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너도 인간이니?' 서강준에게서 '별그대' 김수현이 보인다

728x90

‘너도 인간이니?’, 로봇 서강준에게 설렌다는 건

KBS 월화드라마 <너도 인간이니?>가 시청률 9.9%(닐슨 코리아)를 기록했다. 물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정상회담 특별방송으로 경쟁작들이 모두 결방된 상황이었지만, 지난 회 6.3%에서 이만큼 시청률이 껑충 뛰었다는 건 이 드라마가 가진 자체적인 경쟁력도 충분히 있었다는 걸 드러낸다. 그 중심에 서 있는 인물은 역시 로봇 남신 역할의 서강준이다. 

흔히들 연기를 못할 때 ‘로봇 연기’를 한다고들 말하지만, 서강준은 진짜 로봇 연기를 해내고 있다. 로봇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표정이나 말을 잘 내놓지 않는 무뚝뚝함이 그 연기의 핵심이다. 마치 매뉴얼대로 말하는 듯한 대사가 받쳐주고, 미소를 짓는 것조차 상황에 따라 프로그래밍된 느낌을 준다. 

게다가 터미네이터를 연상케 하는 액션 연기도 빼놓을 수 없다. 화재 현장에서 죽을 위기에 처한 강소봉(공승연)을 무너지는 기둥을 받아내고 거대한 철재를 들어 올려 구해내는 장면이나, 자율주행 시험 중 해커에 의해 자동차가 도시의 흉기로 변해버렸을 때 그 차로 뛰어들어 차를 멈춰 세우는 장면이 그렇다. 사실 국내 드라마에서는 좀체 보기 힘든, 고난도 자동차 액션 신이었고, 차에 질질 끌려가는 장면은 이색적이기까지 했다.

그런데 이렇게 차가운 로봇일 수밖에 없는 남신에게 어떤 감정 같은 걸 느끼게 되는 건 왜일까. 진짜 인간 남신을 돌봐야 한다는 자신을 만든 오로라(김성령)의 말을 듣는 로봇 남신의 얼굴에서는 어딘가 쓸쓸함 같은 게 묻어난다. 로봇 남신이 혼수상태인 인간 남신을 대신하고 있다는 사실이 발각될 위기에 처한 것을 미리 알아챈 로봇 남신이 위기를 넘긴 후, 오로라에게 “저 잘했죠?”라고 묻는 장면에서는 마치 엄마 앞에 선 아이 같은 느낌이 묻어난다. 

“눈물을 보이면 안아주는 게 원칙”이라며 안아주는 로봇 남신에게서 괜스레 쿵쾅대는 심장을 느끼는 건 강소봉만이 아닐 게다. 수영장에 빠진 목걸이를 찾아주기 위해 강소봉의 눈을 가린 채 그 곳의 조명을 모두 켜주는 모습에서도 마찬가지다. 그건 로봇이 인간을 보살피는 장면이지만, 어쩐지 그 남신에게서 강소봉은 가슴 설렘을 느낀다. 

인간이 아닌데다 남다른 능력을 가진 존재에게 느끼는 설렘. 우리는 이런 설렘을 이미 <별에서 온 그대>의 도민준(김수현)에게서 느낀 적이 있다. 외계인으로 늙지도 않고 갖가지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또한 우리들의 가슴을 뛰게 했던 인물. 그래서 <너도 인간이니?>의 남신은 마치 <별에서 온 그대>의 로봇 버전을 보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킨다. 

도대체 우리는 어째서 인간도 아닌 외계인과 로봇에게서 더 인간다운 따뜻함과 설렘을 느끼게 되는 걸까. 그것은 인간의 비정함이 로봇에게 입력된 기본 원칙과 설정만큼도 지키지 못할 만큼 엇나간 현실을 말해준다.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권력을 위해서는 사람 하나쯤 죽이는 건 해도 되는 일로 여기는 서종길(유오성) 같은 인간이나, 가족마저 돈 버는 기계처럼 바라보는 남건호(박영규) 같은 인간은 그 현실을 대변해주는 인물들이다. 

이미 1950년에 아이작 아시모프는 자신의 작품 ‘아이 로봇’에 로봇공학의 3원칙을 밝힌 바 있다. 그 제1원칙은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입혀서는 안 된다 그리고 위험에 처한 인간을 모른 척 해서도 안 된다’이다(제2원칙-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 제3원칙-로봇은 로봇 자신을 지켜야 한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그 로봇에게 부과된 제1원칙도 제대로 지키지 않고 살아가지 않던가. 

<너도 인간이니?>를 보며 그 로봇 남신에게 설렌다는 건 그래서 단지 멜로 감정으로만 읽히지는 않는다. 그건 인간으로서의 삶을 증명할 수 있는 기본이 깨져버린 우리네 비정한 삶을 에둘러 꼬집는 것이기도 하다. <별에서 온 그대>의 외계인 도민준이 그러했듯이.(사진: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