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그란 세상

과연 이게 사는 걸까... 웃다가 눈물 펑펑 나는 ‘나의 해방일지’

728x90

 ‘나의 해방일지’, 망가진 이들은 과연 진짜 행복해질 수 있을까

나의 해방일지

“사람들은 천둥번개가 치면 무서워하는데 전 이상하게 차분해져요. 드디어 세상이 끝나는구나. 바라는 바다. 갇힌 거 같은데 어딜 어떻게 뚫어야 될지 모르겠어서 그냥 다 같이 끝나길 바라는 것 같아요. 불행하지 않지만 행복하지도 않다. 이대로 끝나도 상관없다. 다 무덤으로 가는 길인데 뭐 그렇게 신나고 좋을까. 어쩔 땐 아무렇지 않게 잘 사는 사람들보다 망가진 사람들이 더 정직한 사람들 아닐까 그래요.”

 

JTBC 토일드라마 <나의 해방일지>에서 염미정(김지원)은 이른바 해방클럽에 들어온 이유를 묻는 질문에 그렇게 답한다. 그 해방클럽은 직원들의 복지를 위해 만들어진 행복지원센터에서 하도 동호회에 가입을 권유받지만 도무지 동호회에 들어가고픈 마음이 없는 세 사람, 염미정, 조태훈(이기우), 박상민(박수영)이 더 이상의 강권을 피하고자 만든 클럽이다. ‘행복지원센터’라는 지칭에 담긴 ‘행복’이라는 단어가 새삼스럽게 느껴진다. 이게 정말 행복일까. 이게 정말 제대로 사는 걸까.

 

<나의 해방일지>는 경기도민으로 살아 서울 중심으로 삶으로부터 비껴가고 소외된 이들의 이야기로 시작했지만, 서울에서 살면서 짐짓 웃으며 살아가는 삶이 과연 진짜 행복인가를 묻는다. 하루하루 힘겹게 회사생활을 하면서도 휴가 때 어디 놀러갈까, 놀러가서 수영복은 뭘 입을까, 비키니는 무슨 색으로 입을까를 이야기하며 버텨내는 삶. 맞을 가능성이 거의 없는 로또 몇 장을 마치 행복전도사나 되는 듯 나눠주는 이사와 그것조차 받지 못해 “왜 나만 건너 뛰냐”고 하소연하는 삶. 언제 넘어질지 알 수 없을 정도로 아슬아슬한 하이힐을 신고, 시술만 하면 예뻐진다는 말에 되지도 않는 시술을 받고는 더 나빠진 상태를 애써 나아질 거라 위안하며 사는 삶.... 

 

기정(이엘)은 이런 삶을 계란 흰자 같은 삶이라 농담하지만 너무 힘든데 쓰러지지도 않고 코피도 안 난다며 로또 열장을 사과하듯 챙겨주는 이사에게 그 답답함을 털어놓는다. 그런데 이 이사는 기정에게 심호흡을 해보라 권한다. “힘들 때 잠깐 심호흡하면 그것도 휴식이라고 괜찮아져요.” 과연 이래서 진짜 괜찮아질까. 기정은 뜬금없이 머리를 밀어버리고 싶다고 말한다. 머리카락이 붙어 있는 것조차 짜증이 치밀어 오르는 것이다. 

 

그런 그에게 이사는 끝없이 긍정을 얘기한다. “그래서 제가 쉬지 않고 사랑하는 겁니다. 사랑하는 한 지칠 수 없거든요.” 긍정한다고 불행이 행복으로 바뀔까. 삶의 본질의 문제에서 오는 답답함이 심호흡 한 번으로 괜찮아질까. 퇴근 길 전철 안에서 저 편에 보이는 ‘오늘 당신에게 좋은 일이 있을 겁니다’ 같은 긍정의 문구가 진짜 좋은 일을 만들어줄까. 

 

<나의 해방일지>가 보여주는 인물들은 정확히 두 부류로 나뉜다. 너무 망가져 아슬아슬하게 버텨내는 사람들과 망가졌지만 아무렇지도 않는 척 잘 사는 사람들. 점주를 고객으로 상대하는 창희(이민기)는 퇴근해서도 1시간 넘게 전화 응대를 해줘야 하고, 그런 아들을 아버지 염제호(천호진)는 계획 없이 살아서 그렇게 사는 거라 답답해한다. 그런 아버지에게 아들은 아버지의 삶 역시 계획을 잘 세워서 농사에 싱크대 설치 투잡 뛰며 사느냐고 비수를 꽂는다. 일해주고 정당한 대가를 받는 상황에서도 자기가 잘못한 것처럼 주눅 들며 살아가는 아버지가 아닌가. 

 

미정의 가족들은 망가졌다. 그건 단지 서울 외곽 경기도에서 살아가기 때문만은 아니다. 그저 우리가 사는 삶이 불행하고, 그럼에도 가짜 행복으로 채워져 가짜 위로를 던지는 삶이기 때문이다. 고층 건물에 사는 사람들을 올려다보며 거기 사는 사람들이 한 번에 끝낼 수 있는 위험 속에 살아간다며 그래서 안전한 반지하에 산다고 스스로를 위안하는 삶이 우리가 사는 모양이다. 

 

그런데 이렇게 망가진 미정의 가족들보다 더 망가진 구씨(손석구) 같은 인물도 있다. 그는 이름도 밝히지 않고, 대화도 거의 없고, 밥도 잘 챙겨먹지 않은 채 매일 염제호의 일을 도와주며 살아간다. 거의 유일한 낙처럼 보이는 게 저녁에 홀로 평상에 앉아 깡소주는 마시는 일이다. 그의 존재는 그에게 말을 걸어오는 창희나 미정을 통해 그런 식으로 돌파구는 절대 없다고 외치는 듯하다. 심지어 이 사회 시스템 바깥의 삶을 스스로 선택한 듯 보이는 그에게 창희는 ‘로망’이라고까지 말하지만 그건 그가 선택한 삶이 아니다. 그저 ‘잘못 내린’ 밀려난 삶일 뿐. 

 

<나의 해방일지>는 거의 블랙 코미디에 가깝게 대사 하나하나 상황 하나하나가 빵빵 터지는 웃음을 준다. ‘추앙’ 같은 낯선 대사를 던질 때 그것이 너무 낯설어서 어색하고 그래서 헛웃음이 터진다. 하지만 동시에 이 인물이 얼마나 절망적이면 이런 잘 쓰지 않는 단어까지 꺼낼까 생각하게 만들면서 짠해진다. 그러면서 이 드라마는 이 답답한 가짜 행복들에 둘러싸여 사는 이곳의 삶을 뚫고 저기로 넘어갈 거라는 기대감을 준다. 

 

“어디에 갇힌 건지 모르겠지만 뚫고 나가고 싶어요. 진짜로 행복해서 진짜로 좋았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아 이게 인생이지 이게 사는 거지 그런 말을 해보고 싶어요.” 미정의 이 말은 그래서 박해영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허위로 가득한 세상과 얼마나 날선 대결의식을 갖고 있는가를 드러낸다. 바람에 훅 날아간 모자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빙 돌아 저편까지 갔다 와야 하는 상황 속에서 마치 넓이 뛰기 선수처럼 단번에 그걸 뛰어넘는 그런 통쾌한 비상을 그려낼 거라는 기대감. 

 

망가진 자들이 서로 연대해 넌 뭐든 할 수 있다, 뭐든 된다며 추앙함으로서 단 한 번이라도 가짜가 아닌 진짜 행복을 느끼는 걸 <나의 해방일지>가 보여주길 기대한다. 구씨가 마치 새처럼 날아오르는 그 순간의 비상이 될 지라도. 그것은 지금 현재 사실은 불행하지만 우린 행복하다고 애써 강변하는 가짜 세상의 허위를 잠시라도 깨칠 수 있는 길이 될 테니.(사진:JTBC)