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옛글들/드라마 곱씹기

'낮과 밤', 남궁민의 연기가 이 미궁의 실타래가 된 까닭

728x90

'낮과 밤', 남궁민의 연기에 깃든 드라마의 메시지

 

tvN 월화드라마 <낮과 밤>은 시청자들을 그 미궁 속으로 몰아넣었다. 28년 전 하얀밤 마을에서 벌어진 집단 사망 사건이 그 미궁으로 들어가는 입구였다면, 28년 후 발생하는 연쇄 예고 살인은 그 미궁이 갈수록 깊어진다는 예고였다. 그러니 시청자들은 아무런 단서 없이 툭 던져진 미궁 속에서 어디로 발을 내딛어야 할지 알 수 없는 난감한 상황에 빠지게 됐다. 

 

하지만 그 28년의 간극과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두 사건들을 연결시켜준 건 특수팀 팀장 도정우(남궁민)다. 남다른 능력의 소유자지만 냉소적인 말투에 어딘지 허무 가득한 눈빛이 예사롭지 않던 도 팀장은 죽은 자들에게서 아무런 망설임이나 공포의 징후가 발견되지 않은 연쇄 예고 살인의 범인으로 지목되고, 그것이 자각몽을 이용한 것이란 게 밝혀진다. 

 

이 과정에서 범죄심리학박사로 미국 FBI에서 파견된 제이미(이청아)가 도정우와 함께 28년 전 하얀밤 마을에서 생존해 탈출한 인물이라는 게 밝혀지고, 그가 우연히 만난 문재웅(윤선우) 또한 그 때 생존자 중 한 명이라는 게 드러난다. 그리고 이들은 당시 생체실험으로 죽어나간 아이들 속에서 살아남아 남다른 능력을 가진 존재라는 사실 또한 밝혀진다. 

 

애초 도정우라는 인물은 그래서 28년 전 하얀밤 마을과 현재 발생한 연쇄 예고 살인을 연결하는 존재로서 등장해, 과거에 벌어졌던 생체실험이 현재도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찾아가는 인물이고, 그것을 막기 위해 백야 재단과 자신의 방식으로 맞서는 인물이 된다. 처음에는 특수팀 팀장이었다가, 연쇄 예고 살인의 용의자가 됐던 도정우는 이제 과거 생체실험으로 갖게 된 능력으로 자신을 그렇게 만들고 또 다른 아이들도 희생양으로 만들고 있는 거대 권력 집단인 백야 재단과 맞서는 다크 히어로로 변신한다. 그 미로 같은 이야기에서도 시청자들이 길을 잃지 않은 건 바로 이 인물 덕분이다. 

 

그런데 도정우는 이 작품이 궁극적으로 그려내려 하는 '모호한 경계'라는 메시지를 캐릭터적으로도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는 생체실험을 통해 보통 인간이 가질 수 없는 능력을 가진 존재가 되지만, 그 부작용으로서 뇌에 이상을 갖게 된 시한부이기도 하다. 그는 초능력자이지만 그 능력의 대가로서 죽음을 앞두고 있는 인물이라는 것. 낮인 듯 보이지만 밤이 겹쳐져 있는 그런 인물이다. 

 

그리고 이것은 이 미스터리한 스릴러가 그 복잡한 미궁 속으로 시청자들을 끌어들여 궁극적으로 보여주려는 주제의식이기도 하다. <낮과 밤>에는 우리가 분명하다 믿고 있던 어떤 것들이 사실은 모호한 경계에 서 있어 그것이 낮인지 밤인지를 알 수 없는 세계를 그리고 있다. 어린이들을 보호하고 양육해줘야 할 보육원은 생체실험을 위해 아이들을 수급하는(?) 일을 하고 있고, 공혜원(김설현)에게는 그저 일만 아는 평범한 아버지인 줄 알았던 공일도(김창완)가 바로 그 실험을 28년 간이나 하며 이를 숨겨왔던 인물이다. 

 

진범을 잡고 진실을 추구해야 할 경찰 조직은 하얀밤 마을의 그 집단 사망 사건의 증거들을 은폐하고, 심지어 이 엄청난 범죄를 자행한 백야 재단에는 오정환(김태우) 같은 대통령 비서실장까지 개입되어 있다. 게다가 이 실험에서 나온 공식을 통해 전직 대통령이 백 살이 훌쩍 넘어서도 여전히 생존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등장한다. 하얀밤 마을의 집단 사망 사건이나 연쇄 자살 사건을 일으킨 것도 이른바 '자각몽'을 이용한 범죄로서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를 이용한 사건이라는 점도 의미심장하다. 

 

하얀밤 마을에서 비공식적으로 살아남은 생존자 셋 중 하나인 문재웅(윤선우)은 이 낮과 밤을 해리성 인격장애를 통해 드러내는 인물이다. 그는 함께 하얀밤 마을에서 탈출한 장용식(장혁진)에 학대당하며 포털 MODU를 통해 여론 조작을 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살인자의 또 다른 얼굴이 등장하며 장용식을 오히려 지배하는 존재로 변신한다. 이러한 해리성 인격장애는 제이미 또한 겪던 일이라는 점에서 하얀밤 마을의 생체실험이 야기하는 뇌 이상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이런 경계가 모호한 상황, 사건, 인물들을 통해 <낮과 밤>은 우리가 명징하다 여겼던 세계가 사실은 무수히 그 범주를 넘나드는 경계 위에 존재한다는 걸 드러낸다. 완전히 믿을 수 있는 세상도 없고, 심지어 사람도 없다. 그래서 도정우라는 인물은 주인공이면서도 시청자들조차 이 인물의 실체를 의심하게 되는 놀라운 캐릭터다. 그는 살인자인가 아니면 응분의 대가를 받아야 하는 자들을 처단하는 영웅인가. 그는 피해자인가 아니면 가해자인가. 그는 초능력자인가 아니면 죽을 날을 앞둔 시한부인가. 

 

남궁민은 이 '낮과 밤'의 복잡한 감정과 생각을 동시에 가진 도정우라는 인물을 놀랍도록 섬세한 연기로 표현해낸다. 그의 섬세한 연기는 항상 입에 물고 다니는 막대사탕 하나만으로도 그의 이중성을 드러낼 정도다. 달콤해 보이는 사탕이지만, 그것은 먹지 않으면 뇌가 터져버릴 수도 있는 약이기도 하다. 어린 아이처럼 이리저리 입안에서 굴리며 막대사탕을 빨지만, 거기서 도정우라는 인물의 현실적인 고통이 느껴진다. 냉소적이고 위악적인 표정을 잔뜩 짓고 있지만, 그 안에서 느껴지는 허무함이 연민을 자아내게 만드는 인물. 남궁민이 아니었다면 이 복잡한 감정을 시청자들이 따라갈 수 있었을까 싶다. 그의 연기는 실로 이 미궁에서의 실타래가 되어주고 있다.(사진:tv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