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3,40억 그렇게 아까웠어요?"..'라이프'가 꼬집은 우리의 성급함

728x90

‘라이프’, 우리는 얼마나 사태를 단순하게만 봤던 걸까

도대체 우리는 얼마나 사태를 단순하게만 봐왔던 걸까. JTBC 월화드라마 <라이프>를 보다 보면 언론에 나오는 일면적인 기사에 일희일비하는 우리들의 성급한 단정들을 되돌아보게 된다. 본래 사태란 여러 욕망들이 뒤섞이고 부딪치면서 드러나는 것이다. 그러니 어느 입장에서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다는 것.

작금의 병원이 처한 문제를 다루는 <라이프>는 이러한 단순함을 성급하게 담으려 하지 않는다. 의사들의 입장과 경영진의 입장이 부딪치고 그 어느 쪽이 완전히 옳고 그르다 성급히 판정하지 않는다. 어느 쪽도 공과 과가 공존하고 그것은 그런 구조가 만들어지게 되는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처음 상국대학병원에 등장해 적자를 면치 못하는 응급센터와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의 지방 전출 명령을 내리는 구승효(조승우) 총괄사장은 의사들과 대립하게 되면서 마치 자본주의의 대변자처럼만 그려졌다. 그래서 의사들은 어딘가 환자의 생명을 지키는 숭고한 존재들처럼 여겨졌지만, <라이프>는 이야기를 이 단순한 구도로 끝내지 않는다. 

구승효는 병원 내에 있었던 약물투여가 잘못되어 벌어진 환자의 사망사건을 끄집어내 그런 잘못을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했던 의사집단의 어두운 면을 폭로한다. 물론 그것은 구승효가 의사들과의 대결에서 승기를 잡기 위한 조처지만, 그 폭로로 인해 의사들이 그렇게 숭고한 존재들만은 아니라는 걸 확인하게 해준다. 그들 역시 저마다의 욕망에 따라 선택하고 행동하는 어쩔 수 없는 인간들이라는 것이다. 

한편 차가운 독종으로만 알았던 구승효가 이노을(원진아)과 함께 소아병동을 돌면서 보여주는 마음의 흔들림은 그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보통의 인간이라는 걸 드러내준다. 집으로 돌아와 잠든 어머니를 미소 지으며 바라보고, 그 옆에 누워 보는 그의 모습은 여느 집의 풍경과 그리 다르지 않다. 그 소아병동에서 봤던 아이를 떠올리며 “나도 어릴 때 많이 아팠냐”고 어머니에게 묻는 구승효는 채산성만 얘기하던 그 독종이 아니다.

그런데 의사들도 사정이 없는 건 아니다. 잘못된 약물투여로 죽은 환자에 대한 추궁이 이어지는 회의에서 주경문(유재명) 흉부외과장은 그런 사망사고까지 벌어지게 되는 자신들의 현실을 토로한다. 그는 불친절하고 낡아 폐쇄된 병동 때문에 많은 환자를 잃었던 과거를 얘기하며 그 병동의 이유가 바로 ‘재정적자’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그 병동은 매년 3,40억의 재정적자를 내고 있었다는 것. 물론 3,40억은 큰돈이지만, 도 전체의 1년 예산 12조원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닌 돈이었다. 

“전 늘 묻고 싶었습니다. 그 돈 3,40억이 그렇게 아까웠어요? 그 돈이 그렇게 목말랐습니까? 진짜 문제는 폐쇄 자체가 아닙니다. 당시 의료원 문제 많았습니다. 예 인정합니다. 하지만 문제점은 고쳐서 어떻게든 개선시켜서 다시 쓸 수 있는 나름의 기회였는데, 고민대신 날려버렸어요. 지방의료를 살릴 수 있는 마지막 기회였는데 그냥 없애버렸습니다.” 혈세 낭비라는 성급한 여론에 밀려 지방 공공병동 하나가 사라져버린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주경문은 설파한다.

“구승효 사장님. 저희 흉부는 늘 인력이 부족합니다. 사람들은 그 이유를 너무나 쉽게 말하죠. 요즘 젊은 의사들이 돈 되고 편한 데로만 몰려서라고요. 하지만 우리 젊은 후배들 전부가 그렇지는 않습니다. 헌데 왜 한 해에 나오는 흉부 전문의가 전국에 스무 명이 되지 않을까요. 병원이 흉부에 투자를 안해서입니다. 적자 수술이 많아서. 병원이 채용을 안해서입니다. 일할 데가 없어서요. 그래도 우린 오늘도 수술장에 들어갑니다. 만분의 일의 사고 위험도로 환자를 죽인 의사라는 비난을 들어도.”

이것은 ‘환자를 죽인 의사’라고 섣불리 매도했던 그 의사가 처한 현실이다. 경영진의 입장과 의사들의 입장 그리고 그 일면만이 기사화되어 보도됐을 때 우리들이 보였던 입장들이 <라이프>라는 드라마를 통해 드디어 입체적으로 그려진다. 비단 병원 문제만이 아니라 사회 곳곳에서 벌어졌던 무수한 사안들을 우리는 어쩌면 이렇게 단순하게만 판정해온 건 아니었을까. <라이프>의 다각적인 시각은 우리의 성급함을 반성하게 만든다.(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