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박2일’이 보여준 가수의 생존법
가수가 노래만 해서 살아갈 수 없는 상황은 예능 프로그램에 대거 진출해 있는 가수들을 보면 알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가장 적확하게 보여주는 프로그램은 ‘1박2일’이다. 강호동과 이수근을 빼고, 은지원, 김C, MC몽, 이승기가 모두 가수들이기 때문이다. 이들 가수들은 ‘1박2일’이라는 예능의 한 배를 타면서 그 주가 또한 급상승했다. 은지원은 은초딩이란 별명을 얻으면서 동시에 “밤에 비와-”로 더 알려진 ‘ADIOS’도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승기는 ‘다 줄거야’, ‘추억 속의 그대’등 리메이크곡을 수록한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 앨범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한편 MC몽은 최근 발표한 ‘서커스’가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호응은 음으로 양으로 ‘1박2일’과 떼어놓고 보기가 어려워졌다. 도대체 ‘1박2일’의 어떤 점들이 이 같은 효과를 만들어낸 것일까.
가수들, 살아있는 무대를 만나다
만약 이들이 가수들이 아니었다면 ‘1박2일’의 재미는 분명 반감되었을 것이 틀림없다. 적어도 경남 거창 편에서 갑작스레 결정된 ‘전국노래자랑’ 출전(?)에 이어, 경북 문경 편에서 우연히 들르게 된 충주대에서 이루어진 게릴라 콘서트 같은 독특한 살아있는 재미는 주지 못했을 테니까. 가수들이지만 예능을 하게된 그들이 그 속에서 무대를 만났을 때 주는 감흥은 남다를 수밖에 없다. 더구나 그 무대가 그들이 늘 노래부르던 화려한 무대와는 거리가 먼 지극히 서민적인 무대라면 더욱 그렇다.
하지만 이 낮은 무대는 단지 ‘1박2일’에게만 수혜를 준 것이 아니다. 늘 정해진 안무와 정해진 계획대로 짜여진 틀 속에서 노래하던 그들이, 이 우연히 만나게 되는 무대에서 발견하는 것은 진짜 ‘라이브’라는 말에 걸맞는 살아있는 무대다. 충주대에서 즉각적으로 이루어진 게릴라 콘서트는 바로 그 우연성으로 인해 더 빛날 수밖에 없다. 시청자들 입장에서 보면 그것은 새로운 무대이다. 늘 보던 스튜디오와 조명들과 안무들을 모조리 떼어낸 자리에 남는 것은 마치 연예인들의 맨 얼굴 같은 가수들의 날 것의 모습이다.
가수들, 맨 얼굴을 드러내다
‘1박2일’이 보여준 가수들의 얼굴은 실제로도 맨 얼굴이었다. 추운 야생에서의 하룻밤을 지내고 난 그들의 부스스한 얼굴들에서 과거 가수들이 써왔던 신비주의 전략은 여지없이 무너졌다. 하지만 그 언저리에 새롭게 지지대를 형성하는 것은 바로 친근한 가수들의 얼굴이다. 은지원이나 김C, 그리고 MC몽이 이 예능 프로그램을 만나 시너지를 이룰 수 있었던 원인은 그들의 전략이 신비주의와는 거리가 먼 친근함에 있었기 때문이다. 은지원의 악동 같은 이미지, 김C는 보헤미안적 이미지, MC몽의 거침없는 자유로움의 이미지는 ‘1박2일’이 주창하는 야생과 잘 어울렸다.
하지만 누구보다도 ‘맨 얼굴 전략’이 주효했던 가수는 아이러니하게도 이승기다. 이승기는 은지원이나 김C, 그리고 MC몽과는 다른 이미지, 즉 귀공자 이미지를 가진 가수이지만 과감히 전략을 수정하면서 오히려 친근한 이미지까지 얻어냈다. ‘내 여자라니까’를 부르며 ‘누나들 사이에서’ 머물렀던 이승기가 ‘1박2일’에 합류함으로써 바뀌어진 것은 이제 ‘형들 사이에서도’ 귀여운 이미지를 얻어냈다는 점이다. 이로써 이승기의 팬층은 좀더 폭넓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그의 리메이크 앨범인 ‘남자가 여자를 사랑할 때’가 중년층까지를 소화할 수 있는 옛 노래들을 가지고, 여자가수들의 노래와 남자가수들의 노래를 차례로 부르면서 호응을 얻어낸 팬층과 잘 맞아떨어지는 결과다.
가수들, 가능성을 만나다
무엇보다 ‘1박2일’이 가져온 가장 큰 효과는 이들이 팀을 이루면서 서로 시너지를 만들어냈다는 점이다. 강호동을 맏형으로 유사가족을 형성한 이 가수들은 저마다의 고유한 캐릭터를 구축하고 동시에 상대방의 캐릭터를 서로 강화해주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가수들은 ‘1박2일’을 떠나서는 저마다 각자의 가수의 영역 속에서 활동하면서, 동시에 이 프로그램 속에서는 강력한 팀으로서 활약한다. ‘1박2일’이 리얼 버라이어티로서 애초부터 이들의 일상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기 때문에, 가수들의 외적인 활동은 고스란히 ‘1박2일’의 확장으로도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가수들의 외적 활동이 ‘1박2일’의 확장된 형태가 되면, 거꾸로 ‘1박2일’은 마치 가수들의 이미지를 매주 제고시켜주는 프로그램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프로그램 측이나 가수들이나 모두 바람직한 지점을 찾게 되는 것이다.
정해진 안무대로 인형처럼 움직이는(인간이 아닌 듯한 존재) 가수들은, 이제 어떤 식으로든 ‘1박2일’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인간적인 모습을 드러낼 필요를 느낄 지도 모른다. 물론 가수는 노래가 가장 중요한 덕목이지만 이제 더 이상 노래만 잘한다고 성공하는 가수가 되기는 어려운 시대이기 때문이다. 연기자가 연기를 통해 리얼한 모습(멋지게 보이는 모습이 아닌)을 보여주고, 개그맨들이 리얼 버라이어티쇼를 통해 그 리얼리티를 드러내는 사이, 늘 똑같은 순위 프로그램의 형식 속에서(그것마저도 거의 사라졌다) 얼굴을 드러내야했던 가수들에게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점은 바로 그 리얼한 모습이었다. 그런 면에서 ‘1박2일’의 기획되지 않은 맨 얼굴, 기획되지 않은 무대를 통해 가수들이 만난 것은 이 시대 가수들의 새로운 생존법이면서 동시에 가능성이다.
'옛글들 > 명랑TV'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마, TV를 캐스팅하다 (0) | 2008.05.15 |
---|---|
되는 드라마에는 되는 요일이 있다 (0) | 2008.05.14 |
‘개그야’, 실험도 좋지만 공감이 우선이다 (0) | 2008.05.10 |
가상TV, 설정은 설정일 뿐, 오해하지 말자 (1) | 2008.05.09 |
‘무한도전-경주편’그 형식실험의 가치 (15) | 2008.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