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알함브라', 어느덧 현빈에 몰입하고 있다는 게 기상천외하다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알함브라', 어느덧 현빈에 몰입하고 있다는 게 기상천외하다

D.H.Jung 2018. 12. 17. 11:06
728x90

'알함브라'가 현빈이 겪는 증강현실로 말하려는 건

점점 빠져들더니 어느새 게임과 현실이 중첩된 이 세계가 불러일으키는 긴장감과 공포, 설렘, 흥분 같은 것들을 느끼게 되었다. tvN 주말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이 마법 같은 세계로 우리를 인도하는 과정은 우리가 게임에 몰입해가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간다. 돌이켜보면 이 세계를 만든 정세주(찬열)가 스페인 그라나다로 들어오는 열차에서 갑자기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의 기타음악이 흐르며 먹구름에 비가 내리기시작하더니 누군가에게 총에 맞는 장면은 일종의 게임 오프닝에 해당했다.

그리고 그 게임에 투자하기 위해 유진우(현빈)가 정세주가 만나자 했던 그라나다의 보니따 호스텔에 오게 되고 그 날 밤 광장에서 현실과 가상이 겹쳐진 증강현실 게임을 밤새도록 하는 과정은 튜토리얼이다. 그리고 본 게임은 이 증강현실 게임에 대한 투자를 두고 라이벌 관계에 있는 차형석(박훈)과 유진우가 게임으로 연결되어 한 판 승부를 벌이면서부터 시작된다.

우리는 그 장면을 아무 의심 없이 받아들였지만, 사실 이들이 왜 현실에서 만나 대화나 주먹질로 싸우지 않고 하필이면 증강현실 게임 속에서 대결을 하게 됐다는 건 흥미로운 대목이다. 한 때는 친구이자 동료였지만 회사를 나가 독립하고 심지어 전처까지 빼앗아간 차형석에게 아마도 유진우는 살의까지 가졌을 게다. 하지만 현실 속에서는 살인을 한다는 게 용납되지 않는다. 그러니 게임 속에서 캐릭터와 칼을 들고 이들은 한 판 대결을 벌인다. 그것이 실제적인 죽음에 이르게 하지는 않을 테지만 마치 실제 같은 복수심이나 통쾌함을 대리해줄 것이라 믿기 때문이다.

즉 이 부분은 우리가 어째서 이 가상의 게임을 진짜처럼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단서가 들어있다. 우리는 그것이 진짜라서가 아니라 현실에서는 얻을 수 없는 어떤 것을 대리해 얻을 수 있으리라 여기기 때문에 진짜처럼 받아들인다. 가상은 그래서 현실이 된다. 하루 종일 우리가 실제처럼 게임에 빠질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외부의 시선으로 보면 그렇게 컴퓨터 모니터에 혹은 스마트폰의 액정을 들여다보고 열중하고 있는 게임하는 이들은 그래서 이상해 보일 수 있지만, 정작 그 게임을 하는 이들은 실제처럼 그 세계에 감정을 쏟아넣는다.

유진우와 차형석이 어느 공원에서 증강현실 게임으로 대결을 벌이고, 결국 차형석이 처참하게 피투성이가 된 채 쓰러짐으로써 패배하자 승리에 기쁨에 차 그 자리를 떠나는 유진우는 아무런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는 이것이 그저 게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음 날 그 차형석이 진짜 죽은 채 발견되고, 며칠 후 기타선율과 비구름 속에서 그가 마치 좀비처럼 다시 나타나 유진우를 공격해 죽을 위기에 몰렸을 때 그는 자기 생각이 잘못됐다는 걸 깨닫는다. 사실 차형석을 죽인 건 바로 자신이고, 그렇기 때문에 자신도 그 대가를 치르고 있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게임 속 세계와 현실이 중첩되며 벌어지는 사건은 실제로는 벌어질 수 없는 일이다. 가상의 공격이 물리적 타격을 줄 수 있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게임을 하면서 그 가상 세계에서 실제처럼 감정의 오르내림과 그래서 생겨나는 호흡과 심장박동을 느껴본 이라면 그걸 그저 비현실로만 말하지 못할 게다. 가상의 작동은 이렇게 현실의 감정과 더해져 가능해진다.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그리는 판타지의 세계가 특별하게 그려지는 건, 그것이 이 곳에서 저 곳으로 넘어간 세계가 아니라 이 곳과 저 곳이 겹쳐진 세계라는 점 때문이다. 유진우는 병실 바깥에 나타나 있는 사이버 좀비 같은 차형석을 피하기 위해 정희주(박신혜)에게 다급하게 문을 열지 말라고 외친다. 하지만 정희주에게는 그 차형석 같은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흔히 현실 위에 글자 같은 게 더해지며 올라오는 증강현실의 세계를 우리는 막연히 신기하게만 바라봤지만 누군가에게는 보이고 누군가에게는 보이지 않는 세계가 존재한다는 건 사실 오싹한 일이다.

차형석의 칼에 맞고 쓰러져 이제 죽을 위기에 처한 유진우 앞에 갑자기 정희주가 등장함으로써 그 위기를 벗어나는 장면은 그래서 의미심장하다. 그건 정희주라는 인물이 이 빠져나올 수 없는 세계로부터 유진우를 구원해줄 존재라는 걸 암시하면서, 동시에 가상의 세계를 가로막는 현실적 존재의 의미가 더해져 있어서다. 유진우는 정희주를 끌어안고 가상의 세계로 빠져 들어가는 자신을 그가 현실의 감각으로 이끌어 내주기를 바란다. 그리고 이건 어쩌면 이 드라마가 하려는 중요한 메시지이기도 할 것이다.

사실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이 펼쳐놓은 가상과 현실이 중첩된 세계에서 이야기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 것인지는 예측하기도 어렵고 또 예측할 필요도 없다. 그저 그 겹쳐진 세계가 만들어내는 다양한 사건들을 들여다보며 마치 실제처럼 몰입하고 긴장감과 이완 그리고 피어나는 감정들을 경험하면 될 뿐이다. 어쩌면 이 기상천외한 드라마는 그 과정 자체가 메시지라고 볼 수 있으니 말이다. 이 이상한 세계를 우리가 받아들이고 있고, 그 속에 빠져버린 유진우에게 몰입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증강현실의 세계 속에 들어와 있는 우리의 현실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니.(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