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뭘 하지 말라고 좀..", '알쓸3' 너무 속 시원한 유시민 일침

728x90

‘알쓸신잡3’, 시에나 캄포광장에서 떠올려진 우리의 포용성 수준

이것이 진정한 <알쓸신잡>의 묘미가 아닐까. 이탈리아 시에나의 캄포광장 이야기가 우리네 공동체 문화 이야기로 옮겨가고, 그 이야기는 포용성 문화가 얼마나 그 지역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코드가 되는가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그 이야기들은 이탈리아의 시에나 캄포광장에서 시작해 우리네 아파트 이야기, 산업혁명 시기의 영국이야기, 인구가 서울에만 집중되는 이유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심지어 음악하던 친구들이 모이던 홍대와 최근 새로운 음악인들의 공간으로 자리하고 있는 온라인으로까지 옮아간다. 대화를 통한 인식의 확장. 지식들이 겹쳐지면서 생겨나는 깨달음. <알쓸신잡3>가 시에나 캄포광장을 통해 우리의 포용성 수준을 질문하는 대목이 흥미로웠던 이유다. 

이야기는 김진애 교수가 중세의 모습을 그대로 갖고 있다는 시에나의 캄포광장을 다녀온 소감에서 비롯됐다. 마치 미로처럼 펼쳐진 이탈리아 특유의 좁은 골목길들을 헤매다 보면 어느 새 캄포광장에 와 닿아 있게 그 도시가 설계되어 있다는 것. 그러한 공간 설계는 각각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이 모일 수 있는 기회들을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탈리아의 골목들은 다니다 보면 조금 넓어지는 공간들이 존재하는데, 그 곳은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모이는 공간 역할을 해준다고 한다.

캄포 광장 이야기는 김영하로 하여금 우리네 아파트 문화를 떠올리게 한다. 우리는 왜 그렇게 아파트를 선호하게 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 이유로 김영하는 개인 공간을 인정하지 않고 치고 들어오는 우리네 문화를 지적한다. 유시민 작가는 거기에 더해 우리가 “너무 많은 공동체를 갖고 있다”고 말한다. “개인을 무시하고 관계망을 중시하는” 사회라는 것. 그러면서 캄포 광장이 말해주는 건 “유럽의 공동체”가 “개인주의의 기반 위에 있다”는 사실이라고 했다. 

이 개인을 무시하는 사회의 문제에서 유시민은 ‘포용성’이 얼마나 그 지역 발전에 중요한 인자인가를 말해주는 이른바 ‘게이 지수(Gay Index)’ 이야기를 꺼내놓는다. ‘어떤 지역의 번창 혹은 몰락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소’를 연구해 도시들의 순위를 나열해 보니, 그 순서가 게이 지수(도시마다 동성애자의 거주 비율)와 일치하더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유를 ‘3T이론’이라는 가설로 분석했다. 

도시가 발전하려면 테크놀로지(1T)가 높아야 하는데, 그러려면 재능 있는 사람(탤런트, 2T)이 많이 모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재능 있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이유는 톨러런스(포용성, 3T)라는 것이다. 게이지수가 포용성의 지표가 되는 건, 제일 마지막까지 차별받는 소수집단으로서의 동성애자들까지 별 문제를 느끼지 않고 살 수 있다는 걸 의미하기 때문이란다. 그런 곳이라면 모든 유형, 모든 종류의 괴짜들도 살아갈 수 있다는 것.

김영하는 실제 그 사례로 지난 몇 십 년 간의 샌프란시스코를 들었다. 미국 5대 밀집지역으로서 성소수자의 상징적 도시이고 동시에 실리콘 밸리가 있는 곳이 그 곳이다. 유시민은 나치 독일이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 과학기술에서 완전히 뒤지게 된 이유가 바로 그 포용성이 사라지면서 많은 인재들이 전부 미국으로 빠져나갔기 때문이라고 했다. 김상욱 박사는 그 사례를 19세기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던 이유에서도 찾았다. 당시 영국에 천재들이 많이 나왔는데 출신성분이 미천했던 사람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가난한 집 7형제 중 막내로 태어나 방적기를 발명한 리처드 아크라이트나 빈민가 대장장이의 아들로 태어나 전기모터를 발명한 마이클 패러데이가 그 사례다. 즉 당시 영국사회는 일을 잘하고 능력이 있으면 성공할 수 있는 사회였다는 것이다. 

<알쓸신잡3>가 시에나의 캄포광장 이야기에서부터 비롯되어 나온 포용성 문화에 대한 이야기는 다시 우리의 현실을 들여다보게 만든다. 개인을 인정하지 않는 공동체 문화로 인해 똑같은 익명성으로 존재하는 아파트 속으로 숨어들어가는 우리들. 유시민이 말하듯 천만 인구가 서울에 모여사는 이유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었다. 괴짜들이 이방인이 살 수 있도록 지역이 포용성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그나마 익명성으로 살 수 있는 서울로 모여 든다는 것이다. 

특히 이런 인식의 지평이 아픈 깨달음으로 다가오는 건 김상욱이 얘기한 산업혁명 시기의 영국사회처럼 우리는 “일 잘하고 능력 있으면 성공할 수 있는” 그런 사회일까 하는 의구심 때문이다. 스펙과 출신으로 미래가 결정되고, 성장의 사다리가 끊겨버린 우리 사회는 언젠가부터 일 잘하고 능력 있으면 성공할 수 있다는 그런 믿음이 사라져버린 건 아닐까.

이런 문제들은 이야기를 듣다 1990년대 홍대를 떠올린 유희열처럼 우리 사회 어디서나 발견되는 것들이다. 클럽 한두 개였던 당시 홍대에 몇몇 괴짜들이 음악을 시작하면서 실력 없는 친구들도 데뷔할 수 있는 포용성이 만들어지고 이른바 ‘홍대문화’가 생겨났는데, 자본이 들어오면서 클럽들이 사라져갔다는 것. 그런데 최근 들어 다시 괴짜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공간이 이제는 온라인 공간이라는 것이었다. 

그것은 포용성을 찾기 힘든 우리네 현실(오프라인)의 씁쓸함을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이 대안적으로 찾아낸 온라인 공간이 어째서 최근 들어 우리 사회를 변혁시키는 중요한 공간이 되고 있는가를 잘 말해주는 대목이다. 유시민이 적어도 “뭘 하지 말라고 하는 거 좀 안했으면 좋겠다”고 한 말이 속 시원하게 느껴진 건, 포용성 없는 우리네 현실의 갑갑함을 우리가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