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복불복에 빠진 '1박', 그럴수록 여행의 참맛은 점점 사라진다

728x90

‘1박2일’ 시즌4, 출연자 매력만으로 채워지지 않는 것들

 

복불복으로 시작해 복불복으로 끝나는 느낌이다. KBS 대표 예능 프로그램 <1박2일> 시즌4가 복불복의 늪에 빠졌다. 김종민을 제외하고 출연자들을 모두 교체했고, 제작진도 방글이 PD를 새롭게 기용해 새 진용을 꾸렸다. 물론 이렇게 새로 시작하는 체제는 초반 어느 정도의 적응기가 필요하기 마련이다. 그건 출연자들도 또 제작진들도, 시청자들도 필요하다.

 

그래서 초반에 여행에 대한 새로운 기획을 내놓기보다는 복불복 게임 등을 통해 출연자들의 캐릭터에 집중하는 건 중요하다. 실제로 <1박2일> 시즌4는 충북 단양에서 진행됐던 일종의 오리엔테이션이나 인제에서 펼쳐진 혹한기 아카데미가 거의 복불복 게임으로 채워졌다. 이동 차량을 두고 벌어지는 복불복, 점심식사 복불복, 저녁식사 복불복에 야외취침을 놓고 벌이는 복불복으로 하루를 끝내면 다음 날 아침 기상미션 복불복이 이어진다.

 

그 과정에서 출연자들의 개성과 매력은 확실히 드러났다. 맏형이지만 게임에 연전연패하며 최약체의 허술한 인간미를 보여주는 연정훈, 새 진용 속에서 브레인으로 거듭난 김종민, ‘도톰과 제리’라는 별칭으로 티키타카 케미를 보여주는 문세윤과 딘딘, 예뽀(예능 뽀시래기)라 불리며 허당 승부욕을 드러내는 김선호 그리고 젊은 피의 패기로 다가오는 라비가 그 캐릭터들이다.

 

하지만 이 정도 캐릭터가 생겨난 상황에서 경북 안동으로 떠난 네 번째 여행도 거의 비슷한 패턴을 보여준다는 건 어딘지 아쉬운 부분이다. 물론 복불복 게임에도 안동이라는 특색을 더하려 노력한 흔적은 보인다. 하지만 그 연결고리가 너무 작위적인 면도 있다. 예를 들어 그 곳에 흐르는 낙동강을 얘기하며 떠오르는 ‘오리알’ 복불복을 한다거나, 도산서원에서 한자 대결을 하고, 안동에 있는 이육사 문학관에서 시 암송 미션을 하는 식이 그렇다.

 

물론 안동이라는 지역과 연관이 있는 복불복 게임이긴 하지만 그것이 실제 여행과 관련이 있다고 보긴 어렵다. 오리를 보거나 오리알을 먹기 위해 안동을 가는 이들이 몇이나 될 것이며, 도산서원이 주는 고적하면서도 편안해지는 그 공간의 맛을 생각한다면 한자 대결이 여행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 싶다. 이육사 문학관에서 시 암송 대결을 벌이는 것이 물론 게임의 재미를 만들 수는 있겠지만 이육사의 문학이 가진 의미나 가치를 되새겨 주진 않을 게다.

 

<1박2일>은 결국 여행 프로그램이다. 시즌4로 이어지면서까지 계속 이 프로그램이 존속할 수 있는 이유는 국내 여행지를 소개한다는 그 취지가 KBS라는 공영방송과 잘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결국 <1박2일>의 핵심은 여행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초반에 새로운 출연자들이 등장해 이들을 소개하는 시간은 필요하고, 그 과정에서 복불복이라는 조미료가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어디까지나 복불복은 조미료에 해당하지 <1박2일>이 가진 여행이라는 음식은 아니다. 복불복이라는 조미료에 출연자 매력만으로 <1박2일>이 제대로 된 음식을 내놓기는 어렵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1박2일>이 여행의 어떤 면들을 찾아내야 이런 단점들이 보완될 수 있을까. 그것은 현재 실제로 그 여행지를 여행하고픈 이들이 갖는 그 정서에서 찾아내야 한다. 누군가 안동을 여행하고 싶다면 왜 하필 그 곳을 가고 싶어 할 것인가를 찾아내야 하고 그 곳을 여행할 때 갖게 되는 독특한 감정이나 정서, 분위기 같은 것을 프로그램에 녹여내야 <1박2일>은 제대로 된 국내 여행을 담는 프로그램으로 설 수 있지 않을까.

 

적어도 프로그램을 보고 나도 저 곳에 가고 싶다는 마음이 들어야 여행 프로그램은 비로소 기본을 하는 것이다. 그러니 당장의 시청률과 재미를 위한 복불복의 재미에 빠져들다가 여행이 아닌 게임 예능이 되어버리는 우를 범하지 않아야 하지 않을까. 새 출연자들의 매력은 충분히 알았다. 이제 여행이 주는 묘미를 찾아야 할 때다.(사진:K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