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극찬 쏟아지는 '허스토리', 어째서 개봉관 찾기는 어려울까 본문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극찬 쏟아지는 '허스토리', 어째서 개봉관 찾기는 어려울까

D.H.Jung 2018. 7. 8. 10:24
728x90

'허스토리' 같은 영화가 설 자리가 없다는 건

사실 많은 이들이 영화 <허스토리>가 개봉되기 전까지 ‘관부재판’이 무엇인지조차 몰랐다고 말한다. 1992년부터 6년 간 시모노세키와 부산을 오가며 일본 재판부와 맞선 할머니들의 위대한 역사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재판 사상 처음으로 보상판결을 받아낸 재판.

워낙 소재가 소재인지라, 여기 등장하는 할머니들의 얼굴 표정 하나 손등의 주름살 하나를 보는 것만으로도 눈물이 나는 영화다. 특히 부산이라는 지역에서 이 할머니들이 자신의 과거를 숨긴 채 남몰래 눈물만 삼키며 살아오셨을 그 세월의 이야기들이 전해주는 묵직한 감동은 영화가 아니라도 그 실제 사실이 주는 먹먹함을 피할 길이 없다.

그래서인지 영화는 오히려 과하게 감정선을 끌어올리는 연출 같은 걸 하지 않았다. 다소 건조하다싶을 정도로 이야기들을 병렬적으로 엮어 보여주는 <허스토리>는 그래서 관부재판의 연보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소개해주는 다큐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런 균형 감각이 있어 영화가 전하려는 역사적 사실은 더 엄밀하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 영화가 시종일관 무거운 분위기로만 흘러가는 건 아니다. 그것은 이 관부재판을 이끈 원고단의 단장 문정숙(김희애)이라는 여장부 캐릭터 덕분이다. 부산여성경제인연합회라는 거창한 모임에 있던 여행사 대표 문정숙은 그 시원시원한 성격으로 영화에 발랄한 힘을 부여한다. 그와 그의 절친 신사장(김선영)의 워맨스는 이 영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유쾌한 웃음의 요소다. 걸 크러시라고 해도 좋을 법한 문정숙의 말과 행동들은 재판 장면에서 통역을 할 때 감정을 참지 못하고 폭발하는 장면에서 최고조에 이른다.

워낙 실제 관부재판이라는 사실 자체가 드라마틱한 지라 영화는 그 실제를 어떻게 제대로 전달할 것인가에 더 집중한 듯 보인다. 그리고 그 전달에 있어 가장 전위에 선 이들이 출연배우들이다. 김해숙, 예수정, 문숙, 이용녀처럼, 한 자리에 모여 있다는 사실이 믿기 어려울 정도로 저 마다의 연기공력을 보여주는 연기자들은, 너무 과하지도 또 모자라지도 않게 그 아픈 역사를 온 몸으로 담아냈다.

김희애는 우리가 늘 봐왔던 그 ‘우아한 김희애’가 맞나 싶을 정도로 그 역할에 맞는 연기변신을 보여줬다. 커다란 안경테에 뽕이 들어간 철지난 양복을 입고 웬만한 남자들은 기만으로도 눌러 버릴 듯한 모습은 이 할머니들을 이끄는 단장으로서 든든한 느낌을 만들었다. <허스토리>라는 제목에 걸맞게 할머니들과 문정숙-신사장이 보여주는 여성들 간의 연대 역시 그토록 끈끈하게 보일 수 있었던 것도 이들의 연기가 큰 역할을 했다고 보인다.

이 영화는 관부재판을 소재로 하고 있지만, 그간 그 숨기고 말하지 못했던 아픈 과거를 드디어 말한다는 의미에서 최근의 미투 운동을 환기시키기도 한다. 그 분들이나 미투 운동으로 용기를 낸 분들은 어떤 의미에서 모두 생존자들이다. 사회의 편견과 선입견 때문에 자신의 아픈 과거를 말하지 못했던.

<허스토리>는 이처럼 영화적으로도 충분히 재미있고 또 잘 만들어진 작품인데다 의미도 남다른 작품이다. 그래서 영화 개봉 전까지만 해도 많은 관객들이 찾을 걸로 예상됐지만 결과는 영 다르다. 개봉한 지 10일 정도 지났지만 관객 수는 26만여 명에 머물고 있다. 이유는 개봉관 찾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지난 4일 개봉한 <앤트맨과 와스프>가 좌석 수만 166만개를 가져간 반면, 겨우 개봉 2주 차를 맞은 <허스토리>는 고작 5만석을 배정받았다. 물론 영화의 상업성 자체가 다르다고는 해도 이제 퐁당퐁당 상영으로 <허스토리>는 보고 싶어도 보기가 어려운 작품이 되어가고 있다. 제아무리 자본의 논리에 따라 영화관이 선택하는 것이라고 해도 이런 작품에 조금 더 기회를 줄 수는 없는 걸까.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사진:영화'허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