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미션 임파서블'과 톰 크루즈, 기대 저버리지 않는 비결

728x90

‘미션 임파서블6’, 쫀쫀한 이야기에 맨몸 액션 더해지니 안 될 리가

<미션 임파서블 : 폴아웃>은 이 시리즈의 6번째 작품이다. 보통 1편이 성공하면 속편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속설은 이제 옛말이 되었다. 이건 영화와 영화관이 그만큼 대중들에게 하나의 일상적인 여가로 자리 잡은 것과 무관하지 않다. 속편에 대한 굉장한 기대감보다는 어느 정도의 기대가 충족되면 만족하는 관객들이 많아진 것이다. 

그럼에도 무려 6편이나 계속 나온 <미션 임파서블>이 이번 작품에서도 성공을 거두고 있는 건 확실히 특별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건 마치 한 때 냉전시대의 만들어졌다 하면 공전의 히트를 치곤했던 ‘007 시리즈’를 보는 것만 같다. 냉전시대가 지나고 이제 테러리즘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007 시리즈도 고개를 숙였지만, 그 자리를 <미션 임파서블>이 차지하고 있는 듯한 그런 느낌.

하지만 <미션 임파서블>은 그 내적으로도 충분히 성공 잠재력을 가진 콘텐츠다. 이미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TV시리즈로 방영되며 화제가 되었고, 1980년대 말 리메이크될 정도로 <미션 임파서블>의 이야기 구조는 액션 장르에 있어서 하나의 교범으로 자리 잡았다. 그것은 다름 아닌 특유의 긴박한 OST 음악과 함께 타들어가는 심지로 표징되는 ‘시한폭탄’ 이야기 구조다.

시나리오 작법의 기본이 되어 있는 시한폭탄 설정은 이야기에 긴박감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자칫 흐름이 느슨해지는 것들을 잡아주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이번 <미션 임파서블 : 폴아웃>의 경우도 바로 이런 장치를 쓰면서 이야기는 ‘기-승-전-결’이 아닌 ‘전-결-전-결’ 구조로 빠르게 흘러간다. 플루토늄 3개가 사라지고 그 중 하나를 찾아냈지만 나머지 2개를 찾기 위해서는 희대의 테러리스트를 에단 헌트(톰 크루즈)가 직접 구해내야 한다. 

궁극의 큰 미션이 플루토늄급의 시한폭탄 구조로 장착되어 있고, 그걸 해결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미션들이 작은 시한폭탄으로 놓여져 있다. 에단 헌트 앞에 놓여진 너무 많은 시한폭탄들은 도저히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그래서 ‘미션 임파서블’이다. 그런데 그건 에단 헌트 혼자였을 때의 이야기다. 그에게는 그와 함께 하는 오래된 동료들이 있다. 그들이 팀을 이뤄 불가능할 것 같은 시한폭탄들을 해체해가는 이야기. 무려 2시간이 훌쩍 넘는 런닝타임을 갖고 있지만 영화가 시작하고 어느새 끝 지점까지 도달하는 ‘순삭’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다. 

여기에 액션 영화의 핵심이랄 수 있는 리얼한 액션 신들이 더해진다. 그 위험천만한 액션들을 직접 배워 소화해내는 톰 크루즈의 몸 사리지 않는 투혼은 <미션 임파서블>이 시리즈를 더해도 계속 관객에게 신뢰를 주는 중요한 힘이다. 건물과 건물 사이를 뛰어넘고, 아슬아슬하게 헬기에 매달리고, 보기만 해도 아찔한 헬기조종이 톰 크루즈의 온 몸으로 수행될 때 관객들은 “저거 실화냐”며 손에 땀을 쥘 수밖에 없다.

물론 영화를 보러가는 일에 대한 기대감 자체가 과거만큼 크지 않고 대신 일상적인 일이 되면서 어느 정도를 만족시키면 시리즈를 보는 관객들이 많아진 원인이 있지만, 그래도 그 안을 들여다보면 연작이 계속 성공하는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액션 장르의 바이블이 되어 있는 이야기 구조를 충실히 따르면서, 몸을 사리지 않는 실제 액션을 더하니 안 될 리가 있을까.(사진:영화'미션임파서블 폴 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