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정덕현

지상파 '연기대상', 풍성한 SBS와 대비된 소소해진 MBC·KBS 본문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지상파 '연기대상', 풍성한 SBS와 대비된 소소해진 MBC·KBS

D.H.Jung 2021. 1. 4. 11:54
728x90

2020년 드라마 패권 경쟁, tvN·JTBC·SBS·넷플릭스였던 까닭

 

지난 2020년 지상파 3사의 <연기대상>을 들여다보면 전반적으로 지상파의 드라마 위상이 과거보다 급격히 추락했다는 걸 실감하게 된다. 상업방송인 SBS만이 그래도 지상파로서의 자존심을 지켰다 말할 수 있지만, MBC와 KBS는 이렇다 할 성공작이라고 내세울 수 있는 드라마가 극히 적었다. 

 

먼저 SBS는 이제는 믿고 보는 배우가 된 남궁민이 생애 첫 대상을 거머쥐게 한 <스토브리그> 같은 좋은 작품이 있었고, <펜트하우스> 같은 시청률과 화제성에서 파괴력을 보여준 작품도 있었다. <아무도 모른다>나 <하이에나>,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낭만닥터 김사부> 같은 다양한 장르와 소재의 작품들이 고르게 수상을 했고, 그건 SBS가 2020년 한 해 꽤 선전했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반면 <2020 KBS 연기대상>을 보면 대상을 받은 천호진이 출연했던 <한 번 다녀왔습니다>가 여자 최우수연기상(이민정), 장편 여자 우수연기상(이정은), 장편 남자 우수연기상(이상엽) 등등 10여 부문이 넘는 상을 쓸어갔고, <오! 삼광빌라> 역시 만만찮은 상들을 가져감으로써 사실상 KBS의 한해 성과가 주말드라마에 거의 집중되어 있었다는 걸 드러냈다. <바람피면 죽는다>, <출사표>, <포레스트> 같은 미니시리즈들이 있었지만, 그 존재감은 낮았다. 

 

<2020 MBC 연기대상>도 사정은 그리 다르지 않았다. 박해진이 대상을 또 김응수가 최우수연기상을 받은 <꼰대인턴>과, 신성록이 최우수연기상을 받은 <카이로스>, 남지현과 이준혁에게 최우수연기상과 우수연기상이 돌아간 <365:운명을 거스르는 1년> 정도가 성과라면 성과였다. 하지만 <꼰대인턴>이 6%대 시청률에 머물렀고, <카이로스> 역시 3%대 시청률을 기록했다는 건 MBC 드라마가 점점 대중적인 힘을 잃고 있는 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을 드러낸다. 

 

SBS를 빼고는 사실상 소소해진 지상파 드라마들의 상황은, 드라마의 패권이 tvN, JTBC 같은 비지상파와 넷플릭스 같은 OTT로 이동하고 있는 걸 에둘러 말해준다. tvN은 2020년 한 해의 드라마 이슈를 거의 쓸어가다시피 할 정도로 화제작들이 쏟아졌다. 일본에서도 신드롬을 일으킨 <사랑의 불시착>을 위시해 <슬기로운 의사생활>, <청춘기록>, <비밀의 숲2>, <사이코지만 괜찮아> 같은 작품들이 큰 성공을 거뒀다. JTBC도 하반기에 주춤했지만 상반기 <이태원 클라쓰>와 <부부의 세계>가 큰 반향을 일으키며 화제를 끌어 모았다. 

 

무엇보다 2020년은 넷플릭스를 통해 소개된 드라마들이 우리네 드라마의 지평을 넓히고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이끌어낸 한 해였다. <킹덤>, <인간수업> 그리고 <스위트홈>에 이르는 2020년 넷플릭스의 한국드라마들은 이 플랫폼을 통해 지금껏 우리네 드라마가 가보지 않았던 길을 성공적으로 걸어갔다. 

 

2021년은 아마도 이런 지상파에서 점점 비지상파와 OTT로 드라마의 패권이 옮겨가는 흐름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들도 이제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인지되는 상황 속에서 사실상 실제 대결은 제작사들인 스튜디오의 대결이 되어가고 있다. SBS의 스튜디오S, tvN의 스튜디오 드래곤, JTBC의 JTBC스튜디오 같은 제작사들이 그들이다. 이 제작사들은 모회사에 대한 드라마 수급은 물론이고 타 방송사, 타 플랫폼으로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연말이면 기대되곤 했던 빅이벤트로서의 지상파 연기대상은 이런 변화 속에서 과거만큼의 위상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방송사들은 플랫폼의 역할만 하고 있는 상황이고, 그 힘은 제작사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면, 좀 더 방송3사는 물론이고 비지상파, OTT까지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연말 시상식이 이제는 필요해지지 않았나 싶다.(사진: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