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명랑TV

'서울집', 집방의 집 구경에 더해진 '한끼줍쇼'의 사람냄새

728x90

'서울집', 집방은 과연 우리의 집에 대한 관념을 바꿔줄까

 

이른바 집방 전성시대다. MBC <구해줘! 홈즈>가 의뢰인의 요구에 맞는 집을 연예인들이 대신 찾아주는 콘셉트로 시작했지만, 도심에 직접 집을 짓는 협소주택이나 도심을 벗어나 전원주택을 찾는 이들을 조명하며 주목을 받은 건 현 대중들의 집에 대한 로망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를 잘 보여준 대목이다. 그건 어떻게든 직장 가깝고 학군 좋은 서울에서 작고 비싸더라도 아파트 살이를 할 수밖에 없는 부동산 현실 속에서 정반대로 서울을 좀 벗어나더라도 진짜 집 같은 집을 꿈꾸는 대중들의 욕망을 자극했다.

 

그 후 SBS가 파일럿으로 방영한 <나의 판타집> 같은 프로그램 역시 꿈꾸던 집을 찾아 연예인들이 그 공간을 체험해보는 시간을 보여줬다. 그 과정에서 집주인이 그런 집을 짓게 된 이유가 등장했고, 그걸 공감하는 연예인의 모습은 시청자들의 마음을 고스란히 대변했다. 어쩌다 잠깐 밤에 들어가 몸을 눕혔다가 아침이면 빠져나오는 그런 집이 아니라, 여유 있게 정원을 산책하고 가족의 추억과 이야기들이 오롯이 묻어나는 그런 진짜 집에 대한 로망은 그걸 허락하지 않는 현실 때문에 더욱 강력해졌다.

 

JTBC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는 분명 이러한 집방 전성시대의 연장선에 있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이 프로그램은 제목에 아예 '서울 바깥'을 앞으로 보여줄 집의 조건으로 달아 놓았다. 이것은 그간 도심으로 몰려드는 인구들 때문에 집이 점점 수직으로 세워지고 좁아지면서 가격은 높아진 서울로 대변되는 부동산의 현실을 저격하는 제목이다. 그런 집들을 과연 '우리집'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질문도 담겨있다. 요컨대 서울엔 없지만 서울 바깥에서 드디어 '우리집'을 찾을 수 있다는 것.

 

프로그램 콘셉트는 여타의 집방처럼 집을 찾아가 구경하는 것이다. 하지만 서울 바깥으로 나와 집을 직접 지은 이들은 저마다의 사연을 갖고 있기 마련이다. 그리고 그런 사연들은 그 집이 그렇게 지어진 이유와도 맞닿아 있다. 예컨대 권유진 의상감독의 양평집은 90대 노모에 대한 사랑과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자부심이 담겨 있고, 김포에 사는 3형제를 위해 지은 집은 마음껏 아이들이 뛰어 놀 수 있게 하고픈 부모의 사랑과 다양한 취미를 가진 남편의 로망이 담겨 있다.

 

또 여주에 있는 벙커처럼 생긴 집은 고층을 올릴 수 없는 환경적 조건 때문에 오히려 밑을 파서 더 특색있는 집이 만들어졌다. 지하2층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햇볕이 들어오고 지하이기 때문에 천연적인 단열 효과를 톡톡히 누리는 집. 게다가 중정에 세워진 나무가 계절에 따라 색색의 옷을 갈아입는 모습을 거실에서 방에서 욕실에서 저마다의 각도로 바라볼 수 있는 호사까지. 서울 바깥으로 나오자 도시에서는 도무지 꿈꿀 수 없던 집에 대한 상상력들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는 연예인들이 일반인인 집주인을 찾아가 만나고 그 집을 구경하며 두런두런 이야기를 한다는 점에서 <한끼줍쇼>의 특징이 묻어난다. <한끼줍쇼>가 음식을 매개로 이야기를 나눈다면,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는 집을 매개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다를 뿐, 그 소통의 훈훈함과 즐거움은 유사하다. 특히 집주인의 이야기가 집의 건축 속에 자연스레 묻어나 있다는 점은 집이 과연 어떠해야 하는가를 보여주기도 한다.

 

물론 서울을 벗어나 꿈꾸던 집을 짓고 살아간다는 건 대단한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거기에는 얻는 것만큼 잃는 것 또한 분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우리가 알게 된 것처럼 이제 더 이상 도시로 집중되는 삶보다는 지역으로 분산되어 저마다의 커뮤니티를 갖는 삶이 우리에게는 보다 안전하고 바람직한 삶으로 제시되고 있다. 여전히 현실은 꿈의 발목을 잡지만 그래도 꿈꾸는 일부터가 현실을 바꾸는 첫 걸음이 되지 않을까.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가 부여하는 로망이 가치 있게 여겨지는 이유다.(사진:JT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