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영화로 세상보기

드라마만 못하다던 '나쁜 녀석들', 그럼에도 대박 난 비결

728x90

'나쁜 녀석들', 뻔한 데 웃기고 통쾌한 캐릭터 액션 통했다

 

(본문 중 영화 내용의 누설이 있습니다. 영화를 관람하실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영화로 돌아온 <나쁜 녀석들: 더 무비>는 어딘가 익숙한 캐릭터들로 채워져 있다. 이미 드라마를 봤던 시청자들이나, 보지 않았어도 김상중과 마동석의 캐릭터를 아는 관객이라면 <나쁜 녀석들>은 아무런 인물 설명 자체가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김상중이 오구탁 반장으로 등장해 첫 대사를 던질 때 관객들은 머릿속에 떠오르는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한 대목을 지우기가 어렵다. “그런데 말입니다...”라는 대사가 나올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 그래서 그 낮게 깔린 자못 심각한 김상중의 대사는 의외의 웃음이 터지게 만든다.

 

이것은 마동석도 마찬가지다. 이미 일찌감치 극중 박웅철이라는 이름보다 마동석이라는 자신의 캐릭터가 하나의 브랜드가 되어 있는 이 배우는 첫 장면에 거대한 덩치에 걸맞지 않게 재봉틀 수를 놓는 장면으로 빵 터지게 만든다. 그 곳은 다름 아닌 교도소이고 거기에 과실치사로 막 들어온 전직 형사 고유성(장기용)이 재소자들과 한바탕 싸움이 벌어지는 상황에 마동석이 등장해 해머 같은 주먹을 휘두르는 장면은 액션과 더해 웃음을 만든다.

 

마동석의 액션이 굉장히 강력한 파괴력을 보여주면서도 웃음을 주는 건 그것이 한층 과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가 주먹을 날리면 맞은 악당들은 몸이 날아가 버린다. 그 과한 리액션이 마동석의 액션을 폭력성보다는 만화적인 느낌을 부여하는 이유다. 폭력성의 불편함이 사라진 지대에서의 마동석의 액션은 그래서 마치 게임을 하는 듯한 통쾌함을 더해준다.

 

김상중과 마동석이 극중 캐릭터가 아니라 배우 자신의 캐릭터를 드러낸다는 건 연기로서는 바람직한 일이 아닐 게다. 하지만 <나쁜 녀석들>은 오히려 이 캐릭터를 보다 적극적으로 영화 속으로 끌고 들어온다. 마동석이 의도적으로 던지는 “그것이 알고 싶네?” 같은 대사는 <나쁜 녀석들>이 오롯이 통쾌한 액션과 웃음을 목적으로 하는 오락영화라는 걸 드러내준다.

 

<나쁜 녀석들>의 바로 이런 대놓고 2시간 정도를 즐기다 가라는 태도는 관객들이 부담 없이 이 영화를 볼 수 있게 만든다. 어차피 이야기는 뻔하다. 나쁜 놈들이 더 나쁜 놈들을 때려잡는다는 것. 그런데 그 설정 자체가 주는 카타르시스가 적지 않다. 정상적인 방식으로 정의를 구현한다는 것이 요원해진 현실 속에서 ‘나쁜 녀석들’의 이것저것 가리지 않는 ‘때려잡는 것’만이 목적인 그 행동들이 통쾌하게 다가오는 이유다.

 

여기에는 자칫 폭력 미화라고 볼 수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지만 이것 역시 <나쁜 녀석들>은 이들이 대적하는 적들을 과장함으로써 넘어선다. 한일관계를 의식한 것인지 이 영화는 일본에서 세력을 평정한 야쿠자들이 이제 우리나라에 들어와 거점을 만들고 중국 같은 대륙까지 진출하려는 야욕을 깔아놓는다. 그건 다분히 일제강점기의 상황을 현재의 조폭 버전으로 바꿔 놓은 지점이다. 그들을 돕는 ‘친일파’까지 등장시켜서.

 

이러니 영화는 더더욱 오락물의 색깔을 확실하게 세우게 된다. 물론 영화가 단지 오락거리로만 치부될 수는 없는 일이지만, 아무 생각 없이 통쾌한 액션을 보며 웃는 일은 결코 무의미한 건 아닐 게다. 이것이 추석 명절에 <나쁜 녀석들>이 경쟁작들을 물리치고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이유다. 즐거움이라는 목적을 주기 위해 기존 배우들의 캐릭터 이미지를 활용하고, 일제강점기 상황까지 패러디하는 방식. 완성도나 메시지가 다소 떨어진다 해도 그 하나의 목적만큼은 충실했다는 것.(사진:영화'나쁜녀석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