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휴먼다큐 사랑’, 울보엄마의 웃음

728x90

고통까지 나눈 그들, 가족

제 자식의 고통을 보는 부모의 마음이 어떨까. 황정희씨를 통해 전해지는 그 강도는 임파선 암의 고통쯤은 너끈히 이겨낼 정도의 고통이라는 것이다. 자신도 암 판정을 받았지만 막둥이 성윤이의 소아암 앞에서는 더 강해질 수밖에 없었던 황정희씨의 사연을 다룬 ‘휴먼다큐 사랑 - 울보엄마’편은 가족이라는 상투적이 되어버린 단어의 의미를 다시금 새겨주는 시간을 제공해주었다.

가족이라 해도 상대방의 아픔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운 법. 그것이 이제 여덟 살인 어린 성윤이라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먼저 암을 알아버린 엄마의 아픔을 완전히 이해하게 된 것은 성윤이 자신마저 그 항암치료를 시작하면서부터였다. 머리카락이 빠지고 구토가 나는 독한 약 기운 속에서 서로의 대머리를 ‘그들만의 비밀’로 여기게 된 성윤이는 타인이 찾아올 때면 들킬세라 “빨리 모자 써!”하고 엄마를 다그친다.

이로써 대머리는 창피한 그 어떤 것이 아닌 그들만이 통하는 동일한 경험으로서 간직된다. 같은 나이의 친구들이 유치원을 다니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사이에 그들과 다른 사람이 되어버린 성윤이에게 엄마는 같은 존재로서 유일무이한 친구가 된다. 엄마는 그 자체로서 닮음과 통함, 그리고 똑같음으로 연결되는 성윤이에게는 가장 큰 위안이 되기도 하는 것이다. 아빠마저 머리를 빡빡 밀고 집에 온 날, 성윤이가 한 기쁜 두 마디 말이 그걸 말해준다. “깎았어. 똑같네.”

엄마가 울보엄마가 된 것은 자신의 고통 때문이 아니다. 그것은 전적으로 성윤이의 고통을 혹 자신이 준 것이 아닌가하는 자책감이며, 자신의 암 때문에 그 고통을 뒤늦게 알아버린 것은 아닌가하는 의구심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항암치료를 받는 어린 성윤이의 모습과 그로 인해 빼앗겨버린 성윤이의 일상 때문이기도 하다. 울보엄마는 유치원 졸업식에서 성윤이의 빈자리를 보며 눈물을 참지 못하고, 초등학교 입학을 유예시키는 자리에서는 말을 잇지 못한다. 성윤이의 일상 곳곳에서 눈물을 흘리는 엄마는 정작 자신의 몸을 위해서는 눈물을 흘리지 못한다. 그녀가 그 와중에도 돈을 벌기 위해 뛰는 모습은 “나는 어찌 되도 좋습니다”라는 말이 그저 하는 말이 아님을 드러낸다.

그래서 이 다큐에서는 똑같이 암 투병 중인 모자이지만 성윤이의 투병기에 더 초점이 맞춰진다. 그것은 울보엄마의 마음이나 다큐를 제작하는 PD나 그 다큐를 바라보는 모든 시청자들의 마음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성윤이가 고통에서 해방되어 챔피언이 되는 그 순간만이 울보엄마의 진짜 고통(암의 고통은 아무 것도 아닌)을 없애줄 것이기 때문이다. 울보엄마가 울음을 그치고 웃음을 터뜨리는 이유는 이제 성윤이가 그 첫 번째 챔피언이 되는 길을 막 밟았기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엄마가 성공적으로 방사선 치료까지를 끝낼 수 있었던 진짜 힘은 바로 이 자신의 고통마저 마취시켜버리는(?) 성윤이의 아픔과 그를 극복해나가는 아이의 기특한 모습 때문이 아니었던가.

대머리에서 이제 막 머리가 제법 자란 엄마의 모습과 1차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친(앞으로도 꽤 많은 시간들이 여전히 필요하지만) 성윤이의 모습이 또 점점 비슷해져가기를 바라는 건 인지상정일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분명 또 그렇게 닮아갈 것이고 통할 것이며 똑같아질 것이다. 서로가 서로를 닮아가며 또한 그렇기 때문에 살 수 있는 것, 그것이 가족의 힘이 아닌가. 나란히 대머리로 선 가족의 모습은 차츰 머리가 자란 보통 사람들의 모습으로 또 닮아갈 것이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