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온에어’, 착한 드라마를 꿈꾼 트렌디

728x90

‘온에어’와 ‘티켓투더문’ 사이의 거리

드라마 작가 서영은(송윤아)이 보조작가 다정(강주형)에게 시청률을 묻는다. 아무리 시청률을 의식하지 않고 좋은 작품을 쓰겠다고 했지만 그도 역시 어쩔 수 없는 모양. 다정은 시청률이 소폭 올랐다며 “착한 드라마래요. 은영이가 웃으면 같이 웃고 울면 같이 운대요.”하고 시청자 반응을 말하고, 서영은은 감동한 듯, “나 미쳤나봐. 55.5%도 넘겨봤는데 15.5%가 이렇게 좋을 수가 없어.”하고 말한다. ‘온에어’ 속에 등장하는 착한 드라마, ‘티켓투더문’이 15.5%의 시청률을 기록하던 방송이 나가던 날, ‘온에어’의 시청률은 21.9%(AGB닐슨)였다. 최근 사극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드라마 시청률이 떨어진 것을 감안하면 꽤 높은 수치다.

‘티켓투더문’, ‘온에어’가 꿈꾸는 환타지
착한 드라마, ‘티켓투더문’에 시청률 15.5%를 준 것은 어쩌면 ‘온에어’가 꿈꾸는 드라마의 환타지인지도 모른다. 실제로 자극적이지 않고 볼거리에 치중하지도 않으면서 잔잔한 감동과 메시지만을 진심으로 담아 승부하는 착한 드라마들이 이만한 시청률을 거두기는 현실에서는 참으로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20%대의 시청률을 기록했던 ‘고맙습니다’ 정도가 예외가 될 뿐, 대부분은 10%도 넘기지 못하고 언제 사라졌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조용히 끝나버리는 것이 보통이다.

그렇다면 ‘티켓투더문’같은 착한 드라마를 꿈꾸는 ‘온에어’는 착한 드라마일까. 그렇지 않다. ‘온에어’는 꿈꾸는 드라마가 아니라 철저히 현실적인 드라마다. 이 드라마는 “작가님은 왜 작품마다 PPL로 도배를 하죠?”하고 오승아(김하늘)의 입을 통해 PPL의 문제를 꺼내놓으면서도 심지어 그 대사를 하고 있는 장소조차 PPL로 활용한다. “작가가 왜 작품으로 승부하지 배우에 기대느냐”는 이경민 PD(박용하)의 대사를 빌어 스타배우에 기대는 작금의 드라마 제작 행태를 비판하지만, 이 ‘온에어’라는 작품은 기본적으로 네 명의 스타배우들의 파워와 그네들의 혼신을 불태운 연기에 기댄 점이 분명 존재한다.

“왜 불필요한 해외로케를 하느냐”는 대사를 통해 홍보 이벤트성 해외로케의 문제를 꼬집지만 사실상 한 회분 전체를 해외 로케의 홍보로 활용하는 과감성도 보인다. 이경민 PD는 “시청률도 중요하지만 작품에는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서작가 작품에는 명대사만 많을 뿐 진정성이 없다.”고 말하지만 이 ‘온에어’라는 작품은 진정성 하나를 무기로 전장에 나선 착한 드라마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과는 정반대로 드라마 제작과 마케팅 홍보에 있어서 능수 능란한 프로의 손길이 느껴진다.

문제의식이 멜로로 바뀔 때
따라서 ‘온에어’가 꿈꾸는 드라마, ‘티켓투더문’에서 마지막 16부의 내용이 바뀌는 것은 어쩌면 실제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인지도 모른다. 서영은 작가는 극중 은영의 성장을 단순히 에이든과의 사랑을 통한 멜로의 성장으로만 그려왔는데 그게 아니었다는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바꾸자는 내용 속에 포함되는 것은 은영의 사회적인 성장이다. 즉 그저 편안한 해외로의 도피가 아니라 국내로 되돌아와 비슷한 장애를 겪는 이들을 위해 거북이하우스를 만드는 것이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알겠지만 여기서 ‘거북이’라는 이름은 ‘조금 느릴 뿐’이라는 사회적 의미를 포함한다. 착한 드라마의 진정성이란 멜로의 진정성만이 아니라 사회적인 함의까지를 내포한다는 걸 자인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의미로의 확장은 ‘온에어’라는 현실(이것은 ‘티켓투더문’을 드라마 속이라 상정했을 때는 현실이 된다)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티켓투더문’ 속에서 에이든이 은영에게 “놀라지 말아요”라고 말하며 키스를 하는 장면은, 사실 장애와 비장애를 뛰어넘는 사회적 의미를 가지지만, ‘온에어’라는 현실로 나오면 이경민에게 서영은이 받았던 기습키스를 대본의 형태로 이경민에게 되돌려주는 멜로로서만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착한 드라마를 꿈꾸는 ‘온에어’는 ‘티켓투더문’이라는 작품 속에서만 꿈을 꿀뿐, 작품 밖으로 나오면 철저히 시청률의 잣대로 움직이는 지극히 현실적인 멜로드라마가 된다.

시청률과 꿈꾸기의 두 마리 토끼 잡기
어쩌면 이것은 만들고 싶은 드라마와 현실적으로 만들 수 있는 드라마 사이의 간극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드라마를 둘러싼 PD와 작가, 배우와 매니저 사이의 팽팽한 갈등과 긴장감은 착한 드라마에 대한 많은 이야기들을 끄집어냈지만, 현실적으로 이 드라마 자체는 착한 드라마가 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따라서 착한 드라마를 위한 팽팽한 대립은 점차 멜로의 전조로서 작용한 바가 크며, 착한 드라마인 ‘티켓투더문’은 ‘온에어’의 멜로를 위한 표현의 창구로서(동그라미를 치거나 특정 대사를 집어넣거나) 기능한 바가 크다. 그리고 이것은 안타깝게도 작금의 드라마 제작환경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에어’의 가치는 착한 드라마냐 아니냐의 측면이 아니라, 이 독특한 다중창 전략에서 찾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 드라마 속의 드라마를 배치하는 전략을 통해 ‘온에어’는 현실적인 시청률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꿈을 꿀 수 있는(극중 드라마를 통해) 장치를 얻어낸 셈이다. ‘티켓투더문’이라는 드라마 속 드라마는‘온에어’라는 차가운 드라마 현실에서 착한 드라마를 꿈꿀 수 있는 티켓이 되어주었다. ‘온에어’는 착한 드라마는 아니었지만, 적어도 착한 드라마를 꿈꾸었던 점만은 분명하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