지에 대한 환타지를 끄집어냈다. 강하면서도 자애로운 모습으로의 복권을 희구하게 된 것이다.

이순재의 연기인생을 들여다보면 거기서 우리 시대의 아버지들을 만날 수 있다. 그것은 도무지 이해되지 않을 것 같은 고집과 권위를 내세우던 아버지이기도 하고, 한없이 권위가 무너져 내리던 아버지이기도 하며, 우리가 드라마 속에서라도 발견하고 싶은 강한 아버지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이순재의 아버지 연기는 그 겉모습에 머물지 않고 그 고집이나 굴욕 이면에 숨겨진 아버지들의 속내를 잡아낸다는 점이다. 그래서일까. 이제는 이순재의 얼굴 표정 하나를 살피는 것으로 이 시대 아버지들을 이해하게 되는 것은. 모쪼록 이순재의 얼굴이, 아니 이 시대 아버지들의 얼굴이 환하게 웃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